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위 제어기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2초

계층적 관리제어

  • 박성진;조광현;임종태
    • 제어로봇시스템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46-53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구조를 가진 이산사건시스템의 관리 제어이론에 대해 알아본다. 특히 하위레벨(low level)과 상위레벨(high level) 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의 이산사건시스템에서 레벨들 사이의 정보 전달을 바탕으로 상위레벨에서 설정된 사양을 만족시키기 위한 상위레벨 및 하위 레벨의 관리제어기 설계기법을 소개한다. 계층적 구조에서 관리 제어 목적은 계층적 일치성의 개념으로 정의되는데, 이것은 설계된 하위 레벨 관리제어기에 의해 제어된 하위 레벨 이산사건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상위 레벨로의 정보사상이 주어진 상위레벨의 사양과 일치함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위레벨 상에서 임의의 사양이 주어질 때 계층적 일치성을 만족하게 하는 관리 제어기가 존재하기 위한 계층적 이산사건시스템의 동작특성과 레벨들 사이에서의 정보전달의 특성을 소개한다. 또한 설계된 관리제어기를 포함하는 전체 관리제어 시스템에서 계층적 일치성 및 비막힘성의 동시 만족에 대한 관리 제어 문제를 소개한다.

  • PDF

가변 풍속시 운전모드 절환을 고려한 이중여자 유도형 풍력발전기의 시뮬레이터 (A Wind Turbine Simulator for Doubly-Fed Induction-type Generator with Automatic Operation Mode Change during Wind Speed Variation)

  • 송승호;심동준;정병창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349-360
    • /
    • 2006
  • 이중여자 유도형 풍력발전 시스템은 다른 풍력발전 시스템에 비하여 에너지 변환 효율이 우수하고 전력변환 장치의 용량이 작아도 되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살리기 위해서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입력되는 에너지의 변화를 고려하여 발전기의 제어기를 설계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위 제어기와 하위 제어기로 구분하여 이중여자 유도 발전기의 제어기를 설계하였다. 상위 제어가는 풍력발전 시스템에 입력되는 에너지가 변화함에 따라서 발전기의 운전모드를 결정하고 제어 기준값을 계산한다. 발전기의 운전모드는 최저 속도 제어와 가변 토크 제어, 그리고 토크 제한 모드로 구성된다. 하위 제어기는 상위 제어기의 지령에 따라서 발전 시스템의 전류를 제어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3kW급 권선형 유도기를 사용한 이중여자 유도형 풍력발전기의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다. 설계한 제어기는 시뮬레이터에 적용하여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속도 제어와 차간거리 제어 수용성 개선을 위한 종방향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Longitudinal Algorithm to Improve Speed Control and Inter-vehicle Distance Control Acceptability)

  • 김재이;박만복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73-82
    • /
    • 2022
  • 자율주행 시스템의 수용성 보장은 중요하다. 시스템 수용성 요소 중 하나인 자율주행 종방향 제어기는 상위 제어기와 하위 제어기로 구성된다. 상위 제어기는 Cruise 제어와 Space 제어를 상황에 맞는 제어를 결정하고 필요한 목표 속도를 만든다. 하위 제어기에서는 목표 속도를 추종하기 위한 가속도 신호를 만들어서 제어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상위 제어기에서 Cruise 제어와 Space 제어전환 문제에서 발생하는 차간거리 변동을 개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Cruise 제어에서 Space 제어로 전환되는 시점에 Cruise 제어에 Approach 알고리즘을 추가하여 전환 거리에서 Space 제어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 12m 초기 오차에서 ±4m까지 오차를 개선했으며 실차검증을 수행하였다.

연료전지차량용 스택 전압 측정 제어기 모듈 개발 (The development of Stack voltage monitor controller for FCEV)

  • 정재욱;박현석;전윤석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79.2-79.2
    • /
    • 2010
  • FCEV(Fuel Cell Electric Vehicle)는 연료전지스택의 각 셀에서 반응하는 화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차량을 구동하는 시스템이다. 이러한 연료전지 셀이 정상적인 발전이 되지 않을 경우 비정상적인 전압이 발전되고 이것을 방치한다면 연료전지 스택의 영구적인 고장을 야기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SVM(Stack Voltage monitor) 제어기는 각 셀의 전압을 측정하고 그 정보를 상위 제어기인 FCU(Fuel cell Control Unit)에 전달한다. 이에 FCU는 연료전지스택의 고장을 운전자에게 알리고 연료전지스택의 발전을 멈추게 한다. 기존에 SVM 제어기는 각 셀마다 분압저항을 통하여 측정하며 이 전압의 차를 이용하여 셀 전압을 계산하는 방식이었다. 이는 상위 셀로 갈수록 오차가 커지는 문제가 있고 다수의 CPU 및 DC/DC 컨버터가 적용이 필요하여 복잡한 구성과 가격이 높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cell monitoring IC를 적용하였고 좀 더 정밀한 측정과 간단한 인터페이스를 구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SVM 제어기보다 안정되고 정밀한 SVM 제어기의 개발에 대해 기술하였다.

  • PDF

객체 지향 방법론을 이용한 상위 지능형 제어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Upper Intelligent Control System using the Object Oriented Method)

  • 이봉국;황재기;신용학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합동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23-126
    • /
    • 2001
  • 종합적인 공정 제어 자동화 시스템 구현을 위해 계층적이고 개방형 방식에 의한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위 계층 시스템은 하위 계층 제어 시스템의 제어기 설정치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다양한 의사결정(Decision Making)방법을 도입하여 하위 계층 시스템과 연계하여 계층적인 종합 공정 제어 자동화 시스템 구축을 시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위 계층 시스템 구현을 위해 신경회로망 방식을 채택한 상위 지능형 제어 시스템을 제안하여 연속형 프로세스의 최적 의사 결정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를 실현화 하는데 있어 UML방식의 객체지향 설계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시스템의 재 사용성 및 확장성을 가지는 개방형 상위 의사 결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을 수처리 연속 공정인 약품주입 공정에 적용하였다.

  • PDF

통합운전을 위한 선형가속기 제어시스템의 개선 (IMPROVEMENT OF LINEAR ACCELERATORY CONTROL SYSTEM FOR COOPERATION)

  • 윤종철;김재명;김성철;이진원;이태연;남상훈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504-2506
    • /
    • 2000
  • 포항가속기(PLS) 제어시스템은 선형가속기와 저장 링 제어시스템으로 분산 독립형으로 운영되어 왔다. 각각의 제어시스템의 구성상 상이한 H/W, S/W구조로 인하여 통합제어의 실현을 구현하지 못하여, 빔 운영상의 두 곳의 운전 감시업무로 인한 인력소요의 낭비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선형가속기 및 저장 링 제어시스템의 제어알고리즘의 장점만 살려, 통합운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제어 분야만 새롭게 설계된 개선된 제어시스템에 적용하였다. 개선된 제어시스템의 구성은 디바이스제어에서 GUI(Graphic User Interface)단계까지의 3단계의 제어구조에서 SCC(Subsystem Computer Control System)를 생략한 디바이스 제어 컴퓨터와 GUI실현을 위한 상위 컴퓨터로 운영되고 있다. 디바이스 제어 컴퓨터는 VMEbus 구조의 OS-9 ver3.03 real-time OS가 적용되어 있으며, 상위는 SUN Workstation 환경에 UNIX 운영체제에 Rtworks가 적용되었다.

  • PDF

성능평가 계층이 있는 자기구성 퍼지제어기 (A Self-Organizing Fuzzy Logic Controller with a Performance Evaluation Level)

  • 김동현;이평기;전기준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21-34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파라미터의 변호가 있는 경우에 수렴성이 떨어지는 FARMA 자기구성 퍼지제어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수렴성을 평가하여 제어입력을 보상하는 상위 계층이 있는 자기구성 퍼지제어기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하위계층에서 FARMA 자기구성퍼지제어기, 상위계층에서는 조정자가 시스템의 수렴성을 평가하여 수렴성이 저하되는 것이 감지되면 출력 오차와 오차 변화율에 따라 구성된 보상표에 의하여 보상 제어입력을 구해 더해주므로써 수렴성을 개선시키도록 하였다. 도립진자 시스템에서 시스템 파라미터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 대해 컴퓨터모사한 결과 제안한 방법이 FARMA 자기구성 퍼지제어기에 비하여 응답특성이 개선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제주-해남 HVDC 시스템의 EMTDC 모델링 (EMTDC Modeling of Cheju-Haenam HVDC System)

  • 김찬기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6권1호
    • /
    • pp.1-12
    • /
    • 2001
  • 본 논문은 제주-해남 HVDC 시스템의 시율레이션음 다루고 있으며 본 논문의 목적은 HVDC 시스템플 정말하게 모델링 하여 실제의 HVDC 변환소의 레코더에 나타난 파형과 동일한 파형을 만들어 내는 것이며 시스템의 정밀한 모델링을 통하여 INDC 시스템의 제어 게인과 제어기 동작 특성 그리고 HVDC 시스템의 운전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주-해남 HVDC 시스템은 상위 제어기는 디지털 제어기로 되어 있으나 실제적으로 싸이리스터 밸브를 동작시키는 전략전자 수준의 제어기는 아날로그 제어기로 되어있기 때문에 정밀한 제어 동작을 모델링하기 위해서 아날로그 제어기의 비션형 특성을 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은 PSCAD!EMTDC로 구현하였으며 시뮬레이션 결과는 실제의 HVDC 운전 파형과 비교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PDF

적응 알고리즘을 이용한 ESC와 ARS 기반 요 모멘트 분배 (Adaptive Algorithms for Yaw Moment Distribution with ESC and ARS)

  • 임성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40권12호
    • /
    • pp.997-1003
    • /
    • 2016
  • 본 논문은 자세 제어 장치와 능동 후륜 조향장치를 가지는 통합 섀시 제어에서 요 모멘트 분배를 위해 적응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통합 섀시 제어는 상위제어기와 하위제어기로 구성된다. 상위제어기에서 슬라이딩 모드 제어 이론을 이용하여 차량을 안정화시키는데 필요한 제어 요 모멘트를 계산한다. 하위제어기에서는 제어 요 모멘트를 만들어 내기 위해 자세 제어 장치의 제동 압력과 능동 후륜 조향장치의 조향각을 결정하는 데에 적응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차량 시뮬레이션 패키지인 CarSim에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일반적인 유연조인트 로봇에 부합되는 견실제어설계 (Robust control design applicable to general flexible joint manipulators)

  • 김동환;챈 예화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10-18
    • /
    • 1998
  • 불확실한 변수와 비선형성을 가지는 유연조인트 로봇의 견실제어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본 시스템에서 불확실구조는 일치성을 유지하지 않는 불일치성 불확실 시스템이다. 제어기는 리아노프의 방안에 근거를 두고있다. 견실제어는 연산토크법을 사용하고 삽입제어기법을 통하여 좌표변환을 통해 구성된다. 제어기 설계과정은 우선 연산토크방법에 의해 시스템 동역학에서 정격부분을 선형으로 2개의 부분시스템으로 구성한다. 이후 좌표변환을 이용하여 각 부분시스템에 제어기를 구축한다. 이 방안을 통하여 관성 행렬이 알려진 값인 경우 이 행렬의 상위한계 조건없이 제어기를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형태의 로봇에도 적용 가능한 제어알고리즘이 된다. 설계된 견실제어는 변환된 시스템이나 원시스템 모두 실용적 안정성을 보장한다. 이 변환은 단지 불확실변수의 최대 한계값의 정보만을 요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