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onceptual Meaning of Purple-series Color Names in the Clothing of Joseon Dynasty Period  

김순영 (경일대학교 패션학부)
남윤자 (서울대학교 의류학과)
조우현 (인하대학교 의류디자인학과)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v.28, no.11, 2004 , pp. 1458-1469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study, color names focusing on the purple series, appearing in the clothing of the Joseon Dynasty, were classified systematically, and the conceptual meaning of each name were investigated through various method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lor names of purple-series were classified systematically.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scheme of morphemes, color names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single names and composite names. Color names could also be classified into universal and limited names according to the areal distribution of literatures. Secondly, the conceptual meaning of the color names of purple-series were considered. The conceptual meaning could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one 'etymological and dyeing methodological meaning', the other 'color systematic meaning' By studying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color names, comparing and analyzing the material composition of colors, the etymological and dyeing methodological meaning could be grasped. Furthermore, the color systematic meaning of each name could be grasped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of L*, a*, b* values measured from the relics of clothing. Thirdly, the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wer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conceptual meanings of purple-series color names. The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of purple-series color names is forming discrete structure with the dyeing method and material of dyes as their semantic components.
Keywords
Purple color; Color name; Conceptual mean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嘉禮都監儀軌類. 규장각소장 마이크로필름
2 국역조선왕조실록.(1995).(주)서울시스템 제작 CD-ROM
3 憑虛閣 李氏. (1809). 규합총서. 정양완 역주 (1975). 서울: 보진재
4 尚衣院. (1750). 尚方定例. 규장각소장 마이크로필름, 圭11
5 劉同, 鄭玄, 孔潁達. (戰國時代 이후). 禮記注疏. 漢籍電子文 獻 資科庫 十三經. 자료검색을 2003, 8. 자료출처 http://www.sinica.edu.tw
6 저자미상. (1745). 平壤監營重刊老乞大諺解. 重刊老乞大諺解 (영인판). (1984). 서울: 홍문각
7 한국순교복자수녀회. (1996). 오륜대한순교자기념관. 부산: 한국순교복자수녀회
8 저자미상. (조선후기). 度支準折. 규장각소장 마이크로필름, 가람古336.2-T126t
9 박종갑. (2001).토론식 강의를 위한 국어의미론(개정판). 서울: 박이정
10 김순영. (2004). 조선시대 복식의 적색계와 자색계 색명(色名)체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석주선. (1996). 衣. 서울: 단국대학교 출판부 석주선 기념 민속박물관
12 昭顯世子嘉禮都監儀軌. (1627). 규장각소장 마이크로필름, 圭13197
13 徐有矩. (조선후기). 林園經濟志. 서울대학교 고전간행회 영인 (1983). 서울: 서울대학교 고전간행회
14 李圭景. (19세기중엽). 五洲衍文長篓散稿. 五洲衍文長篓散稿 (영인판). (1959). 서울: 동국문화사
15 국립중앙박물관.(1988).한국의 미.서울:통천문화사
16 洪命福. (1778). 方言類譯. 方言類譯 (영인판). (1985). 서울: 홍문각
17 殯殿殯宮都監儀軌類. 규장각소장 마이크로필름
18 崔世珍. (1510년 경). 飜譯老乞大 (上). 한국고전총서간행위원회 영인 (1974). 서울: 대제각
19 李能和. (1927). 朝鮮女俗考. 김상억 역 (1990). 서울: 동문선
20 동궐상감마마긔유팔월의대발긔. (190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영인 (1994). 고문서집성, 12.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1 莊祖獻敬后嘉禮都儀軌. (1744). 규장각소장 마이크로필름, 圭13109
22 李晚氷. (1798). 才物譜. 한국학문헌연구소 영인(1980). 한국학고사전총서, 14. 서울: 아세아문화사
23 李瀷. (1740년 경). 星湖僿說. 민족문화추진위원회 역 (1966). 서울: 민족문화추진위원회
24 저자미상. (晉 $\cdot$ 漢代 이후). 爾雅注疏. 十三經注疏整理委員會整理 (2000).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5 발긔류.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영인 (1994). 고문서집성, 12-13.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6 저자미상. (1670). 老乞大諺解.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무 영인 (1944). 규장각총서, 9
27 임진칠월이십일 의화군관례시 의복하야 보 오신발긔. (189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영인 (1994). 고문서집성, 12.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8 저자미상. (1795). 重刊老乞大諺解. 重刊老乞大諺解 (영인판). (1984). 서울: 홍문각
29 김민수, 최호철, 김무림. (1997). 우리말 어원사전. 서울: 태학사
30 順知宮嘉禮時節次. (1848). 규장각소장 마이크로필름, 圭27008
31 朝鮮王朝實錄. (1955). 국사편찬위원회 영인. 서울: 국사편찬위원회
32 崔世珍. (1510년 경). 飜譯朴通事 (上). 한국고전총서간행위원회 영인 (1974). 서울: 대제각
33 뎡미가례시일긔. (184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영인 (1994). 고문서집성, 13.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4 荀子. (BC 3세기 경). 荀子. 김학주 역 (2001). 서울: 을유문화사
35 저자미상. (1677). 朴通事諺解,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영인 (1943). 규장각총서, 8
36 저자미상, (조선후기), 廣才物譜. 정양완, 홍윤표, 심경호, 김건곤 (1997). 朝鮮後期漢字語彙檢索辭典 -物名攷 $\cdot$ 廣才物譜-.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7 崔世珍. (1510년 경). 飜譯老乞大 (下). 인하대학교부설 인문과학연구소 영인(1972). 인천: 인하대학교 출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