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업젠트리피케이션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2초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입지적 요인과 변화특성 분석 (An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Business Change in the Commercially Gentrified Residential Areas in Seoul, Korea)

  • 이기훈;이수기;천상현
    • 지역연구
    • /
    • 제34권1호
    • /
    • pp.31-47
    • /
    • 2018
  • 본 연구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입지적 요인과 변화 특성을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은 단독주택 연면적 비율이 높고 근린생활시설이 많은 주거지역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고속도로 및 지하철 입구와 대학교 그리고 많은 사람을 끌어들일 수 있는 인구 집중시설과 거리가 가까운 곳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어션이 발생한 집계구의 도로 특성은 도로 길이가 길고, 도로 면적이 작으며, 도로망 네트워크의 부분 통합도 값이 크고, 3지 교차로가 많은 집계구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이 골목길과 같은 유기적 도로망과 단독주택 위주의 낮은 주거밀도 그리고 인구유발시설과의 접근성이 좋은 곳에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어서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의 변화특성을 살펴보면, 2006년과 비교하여 2014년에 커피숍과 주점이 증가하고 근린생활시설의 수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점과 한식 음식점의 폐업기간은 2006년과 비교하여 2014년에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발생 주거지역에 대한 입지특성과 토지이용변화를 토대로 주거지역의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상업젠트리피케이션에 따른 기존 상인의 이탈: 후기 진입 상인과의 생존율 변화 비교 (Displacement of Early Business Entrants in a Gentrified Commercial Area: Survival Rates Compared to Those of Late Arrivers)

  • 천상현;김지은
    • 토지주택연구
    • /
    • 제13권2호
    • /
    • pp.91-115
    • /
    • 2022
  • 본 연구는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에서 기존 상인(초기진입상인)과 후기진입상인간의 생존율 차이에 대해 비교·분석하였다. 2000년 무렵부터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되어온 홍대 일대 상업지역을 실험군 지역으로 정하고 마포구 내 그 외 상업지역을 대조군 지역으로 설정하여 초기 및 후기진입 상인 간의 생존율 차이를 업종별로 검토하였다. 아울러, 프랜차이즈업과 비프랜차이즈업의 소유구조에 따라 실험군과 대조군 지역에서 생존율의 차이 유무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홍대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에서는 요식업, 카페및베이커리업, 유흥업 전반에 걸쳐 기존 상인의 생존율이 후기진입상인에 비해 낮은 것으로 밝혀져 '기존상인 이탈현상' 가설을 증명하였다. 반면 대조군 지역에서는 두 그룹간 생존율 차이는 크지 않았으며 근린상업의 경우 기존 상인의 생존율이 후기진입상인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어, 젠트리피케이션 상권과는 확실하게 대별되었다. 프랜차이즈점의 경우 홍대 앞 상권이나 대조군 상권에서 모두 비프랜차이즈 업체보다 생존율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프랜차이즈점만을 비교할 경우 영업 3년차까지는 홍대 앞 상권에 위치한 프랜차이즈점이 생존확률이 더 높았지만, 영업 3년 이후에는 대조군 상권에 위치한 프랜차이즈점의 생존확률이 더 높은 결과를 보인다. 이는 프랜차이즈의 이점이 시장 변화가 급속한 젠트리피케이션 환경에서 오랫동안 유지될 수 없음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 지역에서 기존 상인의 이탈과 생존환경의 불리함에 대한 다양한 가설 및 일화적 스토리를 보다 체계적이고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위협인가 기회인가? 젠트리피케이션에 대응하는 예술기업가 연구 - 문래문화살롱 사례를 중심으로 - (Opportunity or Threat?: Case Study of an Arts Entrepreneur Responding to Gentrification)

  • 이주은;나혜영;장웅조
    • 예술경영연구
    • /
    • 제50호
    • /
    • pp.147-175
    • /
    • 2019
  • 젠트리피케이션은 본래 도시의 낙후된 지역이 중산층 이상의 주거지 또는 상업 지구로 변화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도시재생에 대한 관심의 일부로 예술경영계에서 주목받고 있는 이 개념은 그러나 일반적으로 많은 예술가들의 터전을 빼앗는다는 부정적 의미를 지니며 위협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젠트리피케이션의 위협을 줄이고 지역공동체에 대한 깊은 이해와 소명의식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데에 있어 예술기업가정신을 주목한다. 문헌연구를 통하여 예술기업가를 둘러싼 산업 구조적 특징을 경제, 조직, 개인 영역으로 분류하고, 젠트리피케이션의 위협적 요소에 대응하는 예술기업가의 7가지 요소를 도출한 후 이를 분석틀로 삼아 이미 젠트리피케이션이 상당히 진행된 서울 문래창작촌의 문화기업인 문래문화살롱을 운영하고 있는 한 예술기업가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단계별로 예술기업가의 소명의식, 적정규모 추구, 진정성 추구, 지역연계 강화, 투명한 리더십, 새로운 예술가/관객 개발의지, 브리콜라주의 7가지 요소가 젠트리피케이션의 위협을 줄이거나 오히려 기회로 만들어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젠트리피케이션의 진행 단계에 따라 장르별 예술가의 역할이 다를 수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장르별 예술가들 간의 갈등을 극복하고 커뮤니티와의 상생으로 도시의 가치를 높이도록 하는 예술기업가정신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서울시 주거지역 내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단계별 변이과정 분석 연구 - 상업 업종의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Variation Process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Phase in Residential Area in Seoul - Focused on Business Type of Commercial Characteristics -)

  • 류화연;박진아
    • 국토계획
    • /
    • 제54권1호
    • /
    • pp.40-51
    • /
    • 2019
  • The ultimate aim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rocess stage and look at the step change of transition process to see how the step changes. Therefore, in this study,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by examining four types of commercial characteristics such as Retail Homogeneity, Share of Neighbourhood store, Share of chain store, and Share of cafe & Western food store. Through the cluster analysis, three types have been identified. Type1 is the first step which can explain the time before gentrification occurs and when the ratio of neighborhood facilities is the highest. Type2 is the second step that can explain boutique stage where the gentrification occurs. At this time, the ratio of Cafes & Western food restaurant increased and the proportion of neighborhood shops decreased. And Type3, third step is when the mature gentrification occurs. In the analysis of the transition period,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change of the industry in the perio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second stage.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second stage to the third stage, It is necessary to constantly monitor such factors as the increase of shops.

빅데이터를 활용한 젠트리피케이션 상권의 장소성 분류와 특성 분석 -서울시 14개 주요상권을 중심으로- (Classifying and Characterizing the Types of Gentrified Commercial Districts Based on Sense of Place Using Big Data: Focusing on 14 Districts in Seoul)

  • 김영재;박인권
    • 지역연구
    • /
    • 제39권1호
    • /
    • pp.3-20
    • /
    • 2023
  • 본 연구는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한 상권의 장소성을 파악하여 상권의 확장과 쇠퇴 속에서 장소성의 구체적인 모습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징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셜 미디어를 통해 수집된 대용량 문서를 활용하여 위계적 군집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지역별 장소성을 인지적 차원의 <경험>과 실재적 차원의 <상권특성>으로 구분하여 상권 군집별 특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 디리클레 할당(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토픽모델링 기법과 서울시 우리마을가게 상권분석서비스를 통해 수집된 상권별 매출액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상권은 고유한 특성을 가진 '연극 상권', '전통문화 상권', '여성 미용 상권', '고급음식점 및 의료서비스 상권', '트렌디 상권'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지역별 특색에 맞는 상업정책들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시 상업젠트리피케이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nfluential Factors on Commercial Gentrification in Seoul)

  • 김경선;김동섭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40-348
    • /
    • 2019
  • 본 연구는 2015년에서 2018년간, 자료가 축적된 서울시 158개 상권별 주요변수를 이용하여, 상업젠트리피케이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짓모형과 기계학습 방법론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로짓분석 결과 log(상권 월평균임대료), 음식 소매업종 총매출대비 40세 이하 매출 비중이 유의수준 1%수준에서, 음식 소매업종 30대 여성 객단가 변화는 유의수준 5%에서, 프랜차이즈업종 2년이내 개업한 업소비율 변화는 유의수준 10%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기계학습 결과 중요도가 높은 순서는 상권 전체 바닥면적, 상권의 월평균 임대료, 40세 미만 유동인구 비율, 프랜차이즈 30대 객단가, 음식 소매업종 30대 여성 객단가 변화 등 5개이다. 본 연구의 기여는 세 가지이다. 첫째, 본 연구는 서울시 전역의 상업 공간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상업젠트리피케이션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하여, 예측지표 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를 제공하였다. 끝으로 기계학습 분석을 추가하여 다양한 접근방법을 소개하였다.

시공간패턴분석기법을 이용한 젠트리피케이션 발생지역의 상업용도 확산지역 도출 - 서울시 북촌 사례를 중심으로 - (Using Space-Time Pattern Analysis to Detect Commercial Diffusion Area in Gentrified Area - Focused on the Case of Bukchon in Seoul -)

  • 김동현;박진아
    • 국토계획
    • /
    • 제53권7호
    • /
    • pp.23-37
    • /
    • 2018
  •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 proliferation of commercial uses in the area where Gentrification occurs. In order to cope with such a diffusion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diffusion area accurately. Gentrification has a feature that occurs locally in a short time. Therefore, this study used the space-time pattern analysis to derive the diffusion area of commercial uses in Bukchon, a typical gentrified area in Seoul. Among the space-time pattern analysis, space time permutation statistics used in this study can derive the convergence phenomenon of time and space in a particular case with only the location informa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re has been three proliferation area in Bukchon, one started in 2007, other in 2013 and the other in 2014. In the earliest area, independent shops were the most popular, and the majority of them were restaurants. However in latter areas, there has been more chain stores and clothing stores than earlier area.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pace time pattern analysis can be used as a tool to analyze the proliferation by gentrification because it can derive accurate location and timing of the diffusion.

서울시 홍대상권 내 업종변화 필지의 공간적 특성 분석 - 상업 젠트리피케이션의 관점에서 -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Type-Changed Parcel in Hongik-University Commercial Area, Seoul - Focused on the View Point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

  • 김동준;김기중;이승일
    • 국토계획
    • /
    • 제54권2호
    • /
    • pp.5-1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type-changed parcel in the Hongik-University commercial area, from the view point of commercial gentrification. A commercial gentrification occurs through a business-type-change in a spatial basic unit (microscopic spatial unit such as parcel) of an area which has not been considered in relavent policies and research. So,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business-type-changed parcels using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new developments in the adjacent area occur, the business-type-change probability increases. Second, by the commercial area division, the business-type-change probability is different. Finally, the accessibility is better, the probability is higher. These results could suggest that a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rm microscopic viewpoin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ommercial gentrification. And these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a gentrification diagnostic and management system, which can predict gentrification from the view point of business-type-change on the basis of a parcel.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 종합대책' 분석 및 개선점 제안 - 「지역상생발전 특별법」 내용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Comprehensive Plans for Gentripication in Seoul' and Suggestions for it's Improvement - Focused on 「Special Act on the Rocal Collaborative Development」 -)

  • 김수영;신재섭;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0호
    • /
    • pp.13-23
    • /
    • 2018
  • "Special Act on the Rocal Collaborative Development", proposed by Seoul in late 2015, aims to promote win-win cooperation between local economic players and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However, since it is not possible to ensure its effectiveness by signing a local collaborative agreement, the rights and duties granted to the Parties to the Convention shall be more clearly defined. In addition, it is feared that the application of a uniform standard to businesses that wish to restrict the operation within the local collaborative development zone could prevent the operation restriction based on loc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based on the FBR system in the U.S., it is possible to define the business as a "uniform store" an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 uniform store to be sold through zoning plans in the region by the Local Collaborative Community Council.

식품접객업 인허가 추이 및 입지패턴 변화 분석을 통한 지역별 젠트리피케이션 전개 특성 연구 - 경복궁서측, 익선 지구단위계획구역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Progression Characteristics of Gentrification by Region through Analyzing the Change of Permit and Location Patterns of the Food Service Businesses - Focused On the District Unit Planning Areas of Seochon, Ikseon -)

  • 김수영;최재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8호
    • /
    • pp.111-12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timing of Gentrification by the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licensing data for food service businesses under the correlation with regional policies and systems. In addition, by analyzing the change in location patterns of the food service business in the district unit plan zones, the cause, development patterns and regional differences were identified. Starting with the Seoul hanok declaration in 2008, the approval of the food service business began to increase, and the floating population increased with the restoration of the Suseong Valley in 2012, and the concentration of food service business increased significantly on the waterway (Jahamun-ro 7-gil). Since the designation of Ikseon-dong as an urban environment readjustment zone in 2004, the approval of new food service business has been very low until around 2014, when the cooperative establishment committee is dissolved, and as the district unit plan for the preservation of hanok and regional management is being established, the number of new permits has exploded to date and restaurants in hanok conservation zones has been a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