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색상부여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Depth Map Up-sampling Using Maximum Gradient of Color Image (색상 영상의 최대 변화도를 이용한 깊이맵 업샘플링 기법)

  • Jung, Jae-Il;Ho, Y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11a
    • /
    • pp.29-30
    • /
    • 2012
  • 본 논문은 고해상도의 깊이맵을 얻기 위해서 대응되는 색상 영상의 최대 변화도를 이용한 깊이맵 업샘플링 기술을 제안한다. 기존 알고리즘들이 인접한 화소의 깊이 값을 참조할 때 거리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는 것과 달리, 제안한 방법은 현재 화소와 참조 화소 사이의 최대 색차 변화도를 이용하여 가중치를 부여한다. 이런 접근 방법은 비슷한 색상의 물체가 서로 붙어 있거나 큰 크기의 객체가 존재할 경우에도 모두 올바른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먼저, 색상 영상의 색차 성분에 대한 변화도 영상을 계산하고, 업샘플링하고자 하는 화소와 참조 화소 사이의 최단 경로 위에서 가장 큰 변화도를 취한다. 변화도가 클수록 다른 객체에 존재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변화도가 큰 참조 화소에는 작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들의 가중합을 통해 최종 깊이 값을 계산한다.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깊이맵을 업샘플링한 결과가 기존 알고리즘들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 PDF

A Study of Leather Dyeing Process using Indigo Dyes (인디고 염료를 이용한 피혁 염색공정 연구)

  • Lee, Sang-Chul;Shin, Eun-Chul;Kim, Won-Ju;Park, Soo-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101-101
    • /
    • 2012
  • 천연가죽에 색상을 부여하기 위한 염색공정에서 종전의 합성염료가 아닌 자연에서 추출한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블루색상을 가지는 피혁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다. 피혁에 적용 가능한 블루색상을 가지는 천연염료 중에 쪽 염료가 유일한 상황이다. 가죽 무게 대비 5%의 쪽염료를 가죽 제조 드럼에 투입하여 100분간 충분히 회전시킨 후에 가죽의 유연성을 부여하는 가지제를 12% 추가로 투입하여 블루 색상을 가지는 가죽을 제조하였다. 그 결과 마찰견뢰도, 일광견뢰도, K/S가 우수한 피혁 염색공정을 확립하였다.

  • PDF

Contents-based Image Retrieval using Color and Invariant Moments (색상과 불변 모멘트를 이용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 Kim, Mok-Ryun;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61-164
    • /
    • 2007
  • 최근 인터넷과 멀티미디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의 양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증가하는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하기 위해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내용 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은 색상, 모양, 질감 특징을 이용한 유사도-기반검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에 나타나는 주요 색상과 색상의 공간적 특성을 포함하는 픽셀샘플링, 그리고 이미지의 외형적 변경에 강인함을 갖는 불변 모멘트 값을 이용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첫 번째 유사성 검사 단계에서는 이미지의 영역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출한 대표색상을 사용하여, 유사하지 않은 이미지를 제거하여 검색대상의 수를 줄이며, 두 번째 유사성 검사 단계에서는 첫 번째 단계에서 선별된 후보 이미지에 색상의 공간적 정보를 포함한 픽셀샘플링을 이용하여 색상의 공간적인 위치까지 유사한 이미지만을 선별한다. 두 번째 유사성 검사단계에서 이미지가 외형적으로 변형된 유사이미지의 검출이 어려운 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이미지의 불변 모멘트를 이용하여 검색의 정확성을 높인다. 제안한 이미지 검색 방법은 10000개의 다양한 이미지로 구성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효율성을 실험하였다.

  • PD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Shape Correlogram (형태 Correlogram을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검색)

  • Nam, Gi-Hyeon;Mun, Yeong-Sik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8B no.2
    • /
    • pp.215-22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형태 특징값으로서 형태 correlogram을 제안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내용기반 영삼검색(content-based image retrieval)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읜 색상 correlogram은 색상 정보에 공간적인 정보를 부여함으로써 영상검색 성능을 향상시켰다. 그러나 이 특징값은 형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색상이 다르면서 비슷한 윤곽선 형태를 갖는 물체의 검색에는 좋은 효과를 보이지 못한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지(edge)들의 correlogram인 형태(shape) correlogram을 제안한다. 색상 correlogram이 색상들의 거리에 따른 상관관계를 나타내는데 반해 형태 correlogram은 에지 각도들의 상관관게를 나타낸다. 형태 correlogram은 gradient 축과 각도 축을 가지는 2차원 특징 벡터(feature vector)로 표현된다. 각 축은 24개 빈(bin)으로 나뉘어져서 총 576개의 원소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형태 correlogram의 데이터 크기를 줄이고, 회전에 대해 불변인 특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 투영(projected) 형태 correlogram을 제안한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형태 correlogram과 투영 형태 correlogram을 사용한 영상검색 방법이 기존의 방법보다 성능면에서 우수함을 입증한다.

  • PDF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using adaptive weight of Color and texture information (색상과 질감정보의 적응적 가중치 기법을 이용한 내용기반 영상검색)

  • Huang, Chun-Hua;Kim, Gye-Young;Choi, Hy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1a
    • /
    • pp.39-42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영상들의 특징들을 추출하여 특징 값들의 비교를 통하여 질의 영상의 유사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입력 영상들의 색상 히스토그램으로 색상 특징 값들을 추출하고 질감 정보인 에지 정보와 이웃화소간의 공간 관계를 분석하여 질감 특징 값들을 추출하여 저장한 후 질의 이미지의 색상과 질감 특징들을 구하여 비교를 통하여 유사도를 분석하고 결과 영상을 보여준다. 또한 색상과 질감을 혼합하여 사용할 때 적응적으로 가중치를 부여함으로써 가중치가 적합하지 않아 발생하는 오 검출될 현상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방법과의 성능을 비교분석하였고 본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였다.

  • PDF

The Study of Development Color-Mud For Diversifying Program of Boryeong Mud Festival (보령머드축제의 머드체험 다양화를 위한 유색머드의 개발)

  • Shim, Seung-Bo;Chun, Yong-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8.11a
    • /
    • pp.368-370
    • /
    • 2008
  • 대한민국 대표 축제로 자리 잡은 보령머드축제의 핵심 프로그램인 머드 셀프마사지 행사의 재미와 다양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색상이 함유된 머드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머드 고유의 낮은 명도를 조절하고자 이산화티탄을 첨가하여 머드의 질감을 유지하면서 색상이 발현되는 이산화티탄의 함량을 실험하고, 결정된 혼합비율에 황색산화철을 첨가하여 색상의 발현도를 색차계, 육안검사, 사용감 등으로 판단하였다. 결정된 색상은 물에 젖음 시 발색정도와 세척상태를 검토하여 보령머드 축제 프로그램인 머드 셀프마사지 행사에 사용하여 축제의 다양성을 높이고 또한 한국의 고유색인 오방색을 나타낼 수 있는 유색머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the Seasoning Oil for Replacing Red Pepper Seed Oil : Manufacturing of Red Pepper Seasoning Oil (고추씨기름 대체 향미유 개발에 관한 연구 : 제2보. 고추향미유의 제조)

  • 구본순;김덕숙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1 no.2
    • /
    • pp.142-147
    • /
    • 2004
  • To develop the red pepper seasoning oil(RPSO), corn oil was used as the base oil. For generating hot taste and color, oleoresin capsicum and oleoresin paprika were mixed to base oil (SSO1). Then, for generating black red color, natural black pigment that is extracted from gardenia and kaoliang was added SSO1 to prepare SSO2. To magnify the hot taste, extract of red pepper, phosphoric salt and emulsifier (monogly 20) were. then added to SSO2 to prepare SSO3. This SSO3 was very similar to real red pepper seed oil as a color and taste, but its hot flavor was not enough. To resolve this problem, we mixed about 5% of another oil(SSO4), which was mingled and roasted red pepper powder with corn oil, to SSO3. In terms of above experiment, RPSO was obtaine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Region based Image Retrieval System using Color Information (대표 색상 정보를 이용한 영역 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Mok-Ryun;Park, Yo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8.06c
    • /
    • pp.462-467
    • /
    • 2008
  • 최근 웹 2.0 시대 참여, 공유, 개방 정신이 확대 되고, 다양한 디지털 저작물들이 대량 제작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리고 디지털 저작물의 특징상 누구나 손쉽게 무제한으로 복제와 유통이 가능함으로 디지털 저작물이 양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증가하는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검색하기 위해 색상, 질감, 모양 등을 이용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색상을 이용한 이미지 검색방법의 하나로 색상 히스토그램을 이용한 검색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는 공간적인 상호관계를 적절히 표현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에 나타나는 주요 색상 및 불변 모멘트 값과 이미지의 중앙을 중심으로 한 영역별 유사도 검사를 통한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첫 번째 유사성 검사 단계에서는 이미지의 영역별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출한 대표색상 정보를 사용하여, 유사하지 않은 이미지를 제거하여 검색대상의 수를 줄인다. 두 번째 유사성 검사 단계에서는 이미지를 영역으로 나누고, 이미지의 중심 영역부터 영역을 확장하며 영역마다 구축된 인덱스 검색을 통해 영역기반 유사 이미지 검색을 수행 한다. 세 번 단계에서는 이미지의 변형에 불변한 값인 불변 모멘트를 사용하여, 영역별 검사에서 제외된 유사이미지를 재검사한다. 제안한 이미지 검색 방법은 10000개의 다양한 이미지로 구성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을 실험을 통해 검색의 정확도 및 회수율을 측정하였다.

  • PDF

Study on Dipping method of Knit-CPB process (침지방법에 따른 니트 CPB소재의 염색성비교 연구)

  • Lee, Jung-Ho;Lee, In-Yeol;Kim, Seung-Ho;Kim, Moon-Jung;Hwang, Chang-Soon;Cha, Yo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2.03a
    • /
    • pp.93-93
    • /
    • 2012
  • 섬유산업은 그 제조 스트림이 높은 오염 부하와 에너지 다소비를 특징으로 하여 환경규제에 따라 기존 시장의 위축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 특히 섬유산업의 주요 스트림 중의 하나인 염색가공 공정은 섬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심미한 색상과 사용 목적에 적합한 성능을 부여하는 단계로 섬유제조 공정에서 가장 높은 부가가치를 부여하는 단계이나 고온의 물과 다양한 화공약품을 많이 사용하고 그 처리온도가 비교적 높아($100^{\circ}C$ 이상) 대표적인 폐수 발생 공정이자 에너지 다소비 공정이다. 섬유의 염색 방법 중 반연속방법인 CPB(Cold Pad Batch)염색은 반응성 염료와 알칼리의 혼합액으로 구성된 염액에 원단을 패딩한 후 상온에서 수 시간 배칭하고 수세 및 후처리하여 염색하는 방법으로 작업공정관리, 설비관리가 간편하고 에너지소비량 절감, 높은 생산성의 장점이 있다. CPB염색법은 주로 직물에 적용되어 보편화 되었으며, 작업공정 중 장력의 영향을 많이 받는 니트 소재에 적용되는 사례는 드물다. 직물류의 CPB 염색가공법은 대구 경북을 중심으로 연구진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 100대 정도의 CPB 관련 장비가 직물제품에 한정되어 가동되고 있는 반면, 니트 CPB 관련 염색 가공 업체는 1곳에 불과한 실정이나 니트류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 증가를 고려하면 니트 소재에 대한 CPB염색 적용은 시의적절한 필수요소라고 판단된다. 니트 소재에 대한 CPB염색가공 적용 시 나타나는 문제점은 작업원단의 변부 말림현상 발생, 전폭 상태에서의 색상차이인 listing현상, 원단의 첫도입부분과 끝부분의 색상차이인 tailing현상이며, 반복되는 작업 시 염색재현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CPB염색 시 CPB Head 장치의 Padding 방식 즉, trough와 Nip type에 따른 염색 시 알칼리와 염료 투입에 따른 염색 재현성(Build up, Ending, 알칼리 안정성)을 비교해 보았으며, 이에 따른 염색제품의 물성 및 견뢰도를 확인하여 보다 효율적인 방식을 선별하였다.

  • PDF

Visual Narrative as a Color Storytelling in DISNEY and GHIBLI Studios (디즈니와 지브리 애니메이션 비주얼 서사구조에 관한 비교 연구)

  • Brito, Yahaira Moreno;Cho, Dong-Mi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49
    • /
    • pp.221-246
    • /
    • 2017
  • Visual narrative or storytelling involve two important aspects of the cognitive perception: the conscious and subconscious. Color is one of the cognitive storytelling elements, its interpretation is captured by the subconscious and it is considered an emotional resource due to its psychological background. On the other hand, the character is also part of cognitive perception and storytelling tool, but this is interpreted consciously, character is considered as a logical resource. Ghibli and Disney have organized their cinematographic techniques in different ways, so it would be unfair to say that one narrative style is better than the other, it depends of perception of beauty which varies according to society. However the present study seeks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between Ghibli and Disney narrative style, taking as reference color. Ghibli and Disney are perfect example about color effects as a storytelling agent, It can be classified in two aspects: dynamics of color and color as a narrative sequence. The dynamics of color analyzes how color acts and is perceived into a stage, its meaning and symbolism regardless of the character's actions. The narrative sequence studies how color thermologic evolves in scene's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