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소침착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 여성의 연령에 따른 색소 침착 변화 연구 (The Study of Age-related Skin Pigmentation Changes in Korean Female)

  • 이명렬;정유철;서병휘;김은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77-182
    • /
    • 2023
  • 얼굴의 피부 색소침착은 피부 노화의 시각적 특징 중 하나이므로, 화장품 및 미용 분야에서 피부 색소침착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몇몇 그룹들은 피부 색소침착에 대한 이미지 분석 방법을 연구하고 개발했으며, 일부 그룹들은 얼굴 피부 색소침착이 연령에 따라 변화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정의된 크기에 따른 색소침착 수 및 크기의 변화를 보여주지 않았으며, 한국 여성의 색소침착에 관한 보고는 없었다. 이에 20 ~ 79 세 한국여성 194 명 (48.97 ± 17.11 세)의 안면 디지털 사진을 large high-pass filter, median filter등을 이용하여 색소침착 수와 크기 그리고 강도를 분석하였다. 연령과 전체 색소 침착 수, 크기 및 강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pearson 상관계수 r = 0.688, r = 0.645, r = -0.563)가 있었으며, 세부 크기별 수와 강도간에도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분산분석 결과에 따르면, 20 대와 70 대사이의 2 ~ 4 mm2와 > 20 mm2 색소 침착 크기의 백분율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노화와 함께 안면피부에 색소 침착이 늘어나며, 특히 한국 여성에서 큰 색소 침착의 증가가 두드러진 현상이다.

만성 C형 간염의 약물 치료와 연관된 구강 내 색소 침착의 치험례 (Oral Pigmentation Resulting from Pharmacological Treatment in Patient with Chronic Hepatitis C)

  • 김영건;안형준;최종훈;권정승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189-193
    • /
    • 2012
  • 구강내의 다발성 색소침착은 애디슨증후군, 포이츠-예거 증후군과 같은 선천성질환에 의하여 유발되거나, 악성 흑색종, 흑색극세포종, 신경섬유종증과 같은 국소적인 질환, 흡연, 만성 외상, 약물 복용 등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다. 이러한 질환 중 악성흑색종과 같은 질환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질환이므로 구강 내 색소 침착이 발견될 경우 정확한 진단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병소의 정확한 감별 진단을 위해서는 구강 내 색소 침착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에 대해서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상세한 병력 청취가 중요하다. 또한, 필요 시 혈액검사를 비롯한 이화학검사를 시행하거나 생검을 통하여 조직병리학적인 소견을 확인하고, 주기적으로 환자의 임상 소견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여 변화를 확인하여야 한다. 그 동안 일반적으로 색소 침착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약물 외에, 만성 C형 간염 환자에서 페그인터페론 알파와 리바비린의 병용 요법 중 발생한 구강 내 다발성 색소 침착 증례가 있어 문헌 상에 보고되었던 만성 C형 간염 환자의 약물치료와 연관된 구강 내 색소 침착의 증례들과 함께 고찰해 보고자 한다.

투영 변환 블록 계수를 이용한 피부 색소 침착 검출 (Skin Pigmentation Detection Using Projection Transformed Block Coefficient)

  • 류양;이석환;권성근;권기룡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044-105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피부 색소 침착 영역을 검출하고 침착 정도를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에서는 먼저 훈련 영상(training image)의 통계적 분석을 통해 피부 영역에 대한 GMM-EM 클러스터링 기반 컬러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피부 영역을 추출한 후, 형태학적 처리(morphological processing)를 통해 피부 영역에 존재하는 잡음을 제거한다. 이후 ICA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알고리즘을 통해 피부 영역을 헤모글로빈 및 멜라닌 성분으로 분리하고, 각 성분에 대한 투영 변환 블록 계수에 의하여 색소 침착 영역 및 크기를 결정한다. 성능 평가를 위한 모의실험으로부터 제안한 색소 침착 검출 알고리즘은 피부 색소 침착 영역의 크기 및 침착 정도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pplying the basic knowledge about regulation of pigmentation towards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cutaneous hypopigmentation

  • Abdel-Malek, Zalfa A.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7-39
    • /
    • 2002
  • 인체피부의 색소침착에 있어서 다양한 차이는 주로 표피의 멜라닌생성 세포에 의한 멜라닌 합성 비율, 합성된 eumelanin과 pheomelanin의 상대적인 양과 melanocyte에서 keratinocyte로 melanosomes의 이동 속도와 그 방법에서 기인된다. 색소침착은 유전적, 환경적으로 조절되어지는 복합적 특성이다. 많은 관심이 집중되었던 하나의 유전자인 melanocortin 1 receptor 유전자가 있다. 인간집단에서 이 유전자의 다앙한 polymorphism은 색소침착의 다양성에 있어서 중요하다. 자외선(UV)에 대한 노출은 다양한 성장 요인, cytokines과 호르몬의 합성이 증가되고, 표피에서 그들 수용체들의 환경적응등이 나타난다. 색소침착 조절에 관한 정보는 과다색소 침착된 피부손상의 임상치료를 위한 전략들에서 이끌어 냈다. 주된 3개의 전략은 다음과 같다. 1) melanin 합성경로를 방해하는 화합물의 사용 2) eumelanin 합성을 조절하는 호르몬의 구조에서 기인된 peptides 또는 peptide-mimetics개발 3) melanocytes에서 keratinocytes로의 melanosome 이동을 감소시키는 물질의 개발. 이 모든 3가지의 전략은 각각 전체 멜라닌 합성, eumelanin 생성 또는 피부의 멜라닌 단위를 억제시킴으로 미백작용을 유도시킬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인삼 저온숙성비누의 세안전·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Before and After Washing Face with Ginseng CP Soap)

  • 구진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06-214
    • /
    • 2021
  • 본 연구는 인삼저온숙성비누의 세안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피부상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외부적 환경인자를 배제하기 위하여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한 물과 타월을 사용하였으며, 세안 전과 세안 직후 10분의 피부변화를 조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세안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세안만 한 경우와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폼클렌저 타입의 세안제를 사용한 경우를 설정하였다. 물세안, F/C세안, 인삼cp비누 세안의 세 가지 케이스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물세안의 경우 모공과 색소침착을 유의성있게 감소시켰으나 F/C세안과 인삼cp비누에 비하여는 유의성이 크지는 않았다. F/C세안의 경우 모공과 색소침착을 유의성이 크게 감소시켰으나 세안 후 급격한 수분감소가 나타났다. 인삼cp비누를 이용한 세안의 경우 모공과 색소침착을 유의성 크게 감소시키면서도 수분의 손실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인삼cp비누는 피부관리를 함에 있어서 가장 적합한 세안제의 형태라고 사료된다.

겨우살이 추출물의 미백 효과 (Depigmenting Effects of Mistletoe (Viscum album var. coloratum) Extracts)

  • 하영술;김은지;구영민;길영숙;신승미;김상곤;강하은;윤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355-361
    • /
    • 2022
  • 멜라닌 색소는 피부색의 주요 원인이다. 멜라닌 색소는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된 다음 각질 세포로 전달되어 결국 피부 표면에 다양한 색상을 부여한다. 많은 탈색제 및 피부 미백제가 개발되었지만, 색소 침착을 감소시키기 위한 재료에 대한 수요는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천연 화합물을 사용하여 탈색 및 피부 미백에 대한 재료를 찾으려고 시도한 결과 겨우살이(Viscum album var. coloratum) 추출물이 색소 침착을 억제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인간 멜라닌 세포에 겨우살이 추출물(mistletoe extracts, ME)을 처리했을 때 색소 침착이 극적으로 감소하였다. 프로모터 리포터 분석은 ME 처리가 HM3KO 흑색종 세포에서 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melanophilin (MLPH), tyrosinase related protein 2 (TRP-2), and tyrosinase (TYR) 유전자의 전사를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일관되게 ME는 MITF, TRP-1 및 TYR과 같은 색소 침착 관련 분자의 단백질 수준을 감소시켰다. 또한 ME는 cAMP Responsive Element Binding Protein (CREB), AKT 및 ERK의 인산화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ME가 색소 침착과 관련된 세포 내 신호 전달의 조절을 통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끝으로 ME는 색소 침착에 대한 생체 내 평가 모델인 제브라피쉬 배아의 멜라닌 생성을 현저하게 억제하였다.

광대역 파장가변 고체상태 색소레이저 (Wide Band Tunable Solid-State Dye Laser)

  • 임권;고도경;김현수;차병헌;이종민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2001년도 제12회 정기총회 및 01년도 동계학술발표회
    • /
    • pp.40-41
    • /
    • 2001
  • 파장가변레이저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득매질로서 색소를 고체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색소를 폴리머 혹은 Sol-gel 형태의 호스트 매질에 침착시켜 고체화한다. 이와 같은 고체 상태로 색소를 사용하면 액체 상태로 색소를 순환시켜 사용하는 것보다 편리한 이점이 있다. 순환식 색소 레이저의 경우에는 레이저 광학계 이외의 색소 순환장치들이 첨가됨에 따라서 레이저 장치의 크기가 비대해지는 점에 반하여, 고체 색소 레이저의 경우에는 고체 색소 쎌로 대체됨에 따라서 소형의 레이저 장치로서 구성된다. (중략)

  • PDF

자연삼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에 대한 연구 (Skin lightening effect of fermented Panax ginseng extract)

  • 이효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285-292
    • /
    • 2019
  • 인삼은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나타내며 이러한 활성은 사포닌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사포닌 중 주사포닌이 분해된 부사포닌이 주사포닌보다 높은 활성을 나타내며 부사포닌의 함량은 발효를 통하여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삼의 발효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측정하여 화장품 원료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하였다. 자연삼을 발효하고 추출물을 제조하였고 멜라닌 합성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과 세포 내 멜라닌 합성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아울러 세포독성을 측정하여 안전성을 평가하였고 임상시험을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 억제능을 평가하였다. 기존 미백 원료인 Kojic acid나 Arbutin과 비교하여 자연삼 발효 추출물은 멜라닌 합성 억제능이 더 높은 것으로 측정되었고 세포 독성도 낮게 나타났으며 임상평가를 통하여 자외선에 의한 색소침착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천연물의 세포생물학과 임상학적 융합연구이며 이를 통하여 개발된 자연삼 발효 추출물은 안전하며 우수한 미백효과를 가지는 미백 화장품 원료로 평가된다.

피크노제놀 성분이 한국 10~20대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pycnogenol has on the acne skin of Koreans in their 10s and 20s)

  • 김경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487-495
    • /
    • 2022
  • 프랑스 해송 껍질추출물인 피크노제놀은 항염, 항혈전, 혈압조절 효과, 면역조절 효과 등의 다양한 의학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건강식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 화장품 소재로도 활용되고 있지만 피부 유효성에 관한 임상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피크노제놀 성분을 화장품에 적용하여 10~20대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효과를 피부임상학적으로 접근하여 그 유효성을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피크노제놀 0.2% 첨가 화장품과 무첨가 화장품을 각 그룹별 11명의 임상자가 참여하여 6주 동안 사용하게 한 후 여드름 피부 상태변화를 살펴보았다. 피크노제놀을 함유한 화장품을 사용한 그룹에서 여드름 균(P-Acnes)의 대사산물인 포비린 지수가 감소하였으며 홍조와 색소침착 지수가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피크노제놀 성분이 여드름 균을 감소시키고 여드름 피부에 나타나는 홍조와 색소침착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화장품 소재인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