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호작용기술

Search Result 3,095,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사용자 상호작용 서비스를 위한 다차원 실감미디어 기술

  • Ho, Yo-Seong;Kim, Seong-Yeol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6
    • /
    • pp.83-92
    • /
    • 2007
  • 차세대 방송은 시청자에게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는 물론 다양한 상호작용 기능도 제공해야 한다. 사용자 상호작용은 시청자의 행동이 방송콘텐츠에 영향을 주거나 방송콘텐츠가 의도한 상황으로 시청자가 방송을 즐길 수 있게 한다. 차세대 방송은 이러한 사용자 상호작용 서비스를 통해서 보다 실감나는 방송을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요즘 관심을 끌고 있는 3차원 방송은 주로 자유시점 영상서비스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넓은 의미의 사용자 상호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에는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기술의 발전 추세를 살펴보고, 사용자 상호작용 기술에 대한 국내외 상황을 분석해 본다.

A study of Artificial Life Art as Behavior-oriented Art (행동 지향적 예술로서의 인공생명 아트 연구)

  • Park, Nam-Sik;Jung, Moon-Ryu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081-1086
    • /
    • 2009
  • 기술의 발전은 사회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또한 기술의 발전은 예술 영역에 있어서도 형식과 내용에 많은 변화와 영향을 주고 있다. 컴퓨터 아트, 인터액티브 아트, 뉴 미디어 아트라고 불리는 새로운 예술 장르들이 탄생하였으며 예술가들은 다양한 기술과 접목하여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내고 있다. 뉴 미디어 아트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는 상호작용성인데 이것은 예술작품, 예술가, 그리고 관람자의 수용방식에 결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즉 뉴미디어 아트서의 예술작품은 완성태가 아닌 과정(process)으로 주어지고, 예술가는 작업의 초안자 또는 작업의 맥락을 규정하는 자로 규정되며, 작품과 관람자간의 상호작용이 무엇보다 강조된다. 그러나 기존의 뉴 미디어 작품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성은 미리 계산된 범위 안에서 일어나는 제약이 있기에 진정한 상호작용성이라고 보기 힘들다는 비판도 있다. 이런 상호작용성은 공학적 세계관에 갇힌 닫힌 시스템으로서의 상호작용성이라고 말하며 미적인 상호 작용성의 도구로서 열린 시스템으로서의 새로운 작품의 필요성을 제시한 예술가들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예술가들의 발자취를 따라 더 본질적인 미학적 상호작용성에 대한 고민과 함께 그에 따른 새로운 상호작용적 예술인 행동지향적 예술로서 인공지능, 인공생명 아트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Interaction Technique of Physics Based Deformation for User Immersion (물리기반 형상변형의 몰입감 증대를 위한 상호작용기술)

  • Choi, Han Kyun;Kim, Hyun Soo;Lee, Seung Joo;Park, Min Ki;Lee, Kwan H.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216-219
    • /
    • 2009
  • 3 차원 콘텐트를 이용한 물리기반 시뮬레이션은 최근 컴퓨터 그래픽스 분야에서 가장 활발히 연구되는 연구 중 하나이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기술들과 사용자간의 몰입감을 증가시키는 상호작용 기술 역시 계속하여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물리기반 형상변형 기술의 몰입감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호작용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3 차원 객체와 사용자와의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위해서 시스템을 증강현실 환경에서 구현하였다. 증강현실을 이용한 시스템의 제약조건은 실시간 계산이다. 때문에, 제안된 시스템은 RBF(Radial Basis Function) [1] 와 LSM (Lattice Shape Matching) [2, 3] 방법을 조합하여 물리기반 상호작용 기술을 완성 하였고 실험을 통해 실시간 계산을 확인하였다. 또한, 3 차원 객체가 충돌하여 변형이 일어날 때 감각형 객체 (Tangible object)에 진동을 주어 물리기반 형상변형의 사용자 상호작용에 관한 몰입감을 증가시켰다.

A Study on the Effect of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s of MSNG on User Satisfaction (MSNG의 특성과 상호작용이 사용자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Oh, Eun-Ha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4
    • /
    • pp.622-635
    • /
    • 2018
  • On top of present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game space to social space through mobile communication, MSNG reinforces the strengths of SNS and the fun of games through closer networks between users. This study empirically verified the eff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MSNG on interactions and user satisfaction by divid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SNG into graphics, challenge spirit, and reward, and then divid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obile social network service into social interaction and technical interaction. In the results of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MSNG such as graphics, challenge spirit, and reward all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ocial interaction and technical interaction while the social interaction and technical interaction of MSNG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user satisfaction, so that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all selected. The influe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MSNG on interactions might be because of shared feedbacks through graphics, game tasks, and reward in the performance process of MSNG, and such interactions make diverse people have the horizontal or circular communication, which is led to the increase of user satisfaction.

Study of interaction of teachers and family for behavior problem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교사와 가족의 상호작용이 초등부 자폐성장애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성 기술에 미치는 영향)

  • Kang, Minch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4 no.6
    • /
    • pp.1221-1229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eacher and family interaction on behavior problems and social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Survey method was performed with 147 pair samples of a teacher and parents of a child with autism to analyze the influence toward behavior problems and social skills. Samples have been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uch as the high group in which there exists high interaction level in both teacher and family, middle group in which there exists high interaction level in either teacher or family and low group in which there exists low interaction level in both teacher and family. The results show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interaction and social skill of autism children is significant and the level of social skills of high interaction group is higher than that of the middle and low interaction group.

Audio-Based Human-Robot Interaction Technology (오디오 기반 인간로봇 상호작용 기술)

  • Kwak, K.C.;Kim, H.J.;Bae, K.S.;Yoon, H.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2 s.104
    • /
    • pp.31-37
    • /
    • 2007
  • 인간로봇 상호작용 기술(human-robot interaction)은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인 로봇카메라, 마이크로폰, 기타 센서를 통해 인지 및 정서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로봇시스템 및 상호작용 환경을 디자인하고 구현 및 평가하는 지능형 서비스 로봇의 핵심기술이다. 본 고에서는 오디오 기반 인간로봇 상호작용 기술 중에서 음원 추적(sound localization)과 화자인식(speaker recognition) 기술의 국내외 기술동향을 살펴보고 최근 ETRI 지능형로봇연구단에서 상용화를 추진중인 시청각 기반 음원 추적(audio visual sound localization)과 문장독립 화자인식(text-independent speaker recognition)기술들을 다룬다. 또한 이들 기술들을 가정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음성인식, 얼굴검출, 얼굴인식 등을 결합한 시나리오에 대해서 살펴본다.

소프트웨어 로봇을 위한 인간-로봇 상호작용

  • Gwak Geun-Chang;Ji Su-Yeong;Jo Yeong-Jo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33 no.3 s.262
    • /
    • pp.49-55
    • /
    • 2006
  • 인간과 로봇의 자연스러운 상호작용을 위하여 영상과 음성을 기반으로 한 인간-로봇 상호작용 (HRI: Human Robot Interaction) 기술들을 소개한다. URC개념의 서버/클라이언트 구조를 갖는 소프트웨어 로봇에 수행 가능한 얼굴 인식 및 검증, 준 생체정보(semi biometrics)를 이용한 사용자 인식, 제스처인식, 화자인식 및 검증, 대화체 음성인식 기술들에 대하여 살펴본다. 이러한 인간-로봇 상호작용 기술들은 초고속 인터넷과 같은 IT 인프라를 이용하는 URC(Ubiquitous Robotic Companion) 기반의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위한 핵심기술로서 사용되어진다.

  • PDF

The Trend of Technology and Market of HCI for the Wearable Systems (웨어러블 시스템 사용자 상호작용 시장 분석 및 기술 동향)

  • Sohn, M.S.;Park, J.S.;Han, D.W.;Cho, I.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2 s.98
    • /
    • pp.184-191
    • /
    • 2006
  • 본 고에서는 웨어러블 시스템의 개념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술에 대해 살펴본다. 웨어러블 시스템 기술 중에서 최근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용자상호작용 방법(Human Computer Interaction)에 대한 시장동향 분석과 더불어 현재시도되고 있는 다양한 상호작용 방법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웨어러블 시스템을 위한성공적인 사용자 상호작용 모델에 대해 알아본다.

고에너지 이온선을 이용한 분석 기술

  • 김효배;송종한;김희중
    •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s Society
    • /
    • v.6 no.2
    • /
    • pp.122-129
    • /
    • 1996
  •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 MeV의 에너지를 가진 입사이온이 고체 시료표면과 충돌했을 때 여러 가지의 상호작용과 과정들이 일어난다. 입사 아온이 표적원자의 원자가전자나 내각전자와 상호작용을 하였을 때 원자를 여기시키거나 이온화시키게 되며 입사 이온이 표적 핵과 매우 가까이 접근했을 때 입사이온과 표적 핵사이에 쿨롱상호작용이나 핵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여러가지 상호작용의 결과들로부터 분석하고자 하는 시료의 성분, 구조,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고에너지 이온선을 이용한 분석기술로는 Fig.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방산란법(BS : Backscattering Spectrometry), 전방산란법(FRS : Forward Recoil Spectrometry), 핵반응법(NRA : Nuclear Reaction Analysis), 양성자여기X선검출법(PIXE : Proton Induced X-ray Emission)등과 이러한 방법들과 같이 조합하여 사용하는 이온 채널링(ion channeling)등이 있다. 본 해설에서는 이러한 분석법중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는 후방산란법과 이온 채널링에 대하여 주로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지능형 서비스 로봇을 위한 인간-로봇 상호작용 기술

  • 유범재
    • Journal of the KSME
    • /
    • v.44 no.4
    • /
    • pp.63-68
    • /
    • 2004
  • 이 글에서는 로봇에 사용할 수 있는 상호작용 기술들이 아직 초기연구 단계에 머무르고 있어 기존의 얼굴인식과 음성인식 기술동향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하고 미국 CMU의 Human-Computer Interaction Institute(HCII)에서 진행 중인 ACT-R(Adaptive Character of Thought)' 프로젝트를 통해 보다 자연스러운 인간-로봇 상호작용의 개념을 소개해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