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새만금

Search Result 60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Sediment Deposition and Future Spatial Distribution of Sediment in Saemangeum Freshwater Lake (새만금 담수호의 유사퇴적량 및 장래퇴적분포 추정)

  • Lee, Eun-Jeong;Cho, Young-Kyoung;Kim, Hak-Kwan;Park, Se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581-1585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담수호로 유입되는 유사량과 담수호의 장래퇴적분포를 추정하였다.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범용토양유실량식(Universal Soil Loss Equation; USLE)을 적용하여 새만금 담수호 상류유역에서 발생하는 토양유실량을 산정하고, 총유실량-유사운송비(sediment delivery ratio) 법을 이용하여 담수호로 유입되는 유사량을 추정하였다. USLE에 의한 총 유실량은 2,804 천ton/yr, 새만금 소유역별 평균 유사운송비는 12%, 담수호 유입유사량은 328 천ton/yr으로 추정되었다. 새만금 담수호의 유효저수량과 유입량에 의한 포착효율(trap efficiency)을 고려하여 담수호에 실제 퇴적되는 양을 추정하고 새만금 담수호의 표고별 장래퇴적분포는 Lara method (USBR method)을 이용하였다. 새만금 담수호의 유사퇴적량은 302 천ton/yr으로 산정되었으며, Lara method에 의한 추정결과 5년, 10년 후 각각 새만금 담수호의 내용적이 0.4%, 0.7%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에너지 기행 - 저탄소 녹색성장의 선도모델이 될 새만금산업단지

  • 국가핵융합연구소
    • 핵융합뉴스레터
    • /
    • s.42
    • /
    • pp.16-17
    • /
    • 2009
  • 1991년 방조제 착공과 함께 시작된 새만금간척사업. 농업용지확보를 위해 진행되었던 사업이 새만금종합개발사업으로 내용을 변경하면서 탄력을 받기 시작했다. 방조제는 올해 말 완공된다고 하니, 그 광활한 모습을 살펴보고, 앞으로 진행될 사업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새만금방조제가 시작되는 군산 비응항을 찾았다.

  • PDF

Public Attitudes to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and Its Effects on Marine Environment (새만금 개발사업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

  • Baek, Min-Ji;Choi, Hyo-Yeon;Yoo, Seu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1 no.5
    • /
    • pp.492-500
    • /
    • 2015
  •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public's attitudes about the Saemangeum development project and its impact on marine environment with the data from a national survey of 1,000 households obtained by a professional survey firm with face-to-face interviews using two split samples: a sample of 400 households in on-site area (Saemangeum area) and a sample of 600 households in off-site area (the nation except for Saemanguem area). More specifically, ordered probit model is employed to investigat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public attitudes to the Saemanguem development project. The results show that over 70 percentage of respondents in both the samples opposed Saemanguem development project when they considered its economic gain and impacts on marine environment at the same time. Futhermore, over 90 percentage of respondents judged that environmental management of Saemanguem open sea is necessary. Therefore, making appropriate actions are required to manage marine environment of Saemanguem open sea.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for the Exploitation of Saemangeum New Port (새만금 신항 개발을 위한 물류인프라 구축방향)

  • Hwang, Ho-Ma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4
    • /
    • pp.63-8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for the exploitation of Saemangeum New Port that will be constructed in near future.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paper grasp the change of port logistics circumstances firstly. find out the project of the new port and construct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for the new port with the basic facts of the port competitiveness. The construction of the logistics infrastructure for the exploitation of Saemangeum New Port will be conducted as follows ; (1) Construction of logistics environment (2) Planning the port marketing for the extension a logistic market share (3) Construction of logistics chain and IT Network and finally (4) Construction of logistics community.

  • PDF

Research of inner Saemangeum reservoir flood water level according to the Master Plan (종합개발계획에 따른 새만금호 홍수위 산정 연구)

  • Kim, Dong-Joo;Jo, Keun-Sang;Kim, Ji-Sung;Jung, Jea-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51-555
    • /
    • 2012
  • 정부의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P)이 확정됨에 따라 토지이용별 매립고 산정 등 개발계획의 수립을 위해 정확한 새만금호 홍수위 산정이 대두되었다. 이에 새만금사업 연구 기술 자문기구 업무수행에 관한 협약에 의하여 종합개발계획에 따른 수리 수문 분석 및 매립고 산정의 기술지원을 수행하게 되었다. 새만금 홍수위 산정 방법은 3차원 수치해석 프로그램인 Delft-3D 이용하였다. 100년 및 200년 빈도 홍수 유입에 대해 수계를 통합하였을 경우, 가력배수갑문과 신시배수갑문의 홍수위 차가 다르게 모의되었다. 이는 각각 수계의 홍수도달 차이가 호내 수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어 진다. 08년 새만금 기본계획안과 비교하였을 때 낮게 모의가 되었는데, 이는 배수갑문의 개 폐시간, 내부 토지이용계획의 변화에 따른 담수호 면적 변화, 통합운영시 연결 수로의 제원 등에 따른 복합적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아울러 새만금 호내의 제수문 및 연결수로 등 세부제원에 대한 설계가 확정되면 보다 더 세밀한 모의가 요구되며, 앞으로 종합개발계획(MP)의 홍수위, 매립고 산정, 하상보호공, 호안 및 수제공 등의 수리구조물 설계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terminants of Port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Saemangeum New Port (새만금 신항의 항만경쟁력 결정요인 분석과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 Kim, Jeong-Su;Shin, Ge-Seo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1
    • /
    • pp.125-140
    • /
    • 2009
  • Development strategies of Saemangeum New Port are as follows : First, get port terminal areas to be larger. Second, establish the strategy of investment attrac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argo to be handled in Saemangeum New Port. Third, attract regional cargo from such Chinese provinces as Gangso and Sandongseong so as to differentiate it from the existing ports. Finally, construct such connecting programmes as the strategy of the Hub-and-Spoke calling at ports that can make a mutual win-win competition rather than an opposing competition to attract the cargo from the existing port.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Data for Saemangeum Lake (새만금호 수질 데이터의 분석)

  • Pae, Yo-sop;Yoo, Jae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3-374
    • /
    • 2017
  • 새만금간척사업은 1991년부터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현재도 진행 중에 있다. 그 중 수질은 새만금사업의 성패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따라서 매월 수질조사가 진행되어 왔고, 축적된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개발계획 수립에 반영해 왔다. 그러나 방대한 양의 수질자료는 연평균, 월평균 단위로만 이용되어 왔고, 2006년 새만금 방조제 끝물막이, 2011년 새만금호 수위 낮춤과 같은 특별한 이벤트에 따라 수질변화의 경계를 구분짓는 수준에 그쳐왔다. 이에 따라 새만금호 수질이 연중 변화를 일으키는 양상과 연중 변화를 일으키는 원인에 대한 분석은 미흡하였기에 상류 유역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감소시키는 대책들 위주로 수질대책들이 시행되어 왔다. 본 연구는 어떻게 하면 효과적으로 수질자료를 이용할 수 있고, 수질데이터가 우리에게 어떤 자료들을 생산해 줄 수 있는 가에 대해 검토하였다.

  • PDF

Prediction of Influence Range in Saemangeum Reservoir by Floodgate Operation at Upstream (상류제수문 방류조건에 따른 새만금호의 영향범위 예측)

  • Kim, Se Min;Park, Young Ki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97-301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유역과 호 내의 복잡한 수체 형상, 유입 및 유출 구조를 반영하는데 적합한 모델을 적용하고 재현성이 검토된 모델 결과를 이용하여 호 내 수질을 모의하였다. 또한 구성한 모형의 결과를 바탕으로 만경강, 동진강의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제수문에서의 방류조건을 가정하여 모의를 수행하였다. 방류조건별 모의 결과, M3, D5지점에서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만금호 상류부인 M3, D3지점은 방류조건에 따른 수질개선효과가 큰 것으로 예측되어 만경강과 동진강의 유입수의 영향이 지배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량방류시 영향범위를 거리로 살펴보면 만경강대교에서 새만금호 하류방향으로 약 22 km지점, 동진강대교에서 새만금호 하류방향으로 약 15 km지점까지로 나타났다. 농도변화와 방류조건별 영향범위를 살펴보면, 하류측으로 갈수록 수질개선에 영향을 적게 미치지만, 증가된 방류량에 의해 수질이 개선되어 제수문에서의 방류량 증가는 호 내 수질개선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aemangeum Newport as the Specialized Port (새만금 신항의 특화항만 개발방안 연구)

  • Park, Hyeong-Cha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4 no.4
    • /
    • pp.283-311
    • /
    • 2008
  • Saemangeum Newport plan was included the whole national newport development plans in 1996, and finished the basic execution plan in 1998. Then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Saemangeum Newport development was selected as the leading project in the field of SOC for the great-sphere economic bloc on September 10, 2008. After the announcement, this paper assumed the new quantity of goods transported and the plans to develop Saemangeum Newport as the specialized port. If Saemangeum Newport and the Food processing complex of the rear area are related to the supplied food materials by developing the overseas agriculture, it's possible to create the effect of synergy. When Saemangeum Newport is developed as the exclusive port for the foodstuffs, we can solve the food problem and this port will be the hub of North-eastern Asia's food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his port also will be a proper transit port for the storage of fresh agricultural products to meet the change of the food trend. Therefore, if Saemangeum Newport is developed as the exclusive food port, it will be developed as the competitive port by holding a dominant position.

  • PDF

Examinations of Morphology and Residual Water Quality Parameters on Saemangeum Basin under Gate Operations with SCHISM-CoSiNE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새만금 호내의 지형 및 잔존 수질인자변화 검토: SCHISM-CoSiNE 모형 적용)

  • Yoo, Hyung Ju;Kim, Dong Hyun;Bang, Young J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84-84
    • /
    • 2020
  • 새만금은 농업용지 확보 등 다양한 용도의 토지이용을 목적으로 방조제 공사를 수행하였으며, 새만금 종합개발계획(Master Plan, OPC, 2011)에 의하여 호내의 준설을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방조제 준공 후 새만금 호내의 수질오염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왔다. 수질오염의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 강변저류지 설치, 하수종말 처리장 등 다양한 구조적 대책이 수립되고 시행되었지만, 수질개선 효과는 상대적으로 미비하였다(Kim et al, 2016; KRCC, 2016).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호내의 수질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수질인자의 잔존률 및 하상의 변화를 SCHISM-CoSiNE(Semi-implicit Cross-scale Hydroscience Integrated System Model and Carbon, Silicate, Nitrogen Ecosystem model) 모형을 통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수치모형의 하상변동 및 수질변화에 대한 정확한 수치계산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van Rijn(1987) 실험 및 새만금호내의 수질 관측자료(DO, T-N, T-P, 온도, 염도, 새만금유역 통합환경관리시스템)를 이용하여 수치모형 검증을 수행하였고 10% 이내의 오차를 나타내었다. 배수갑문 운영기록(Jeong et al., 2018)을 참조하여 배수갑문 운영을 재현하였으며, 지형은 기 수립된 MP 내 새만금 종합개발계획이 완료된 시점인 2030년을 기준으로 하였다. 수치모의를 통하여, 배수갑문 운영 및 계절의 변화에 따른 최심 하상변동고 변화 및 하상변동량을 확인하여 침식 퇴적 구간을 구분하였고, 호내의 잔존하는 수질인자의 농도를 통하여 수질개선 효과를 평가하여 수질측면에서 최적의 배수갑문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배수갑문 운영이 새만금 호내의 수질 및 지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이지만 향후에는 다양한 수질인자 및 시나리오를 고려한다면 보다 근본적인 수질오염 해결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