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명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조선시대 복식에 나타난 자색계 색명의 개념적 의미 (Conceptual Meaning of Purple-series Color Names in the Clothing of Joseon Dynasty Period)

  • 김순영;남윤자;조우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458-1469
    • /
    • 2004
  • In this study, color names focusing on the purple series, appearing in the clothing of the Joseon Dynasty, were classified systematically, and the conceptual meaning of each name were investigated through various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or names of purple-series were classifi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scheme of morphemes, color names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ingle names and composite names. Color names could also be classified into universal and limited names according to the areal distribution of literatures. Secondly, the conceptual meaning of the color names of purple-series were considered. The conceptual meaning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etymological and dyeing methodological meaning', the other 'color systematic meaning' By study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color name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aterial composition of colors, the etymological and dyeing methodological meaning could be grasped. Furthermore, the color systematic meaning of each name could be grasped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of L*, a*, b* values measured from the relics of clothing. Thirdly, the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conceptual meanings of purple-series color names. The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of purple-series color names is forming discrete structure with the dyeing method and material of dyes as their semantic components.

한국산(韓國産) 고등균류(高等菌類)(1) (Higher Fungi in Korea (1))

  • 석순자;김양섭;유영진;박동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2호통권73호
    • /
    • pp.144-152
    • /
    • 1995
  • 본 논문은 한국산 버섯류의 분포상과 자원탐색을 위한 연구조사중 주름버섯류내의 한국미기록 1속, 헛깔때기버섯속 Pseudoclitocybe과 미기록 5종, 헛깔때기버섯 Pseudoclitocybe cyathiformis(Bull.: Fr.) Sing., 한천비늘버섯 Pholiota brunnescense Smith & Hesler, 쥐방울먹물버섯 Coprinus angulatus Peck, 쌍포자외대버섯 Rhodophyllus bisporus Hongo, 끈적비단그물버섯 Suillus viscidipes Hongo과 복균류 1품종, 용문새주둥이버섯 Lysurus mokusin (L.; Pers.) Fr. f. sinnensis (Lloyd) Kobayasi 등이 판명되어 이를 보고한다. 색명은 "Methuen Handbook of Colour"(Kornerut & Wanscher, 1978)을 인용(引用)하였다. 채집(採集)된 모든 버섯표본(標本)은 농업과학기술원(農業科學技術院)에 보존(保存)되어 있다.

  • PDF

현대 여자 한복에 나타난 전통 색상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traditional colors in modern women's Hanbok)

  • 박은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30권5호
    • /
    • pp.631-655
    • /
    • 2022
  • Modern Hanbok tends to use new colors based on traditional color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colors, various expressions have been increas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olor and color trend used in modern clothing.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iod 2011 - 2020 and analyzed the main color and coloring method of top and skirt by year with 450 data from a total of 81 wedding magazine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olors during the target period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color of the Jeogori showed a distribution of various colors in the first half, but the main color of the skirt concentrated on black, white and light pink in the second half. Second, while the use of blue and green systems decreased, Dang-ui color changed to warm yellow, green, and red systems. The Baeja used plain dark white in the first half; however in the latter half, they changed to white or accented colors. The one-piece used various colors in the first half, but only black and white appeared in the second half. Third, in the upper and lower colors of Hanbok, the blue-red color, the traditional contrast color of the first half,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second half. The appearance rate of proximity for the complementary color harmony of white-red color and the adjacent color harmony of white-blue increased.

안정화 CdS-CdSe계 채료에 관한 연구 제3보 $ZrSiO_4-Cd(SxSe_{1-x})$채료의 응용연구 (A Study on Stabilized CdS-CdSe Red Stain part III, Application of $ZrSiO_4-Cd(SxSe_{1-x})$ Stain to Ceramic Body)

  • 이종근;김종옥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55-160
    • /
    • 1987
  • 본 연구는 제2보에서 합성한 $ZrSiO_4-Cd(SxSe_{1-x})$ 채료의 실용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행하였다. 기존의 유명회사 제품의 채료와 본 합성채료를 비교 검사하였다. 우선 각각의 채료에 Frit를 적당한 비로 혼합하고 일정조성의 Tile에 시유하여 각각다른 온도(850-120$0^{\circ}C$)에서 소성한 다음 colorimeter를 사용하여 XYZ 주파장에 따른 색도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Munsell 계의 ISCC-NBS 색명법을 적용하여 색을 정량화 시킴으로서 채료의 적응성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ZrSiO_4-Cd(SxSe_{1-x})$ 채료는 V나 P 계통의 여타 채료와 같이 Frit 대 Stain의 비가 9:1의 최소비로 사용이 가능하며 100$0^{\circ}C$의 높은 온도에서도 밝은 적색으로 재현 될 뿐만 아니라 내산성이 강하고 고온에서 적응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한국산 귀신그물버섯과에 대한 고찰(III) -남방그물버섯속과 귀신그물버섯과의 속 검색표- (Notes on Korean Strobilomycetaceae (III) -On Austroboletus and the Key to Genera of the Strobilomycetaceae-)

  • 안용환;김양섭;석순자;윤경하
    • 한국균학회지
    • /
    • 제26권2호통권85호
    • /
    • pp.230-238
    • /
    • 1998
  • 1982년부터 1996년까지 평창 오대산, 수원 숙지산, 청양 칠갑산, 원주 치악산, 해남 두륜산, 등 총 5곳에서 채집되었고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생물자원부 표본실 및 순천향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 표본실에 보관중인 남방그물버섯류 12점의 표본을 확보하였고 Moser(1983) 및 Singer(1986)와 Hongo(1987)의 분류체계에 준하여 분류 동정한 결과 남방그물버섯속은 방추남방그물버섯 [Austroboletus fusisporus (Kawam. apud Imaz. & Hongo) Wolfe]과 가는대남방그물버섯[Austroboletus gracilis (Peck) Wolfe], 그리고 미로남방그물버섯(신칭)[Austroboletus subvirens (Hongo) Wolfe]의 3종으로 확인되었다. 색명은 "Methuen Handbook of Colour" (Kornerup & Wanscher, 1983)를 인용하였고, 또한 귀신그물버섯과의 속 검색표를 작성하였다.

  • PDF

한국산(韓國産) 주름버섯목(目)에 대한 보고(報告) (III) (Notes on Korean Agaricales (III))

  • 석순자;김양섭;박동석
    • 한국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1-426
    • /
    • 1994
  • 한국산 주름버섯목에 대한 종 분포상 및 종 다양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강원도 춘성군 청평사(1990. 9.), 경기도 수원 진흥청구내(1990. 6.), 경기도 광주군 태화산$(1994.\;8{\sim}9)$,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1994. 9.) 등 4개 지역에서 주름버섯류를 조사한 결과 그중 고슴도치버섯속 Cystoagaricus Sing. 1속과 한국미기록 이란성무명버섯 Hygrocybe firma(Berk, & Br.) Sing. var. firma Sing.; 꽃잎꼬막버섯 Hohenbuehelia petalodes (Bull.: Fr.) Schulzer; 고슴도치버섯 Cystoagaricus strobilomyces (Murr.) Singer; 받침대먹물버섯 Coprinus domesticus (Bolt.: Fr.) S. F. Gray; 흰꼭지땀버섯 Inocybe autata T. Kobayshi & E. Nagasawa 5종이 확인되어 이들에 대한 자실체의 특징을 기술하고 현미경 그림을 작성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인용된 색명은 Kornerup과 Wascher(1978)의 Methuen Handbook of colour을 참조하여 기술 하였다. 종 분류에 이용된 버섯표본은 농업기술연구소와 농업유전공학연구소 표본실에 보관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