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선별

검색결과 73건 처리시간 0.05초

칼라 컴퓨터시각을 이용(利用)한 활엽수(闊葉樹) 부재(部材)의 색(色)에 의한 선별(選別) (Color Grading of Hardwood Dimension Parts with Color Computer Vision)

  • 유수남;게리 쿠르쯔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18권3호
    • /
    • pp.288-295
    • /
    • 1993
  • 본 연구는 칼라 컴퓨터시각을 이용하여 가구에 이용되고 있는 활엽수 부재의 색에 의한 선별법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붉은 오우크 가구 부재를 대상으로 칼라 컴퓨터시각 시스템을 이용 화상을 얻은후 R,G,B 농도값을 근거로 나무결, 나무결함, 3가지의 색깔 즉 핑크색, 흰색, 갈색의 나무부분, 이밖에 배경에 대한 지식 베이스화를 행하여 각 부재에 대하여 이들의 비율을 quadratic Bayes classifier를 이용 구하였으며, 이 중 나무결, 나무결함, 배경을 제외한 3가지 색상에 대하여 부재가 갖는 상대적인 비율을 근거로 qadratic Bayes classifier와 neural network를 각각 이용하여 핑크색, 흰색, 갈색의 3가지 부재로 구분하였다. 선별의 정확도는 기존의 육안에 의한 선별을 기준으로 비교하였는데 qadratic Bayes classifier에 의한 선별이 91.7%, neural network을 이용한 선별이 96.7%의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가구의 품질향상을 위한 색에 의한 부재 선별에 칼라 컴퓨터시각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농산물 선별시설

  • 김종훈
    • 대한설비공학회지:설비저널
    • /
    • 제40권7호
    • /
    • pp.20-29
    • /
    • 2011
  • 수확한 농산물의 크기, 모양 및 색도 등의 외형적 특성과 당도와 산도 등의 내부 품질판정을 위한 비파괴 선별시설에 관한 내용이다.

  • PDF

색상선별(色相選別) 기술(技術)을 이용(利用)한 고온(高溫) 용융노(熔融爐) 이화재(而火材) 재활용(再活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Recycling of Refractory Materials from High-Temperature Melting Furnace by Color Sorting Technology)

  • 서강일;이덕희;최우진;장정훈;박은규;오용길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0권1호
    • /
    • pp.28-36
    • /
    • 2011
  • 국내의 경우 내화재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대부분 폐기 처분되고 있으며, 폐기되는 내화재의 50% 이상이 탄화되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내화재를 색상인식 방법으로 선별하여 재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선별기 광원의 색온도가 자연광에 가까운 6,500K에서 순도 97.2%의 회수물을 얻었으며, 자연광에 가까울수록 주변 광원의 간섭이 적어 선별효율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실험결과 투입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 800 mm/sec에서 순도 98.8%, 회수율 98.1%로 조사되었으며, 시료크기 20~30 mm에서 순도 및 회수율은 각각 98.2%, 98.4%로 조사되었다. 회수물의 순도 및 선별효율은 컨베이어 벨트의 속도가 느릴수록, 시료의 크기가 클수록 향상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본 색상 자동선별 시스템의 처리용량 및 폐내화재의 재활용성 등을 고려할 경우 최적의 선별조건은 색온도 6,500K, 컨베이어 벨트 속도 1,000 mm/sec, 시료 크기 20mm이하인 것으로 판단된다. 카메라 해상도를 고정하고 인지 영역을 좁게 하여 시료 크기 -10 mm, 벨트컨베이어 속도 1,000 mm/sec에서 순도 97%이상, 회수율 및 선별효율이 각각 98%, 96%이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일해상도에서 인지영역이 좁을수록 순도 및 선별효율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중치를 가지는 웹문서 색인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ndexing Methods with weight-value of Web document)

  • 김종영;김철수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2459-2462
    • /
    • 2002
  • 검색된 문헌들에 대한 항해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검색된 문헌들의 문헌 순위화가 필수적이다. 문헌 순위화를 위해서는 문헌 순위화를 위한 순위화 정보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검색된 문헌들에 대한 순위화를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HTML 문서에 대한 색인 과정에서 다양한 가중치를 가지는 색이어 추출 방법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웹문서들은 태그로 이루어지며 중요한 색인어들은 특정 태그 속에 포함되어 있다는 것에 착안하여 색인어의 중요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태그를 선별하고, 선별된 태그들에 대해 휴리스틱 정보를 이용하여 중요도를 부여한 후 선별된 태그에 영향을 받는 문장들에서 추출된 색인어에 대하여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색인어 추출을 형태소 분석기를 이용하였다. 색인어들이 다양한 가중치를 가지므로 검색 과정에서 검색된 문헌들에 대하여 효율적인 순위화가 가능하여 관련 문헌을 보다 빠르게 찾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통계적 컬러영상처리를 이용한 사과의 색 선별 시스템 개발

  • 임동훈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3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3-148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 방법에 기초한 사과 선별시스템을 이용하여 사과의 색깔을 식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T-검정을 이용하여 에지를 검출하였고 검출된 에지로부터 체인코드를 이용하여 사과 영상의 경계선과 환상대 영역을 구하였다. 우리는 주어진 사과영상의 환상대 영역으로부터 R, G, B 채널상에서 히스토그램과 평균 명암값을 구하여 색깔 판정용 표준사과로부터 얻은 기준값들과 비교함으로서 사과의 색깔을 식별하였다.

  • PDF

컬러 컴퓨터 시각에 의한 사과 선별 기준색깔 선정 (Selection of Apple Ground Color for Maturity Index Using Color Machine Vision)

  • 서상룡;성제훈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2권2호
    • /
    • pp.210-216
    • /
    • 1997
  • A study to select ground colors of Fuji apple for maturity index which are needed to standardize grading of the apples is presented. Two extreme colors of immature and fully mature Fuji and Zonagold apples produced in Korea were determined. Various ground colors of Fuji apple between the two extreme color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by human vision and colors of Fuji apple for maturity index were selected from the classification. Coordinates of the selected colors in xy chromaticity diagram were determined by spectrophotometers to define them in a standard coordinate system. Coordinates of the colors in r-g chromaticity diagram using a color machine vision system were also determined to use the colors in apple grading by the machine vision system. Grading Fuji apples using the machine vision system was performed and result of the grading was compared with Ending results of human vision and colorimeter. The comparison was performed with the same Fuji apple samples and showed 65% md 75% of same grades, respectively, as the grades determined by the machine vision system. Differences of fading performance between the compared three grading methods were explained as mainly because of the differences of observation area of the grading methods.

  • PDF

SDSS 자료를 이용한 z<0.01 필드은하의 자외광 특성

  • 이웅;이수창;김석;이영대;박민아;이원형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86.1-86.1
    • /
    • 2012
  • Sloan Digital Sky Survey (SDSS) DR7 분광자료를 이용하여 z < 0.01에 존재하는 필드(field) 은하 505개를 선별하였다. SDSS의 컬러 영상을 이용하여 필드은하들의 형태(morphology)를 타원은하/왜소타원은하, 렌즈은하/왜소렌즈은하, 나선은하, 그리고 불규칙은하로 분류하였으며, 이들 은하들에 대한 측광을 수행하였다. 한편, Galex Evolution Explorer (GALEX) 자외광 영상으로부터 선별된 은하들에 대한 자외광 측광도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환경에 있는 은하들의 최근 별탄생 활동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처녀자리은하단 (Virgo cluster)에 있는 은하들과 비교하여 필드은하들의 자외광-가시광 색-등급 분포를 조사하였다. 처녀자리은하단 은하들에 비하여 필드은하들은 작은 자외광-가시광색지수를 가지는 만기형 은하들의 비율이 높았다. 특히, 조기형 필드은하들의 색지수 값이 처녀자리은하단 조기형 은하들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작은 값을 나타내고, 이 특징은 질량이 작은 왜소은하에서 더욱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환경적 효과를 거의 받지 않는 필드은하들은 환경적 효과가 큰 은하단 은하들의 진화 연구에서 환경적 효과의 크기 및 기작을 규명하는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음을 토의하고자 한다.

  • PDF

컬러영상에서 Mean-Shift 군집화와 단계별 병합 방법을 이용한 자동 원료 선별 알고리즘 (Automatic Source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Mean-Shift Clustering and stepwise merging in Color Image)

  • 김상준;장지현;고병철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597-159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곡물이나 광석 등의 원료들 중에서 양품 및 불량품을 검출하기 위해, Color CCD 카메라로 촬영한 원료영상에서 Mean-Shift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과 단계별 병합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먼저 원료 학습 영상에서 배경을 제거하고 영상 색 분포정도를 기준으로 모폴로지를 이용하여 영상의 전경맵을 얻는다. 전경맵 영상에 대해서 Mean-Shift 군집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영상을 N개의 군집으로 나누고, 단계별로 위치 근접성, 색상대푯값 유사성을 비교하여 비슷한 군집끼리 통합한다. 이렇게 통합된 원료 객체는 영상채널마다의 연관관계를 반영할 수 있도록 RG/GB/BR의 2차원 컬러분포도로 표현한다. 원료 객체별로 변환된 2차원 컬러 분포도에서 분포의 주성분의 기울기와 타원들을 생성한다. 객체별 분포 타원은 테스트 원료 영상데이터에서 양품과 불량품을 검출하는 임계값이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으로 다양한 원료영상에 실험한 결과, 기존 선별방식에 비해 사용자의 인위적 조작이 적고 정확한 원료 선별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Screening System through X-ray Density Analysis

  • Eunhyeok Baek;Young-Tae Kwa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05-112
    • /
    • 2023
  • 농산물 선별 시스템은 작물의 형태를 보전하기 위하여 비파괴적인 선별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비파괴 선별 기술로는 가시광선, 근적외선, 엑스선, 감마선 등의 광학적 특성을 이용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엑스선을 이용한 선별을 이용한다. 엑스선 영상은 엑스선의 밀도에 따라 그레이 영상으로 생성되어 육안으로 시료의 결함을 감지하기가 어렵다. 미세한 결함을 발견하기 위해서는 영상을 확대하거나 픽셀의 범위를 수정하여 적정한 픽셀의 영역만을 표시하여 결함을 탐지해야 한다. 이런 작업은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엑스선의 광역적인 밀도와 지역적인 밀도에 대한 상대적인 밀도를 측정하여 색상화된 결함을 표시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하나의 픽셀에 대한 상대적인 밀도는 주위 픽셀과의 상대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이런 픽셀을 정상과 결함으로 나타내는 엑스선 영상의 색상화 방법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농작물의 병해충 또는 새싹 부분을 특정 색으로 색상화 하여 농산물 선별 시스템에 활용할 수 있게 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엑스선을 이용한 선별 시스템에 적용되어 농산물 선별 시스템뿐만 아니라 가공식품, 부품 제조와 같은 제조 공정에서 사용되어 불량품을 선별하는 방법에 적극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생물학적 염색폐수처리에서 담체의 영향

  • 이기용;이영락;임지훈;김상용;이진원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82-38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염색폐수의 생물학적 처리를 위하여 염색폐수에서 선별된 균주와 현재 상용화된 담체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그 결과 단일 균주에서는 평균 45%의 색도 제거율을 보였다. 2균주 조합을 사용했을 때는 색도 제거율이 86%까지 증가하였다. 담체는 충진율 15%일 때 최적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