• Title/Summary/Keyword: 색인 구성

Search Result 96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riving Current Control for Time-Stable RGB LED Backlighting Using Time-Varying Transform Matrix (시변 변환 행렬을 이용한 시간에 안정된 RGB LED Backlighting 구동 전류 제어)

  • Park, Kee-Hyon;Ha, Yeong-Ho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6 no.4
    • /
    • pp.42-49
    • /
    • 2009
  • This paper proposes a driving current control method for a back light unit (BLU), consisting of red, green, and blue (RGB) light-emitting diodes (LEDs), whereby an RGB optical sensor is used to check the output color stimulus variation to enable a time-stable color stimulus for light emission by the RGB LED BLU. First, to obtain the present color stimulus information of the RGB LED BLU, an RGB to XYZ transform matrix is derived to enable CIEXYZ values to be calculated for the RGB LED BLU from the output values of an RGB optical sensor. The elements of the RGB to XYZ transform matrix are polynomial coefficients resulting from a polynomial regression. Next, to obtain the proper duty control values for the current supplied to the RGB LEDs, an XYZ to Duty transform matrix is derived to calculate the duty control values for the RGB LEDs from the target CIEXYZ values. The data used to derive the XYZ to Duty transform matrix are the CIEXYZ values for the RGB LED BLU estimated from the output values of the RGB optical sensor and corresponding duty control values applied to the RGB LEDs for the present, first preceding, and second preceding sequential check points. With every fixed-interval check of the color stimulus of the RGB LED BLU, the XYZ to Duty transform matrix changes adaptively according to the present lighting condition of the RGB LED BLU, thereby allowing the RGB LED BLU to emit the target color stimulus in a time-stable format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lighting condition of the RGB LEDs.

Programming Art : a study of Art Transform of Periodic Dynamic Composion with Unit Images by Programming (프로그래밍아트 : 단위 이미지의 규칙적 동적구성의 예술적 활용에 관한 연구)

  • Kwon, Eun-Kyeong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1a
    • /
    • pp.351-354
    • /
    • 2009
  • 컴퓨터 프로그래밍에 의해 특정 모티브 이미지를 기반으로 다양한 규칙과 불규칙요인을 포함한 동적구성을 완성한다. 완성된 동적구성에서 타임 슬라이스를 통해 다수의 이미지컷을 생성하고 이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그래픽디자인의 소스로 사용하는 등 예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러한 방법을 '프로그래밍아트'라고 칭하고자 한다. 첫번째 시도한 모티브는 색동이다. 조선 복식에서 기쁨과 즐거움의 표현으로 사용된 원색들은 배열의 질서를 갖춰 색동의 형식을 취함으로써 원색 조화의 미를 보여준다. 이제까지 "탈 색동화에 의한 디자인 전개"는 색동의 조형요소를 다양하게 변형시키는 것으로 여러 분야의 디자이너들에 의해 색동의 색이나 색 너비등의 변형으로 시도되고 있다. 색동의 색상과 이미지틀을 유지하면서 변형할 영역을 도출하여 프로그래밍하였고, 몇가지 유형의 그래픽 재료를 생산하고 이를 재가공하였다. 예술의 창의적 과정에서 프로그래밍을 통한 자동화 영역을 찾는 것은 다소 불합리해 보이지만, 창의적인 작업과정을 세부적으로 나누면서 규칙적 영역을 발굴하거나, 그 영역 내에서도 인터랙션을 통해 인간의 의지가 반영될 수 있다. 이는 인간과 컴퓨터가 공조하여 창의성을 추구함으로써 컴퓨터를 또 하나의 생명체로 간주해가는 미래사회 협업의 새로운 유형의 시도라 생각한다.

  • PDF

An Automatic Text Classification Model using Association Rules (데이타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문서 자동 분류 모델)

  • 김영인;이진용;문현정;우용태
    • Proceedings of the Korea Database Socie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101-108
    • /
    • 2000
  • 기업에서 보유한 전문 지식 정보가 급속도로 증가함에 따라 대량의 문서에 저장된 지식 정보를 효과적으로 탐색하여 기업 경영에 활용하기 위한 지식경영시스템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경영시스템에서 핵심적인 구성 요소는 전문 분야의 지식 정보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효율적으로 검색하기 위한 지식 탐사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타마이닝 기법을 이용하여 문서를 자동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관 규칙 탐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학습용 문서 집합으로부터 세부 분야를 대표하는 색인어 집합을 구성하였다. 세부 분야별 색인어 집합에 대하여 전체 문서에 대한 비중에 따라 가중치 배열을 구성하여 문서를 자동으로 분류하기 위한 기준으로 삼았다. 임의의 문서를 자동적으로 분류하는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효율성을 검정하였다.

  • PDF

Enhanced Boundary Partition Color Descriptor for Deformable Object Retrieval (비정형객체 검색을 위한 향상된 분할영역 색 기술자)

  • Jung, Hyun-il;Kim, Hae-kwang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0 no.5
    • /
    • pp.778-781
    • /
    • 2015
  • The paper presents a new way of visual descriptor for deformable object retrieval on the basis of partition based description. The proposed descriptor technology partitions a given object into boundary area and interior area and extracts a descriptor from each area. The final descriptor combines these descriptors. From a given image, deformable object is segmented. The center position of the deformable object is calculated. The object is partitioned into N × N blocks on the basis of the given center position. Blocks are classified as boundary area and interior area depending on the pixels in the block. The proposed descriptor consists of extracted MPEG-7 dominant descriptors from both the boundary and interior area. The performance of proposed method is tested on a database of 1,973 handbag images constructed with view point changes. ARR (Average Retrieval Rate) is used for the retrieval accuracy of the proposed algorithm, compared with MPEG-7 dominant color descriptor.

Suggestion of Harmonious Colors Based on Ostwald Color Harmony Theory (Ostwald 색채 조화론을 이용한 조화색 추천)

  • Ih, Jung-Hyun;Kim, Sung-Hwan;Lee, Joon-Whoa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1
    • /
    • pp.37-47
    • /
    • 2007
  • Color planning system can be treated as a decision support system which includes both the recommendation of main color and harmonious colors. In this paper, we propose techniques that are useful to enhance the harmonious color recommendation with the main color selected by user. In order to reflect the knowledge about suggestion of harmonious colors, we use Ostwald color harmony theory, that is very systematical and easy to implement. Actually, Ostwald color space is similar to HMMD color model in MPEG-7. Due to the similarity between two color spaces, Ostwald color space can be represented as a virtual HMMD color space. Accordingly, we propose a technique to align the HMMD color space with Ostwald color space, thereby it is capable of enhancing a performance to search the harmonious colors according to Ostwald harmony theory. For recommendation of delicate and more exquisite harmonious colors in equal hue plane, we made the virtual color space continuous. The system can recommend various harmonious colors according to Ostwald color harmony. He(she) can select harmonious colors among the suggestions from the system.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a Spatial Index Structure Supporting the Circular Property in Spatial Database Systems (공간 데이타베이스 시스템에서 순환 속성을 지원하는 공간색인구조의 성능평가)

  • 김홍기;선휘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4 no.3
    • /
    • pp.197-204
    • /
    • 2001
  • In order to increase the performance of spatial database systems, a spatial indexing method is necessary to manage spatial objects efficiently in both dynamic and static environments. A spatial indexing method considering a spatial locality is required to increase the retrieval performance. And the spatial locality is related to the location property of objects. The previous spatial indexing methods did not consider the circular location property of objects.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CR-Tree that is a spatial index structure for clustering spatially adjacent objects in which a search space is constructed with the circular and linear domains. Using a spatial index structure considered a circular location property of objects, we show that high hit ratio and bucket utilization are increased through the simulation.

  • PDF

Corpus Analyzer for Linguists (언어학자를 위한 말뭉치 분석기)

  • Jeong, Seok-Pal;Lim, Seong-Jyeon;Jeon, Jin-Hyeong;Lee, Hyun Ah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2.10a
    • /
    • pp.95-98
    • /
    • 2012
  • 말뭉치는 언어를 연구하기 위한 중요한 재료이다. 본 논문에서는 말뭉치에서 나타나는 언어 현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언어학자를 위한 말뭉치 분석기를 제안하고 그 구현 방법을 설명한다. 제안하는 말뭉치 분석기는 기본적인 통계 정보와 함께, 형태소 분석된 파일을 대상으로 위치 색인을 포함하는 역파일 색인을 구성하여 빠른 형태소 검색과 다앙한 수준의 연어 검색을 제공한다. 분석기는 세종말뭉치를 기본 말뭉치로 하며, 다앙한 말뭉치에 대한 통계자료와 검색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 말뭉치 파일에 대한 처리도 지원한다. 시스템은 사용자가 업로드한 말뭉치 파일에 대하여 자동 형태소 분석을 제공하며 형태소 분석 결과 수정을 가능하게 하여 다앙한 말뭉치에서 언어학자들의 우리말 연구를 지원한다.

  • PDF

A Study on the Spatial Indexing Scheme in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에서 공간 색인기법에 관한 연구)

  • 황병연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6 no.2
    • /
    • pp.125-132
    • /
    • 1998
  • The I/O performance for spatial queries is extremely important since the handling of huge amount of multidimensional data is required in spatial databases for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Therefore, we describe representative spatial access methods handling complex spatial objects, z-transform B tree, KDB tree, R tree, MAX tree, to increase I/O performance. In addition, we measure the performance of spatial indexing schemes by testing against various realistic data and query sets. Results from the benchmark test indicates that MAX outperforms other indexing schemes on insertion, range query, spatial join. MAX tree is expected to use as index scheme organizing storage system of GIS in the future.

  • PDF

A Study on Harmony of Skin Color and Cohthes Colors based on Moon-Spencer's Colors Harmony Theory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에 의거한 피부색과 복장색의 조화에 관한 연구)

  • Park, Young-Sil;Kwon, Mi-Jung;Lee, Jeong-Ok;An, Ok-Hee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8 no.6
    • /
    • pp.40-49
    • /
    • 1994
  • 본 연구의 목적은 문-스펜서 색채조화영역별로 피부색과 복장색의 배색이미지를 분석하여 피부색을 기준으로 한 복장색의 의복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첫째, 피부색과 복장색의 배색은 3가지 차원의 인상으로 구성되었다(평가, 활동, 조화). 둘째, 문-스펜서의 색채조화론을 적용하여 시각적 평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조화영역들은 비슷하게 지각됨을 알 수 있었다. 부조화영역간에는 평가차원과 활동차원이 달리 지각됨을 알 수 있다. 셋째, 샛체조화론의 적용으로 분류되는 조화영역별 배색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동일색상들의 배색은 대체로 미도가 높은 편이었다. 제2부조화색상들의 배색은 미도가 낮았다. 유사색상중 빨강색 계열의 배색은 미도가 높았으며 노랑색 계역의 배색은 미도가 낮았다. 제2부조화색 계열, 청녹색 계열의 배색은 미도가 높은 편이며 남색 계열, 보라색 계열의 배색은 대체로 미도가 높았다. 무채색 계열의 배색은 세련된, 아름다운, 사고싶은, 보기좋은, 마음에 드는, 조화된, 멋있는 피부색과 어울리는, 매력있는, 인물이 돋보이는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 PDF

The Proximity Scheme of the Perceptual Space for Indexing The Trajectories of Tags (태그 궤적 색인을 위한 인식공간 근접성 기법)

  • Kim, Dong-Hyun;Ahn, Swng-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10
    • /
    • pp.2140-2146
    • /
    • 2009
  • Since tags do not have location informations, the identifiers of tags which are symbolic data are used as the location information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fine the proxmity between two trajectories of tags and inefficient to process the user queries for tags. In this paper, we define the perceptual space to model the location of a tag and propose the proximity of the perceptual spaces. The proximity of the perceptual spaces is composed of the static proximity and dynamic proximity. Using the proximity of the perceptual spaces,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roximity between two trajectories of tags and build the efficient indexes for tag trajectories.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roximity function for tag trajectories on the IR-tree and the $R^*$-tr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