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품유형

Search Result 29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성격유형이 정보원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금융상품정보를 중심으로 -

  • Gang, Yong-Hyeok;Jo, Nam-Jae;Kim, Hui-Yeon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163-173
    • /
    • 2005
  • 금융기관들은 개인들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경쟁적으로 수많은 금융상품을 개발하여 판매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상품들은 나름대로 독특한 특성을 지니게 되어, 개인들은 이에 대한 수많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할 필요성을 가지게 되었다. 금융상품정보의 정보원 선택 선호요인으로는 정보원 자체의 특정 이외에도 개인이 가지는 성격적 특징과 환경적 요인들을 들 수 있다. 따라서 개인의 성격유형에 따라 선호하는 정보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상품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원에 대한 선호요인인 개인의 성격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MBTI(Myers Briggs Type Indicator)를 근거로 작성된 성격특성평정척도(Personality Trait Ration Scales: PTRS)를 이용하여 파악된 성격유형들이 금융상품 정보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성격유형변수를 4개의 군집으로 집단화하고 성격요인과 차이분석을 실시한 결과 감정 직관적인 성격이 강한 주관적 감정형, 외향 직관적인 성격이 강한 사교적활동형, 내향 사고적인 성격이 강한 수동적개인형, 인식 판단적인 성격이 강한 합리적이성형의 4개 군집으로 나누어졌다. 8개의 성격요인 중 감각을 제외한 7개 성격요인 모두가 p<. 05에서 4개의 성격유형군집과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적활동형은 여러 정보원 중 'TV'를, 합리적이성형은 '잡지', '금융상품팜플렛', '재테크서적'을, 주관적감정형은 '은행창구직원', '친구나친지'를 선호하였다. 그러나 수동적개인형은 어떠한 금융상품정보원도 선호하지 않았다. 특히, 합리적이성형은 전문금융정보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주관적감정형은 인간적인 면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각 성격유형별로 선호하는 금융상품정보원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개인의 정보욕구를 보다 더 만족시킬 수 있는 하나의 요인으로 성격요인과 정보원의 차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며, 금융정보를 제공하는 주체들에게 각 정보원에 적합하도록 정보의 성격에 관한 특성요인과 고객선호정보원을 살펴볼 수 있는 정보취득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Consumer Needs for Products, Service, and Integrated Product Service : Focusing on Amazon Online Reviews (제품, 서비스, 융합제품서비스의 소비자 니즈 비교 분석 :아마존 온라인 리뷰를 중심으로)

  • Kim, Sungbu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7
    • /
    • pp.316-330
    • /
    • 2020
  • The study analyzes reviews of hardware products, customer service products, and products that take the form of a convergence of hardware and cloud services in ICT using text mining. We derive keywords of each review and find the differentiation of words that are used to derive topics. A cluster analysis is performed to categorize reviews into their respective clusters. Through this study, we observed which keywords are most often used for each product type and found topics that express the characteristics of products and services using topic modeling. We derived keywords such as "professional" and "technician" which are topics that suggest the excellence of the service provider in the review of service products. Further, we identified adjectives with positive connotations such as "favorite", "fine", "fun", "nice", "smart", "unlimited", and "useful" from Amazon Eco review, an integrated product and service. Using the cluster analysis, the entire review was clustered into three groups, and three product type reviews exclusively resulted in belonging to each different cluster. The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whereby consumer needs are expressed differently in reviews depending on the type of product and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product planning and marketing promotion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in practice.

An Evaluation on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Food Products on Tourist Satisfaction (외식 상품의 서비스 품질이 관광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평가)

  • Woo, Moon-Ho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16 no.2
    • /
    • pp.258-269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an evaluation on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food products on tourist satisfaction. Style, pleasantness, reliability, kindness, and guarantee were selected as service quality factors for this study. Also, expected effects, purchase inten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were used to examine tourists' satisfaction level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food products and tourist satisfaction, it used one hundred twenty sample cases. The results service quality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s of service quality were draw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ervice quality. Second, the service quality of food products had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levels of purchase behavior. Third, the types of service quality and the satisfaction levels of purchase behavi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 PDF

Provide Test and Customized Product Recommendation Service Development of Shopping Mall Web Site (테스트 및 맞춤형 상품 추천 서비스 제공 쇼핑몰 웹 사이트 개발)

  • Seungjae Yu;Doyoung Im;Sohyeon Jeon;Yeha Hwang;JaeHong Choi;YongWan Ju;JunDong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705-708
    • /
    • 2023
  • 본 논문은 사용자의 피부 상태에 따라 사용자에게 적합한 화장품을 소개해주는 화장품 추천 웹 쇼핑몰, "PBTI"를 개발한다. 요즘 유행하는 성격 유형 설문조사인 MBTI에서 영감을 받아 피부 유형과 퍼스널 컬러를 검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화장품을 추천하는 온라인 쇼핑몰 웹사이트를 제작하게 되었다. 바우만 교수의 피부 유형 지표를 바탕으로 제작된 질문을 통해 사용자들의 피부 유형을 검사하고 해당 피부 유형 결과에 따른 상품을 추천해주는 알고리즘이 탑재되어 사용자에게 맞는 상품을 추천해준다. 텐서플로우 기반의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퍼스널컬러 테스트를 제작하였다. PBTI의 이러한 무료 테스트 서비스 제공은 다른 온라인 뷰티 쇼핑몰과 극명한 차별점을 만들고, 쇼핑몰 매출을 크게 증대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Shopping Behavior of Korean Overseas Tourist Groups Based on Travel Motivation (여행동기에 따른 해외여행자 집단별 쇼핑행동 비교)

  • Jeon, Yangjin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7 no.1
    • /
    • pp.25-37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여행 동기에 따라 여행자들의 집단을 나누고 각 집단별로 해외여행시 구매하는 상품이나 이용 매장의 특성을 비교하는데 있다. 문헌연구를 통해 여행동기와 구매상품의 종류와 속성, 쇼핑장소의 유형과 속성에 대한 주요 문항들을 추출하였다. 20-50대 해외여행 경험자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K-평균 군집분석을 통해, 적극적 집단, 소극적 집단, 자연 쾌락추구 집단, 가족 발견추구 집단의 4개의 군집이 확인되었다. 적극적인 여행자들은 해외에서 구매하는 모든 상품종류에 대해 가장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다른 세 집단보다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특히 소극적인 여행자나 자연 쾌락추구 여행자들보다 패션 사치품이나 기념품 구매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품 속성에서 디자인과 명성, 실용성, 가격과 품질 등의 요인들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구매 장소 측면에서는 적극적 집단은 지역 시장, 패션매장, 선물매장 순으로 선호하였으며 소극적인 여행자들은 패션매장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장소 속성의 중요도는 편의성, 디스플레이, 매장위치 및 판촉활동 순으로 중요시되었으며 적극적인 여행자들은 다른 세 집단 여행자들보다 매장 편의성에 대한 관심이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 발견중심 여행자와 자연 쾌락추구 여행자 집단은 쇼핑행동이 비슷하거나 일부 요인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소극적 여행자들은 나머지 세 집단과 구별되게 모든 쇼핑행동에 대한 관심이 낮았다. 여행동기에 근거한 시장세분화는 서로 다른 쇼핑행동을 예측할 수 있는 변별력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의류브랜드 유형에 따른 패션디자이너 업무의 비교분석: 국내 여성복 브랜드 상품기획 과정을 중심으로

  • 이은아;권혜숙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4.05a
    • /
    • pp.63-63
    • /
    • 2004
  •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다양한 규모와 특성을 가진 국내 의류업계에서 패션 디자이너의 업무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이다. 국내 여성복 브랜드의 패션디자이너들이 집중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세 가지 브랜드 유형 내셔널 브랜드ㆍ디자이너브랜드ㆍ무브랜드(동대문 의류상가)를 중심으로 상품기획 과정에서 패션디자이너들이 수행하는 업무의 내용과 수행정도의 차이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중략)

  • PDF

A Study on Subjective Recognition of One Authorized District for Large Retailers' Home Meal Replacement PB Products (대형유통업체 가정간편식 PB상품에 대한 1인가구의 주관적 인식에 관한 연구)

  • Kim, Dong-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12
    • /
    • pp.309-318
    • /
    • 2018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subjective perceptions of one retailer's PB products for large retailers by applying the Q methodology to examine subjective trends of consumers who purchased and experienced PB products at home.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HMR-type PB products developed and released by large retailer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ally changing social structure represent the meaning and subjective acceptance of PB products in a single licensee through Q methodological stud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various direction and improvement plan of food product development and release for one license of large distribution company in the future. Based on these research problems, five types of type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Specifically, the first type (N = 5): Brand image trust type, the second type (N = 5): NB product preference type, the third type(N = 2): Easy cooking preference type, and fourth type (N = 2): Pursuing taste for price type and fifth type (N = 2): Quantitative pursuit for price type.

Subjectivity Type Analysis Study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Meal Kit Products of Food Service Industry (외식업체 밀키트(Meal Kit)상품에 대한 1인가구의 주관적 인식유형 분석연구)

  • Kim, Chan-Woo;Lee, Kang-Y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4
    • /
    • pp.406-415
    • /
    • 2020
  • This study applies Q methodology that can extract subjective opinion or recognition structure for each single household whose Meal Kit products developed and marketed by catering companies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structure that changes socially. Implication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subjective recognition type analysis in this study, four types were derived, and each type was named according to its specificity as follows. Type 1 (N = 6): Appearance Assessment Purchase Type, Type 2 (N = 6): Price Comparison Purchase Type, Type 3 (N = 10): Brand Trust Purchase Type, Type 4 (N = 2) : Easy Cooking Purchase Type was analyzed for each unique feature typ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bjective opinion or recognition structure of single-person households whose Meal Kit products are the main demand group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future food product development and launch for single-person households through the analysis by ty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cademic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Brand License Effects on Consumer's Preception - Focus on Perceived Risk and Congruence between Product and Brand type - (브랜드 라이센싱이 소비자지각에 미치는 연구 - 상품유형과의 적합성이 지각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 Kim, Sang-Jo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4 no.2
    • /
    • pp.79-9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erceived risk and brand attitude on licensing brands comparing with non-licensed brands(virtual brand). Data was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in quasi-experimental design setting. I designed the experimental setting that there were two virtual companies to sell the luxury bags(symbolic goods) or cruise tour(experiential goods) and to launch their goods with own brand or licensed brand. The experimental groups were composed of women consumers who were familiar with consuming experiential goods and symbolic goods. Results from the experiment suggest that consumer's perceived risk on brands gives a negative impact on brand attitude. And congruence in goods types and licensed brand values leads to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ceived risk. In experiential goods, brand licensing from famous and experiential brands can reduce perceived risk. But in symbolic goods, brand licensing effect which reduces the perceived risk is less effective than in experiential goods. This findings suggest that brand licensing may lower the level of consumer's perceived risk, but incongruity in goods type and brand value may result in strategic failu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