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변화온도

Search Result 167,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The study for phase change properties of Se added $Ge_2Sb_2Te_5$ thin films ($Ge_2Sb_2Te_5$ 박막의 Se 증가에 따른 상변화 특성 연구)

  • Lim, Woo-Sik;Kim, Sung-Won;Lee, Hy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7.06a
    • /
    • pp.166-166
    • /
    • 2007
  • PRAM (phase-change random access memory)은 전류 펄스 인가에 따른 기록매질의 비정질-결정질 간 상변화와 그에 동반되는 저항변화를 이용하는 차세대 비휘발성 메모리 소자로서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Ge_2Sb_2Te_5)_{1-x}Se_x$ (x=0,0.05,0.1,0.15) 조성에 대한 벌크 및 박막시료를 제작하고 각 조성에 대한 상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XRD를 통해 열처리 온도에 따른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고 UV-Vis-IR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박막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 조성의 결정화 속도를 비교하기 위해 static tester를 사용하여 레이저 펄스 시간에 대한 반사도 변화를 측정하였고 DSC를 통해 결정화 온도를 측정하였다.

  • PDF

이동경계 문제 의 유한요소 해석

  • 민옥기
    • Journal of the KSME
    • /
    • v.24 no.4
    • /
    • pp.275-283
    • /
    • 1984
  • 유한요소기법은 원만한 온도변화를 갖는 이동경계문제에 대해 적용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상변화가 일어나는 요소에서 어느 한 시간 단계에 변화할 수 있는 온도의 범위는 상변화 온도 구간 보다 적어야 원만한 수치해를 얻을 수 있음을 소개하였다. 잠열의 효과를 엔탈피의 온도에 대한 변화율로 처리하여 열용량 행렬을 계산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급격한 변화를 갖는 온 도분포를 수치적으로 근사해를 구할 때 나타나는 파동형상은 연속적인 변수를 부분적으로 근사 해를 가정 하는데서 포함되는 오차에 기인한다. 따라서 이러한 급격한 변화의 변수를 취급하는 기법이 요구된다. 상변화를 수반하는 이동경계문제는 물의 결빙금속의 열처리, 용접, 고체연료의 연소 등에서 많이 접하게 되나 전문적인 프로그램이 없으므로(저자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온 도분포를 요구하는 문제에서는 이의 선결이 요망되고 있다. 특히 구조해석문제에서 시간에 따라 온도조건이 변화는 경우가 많아 온도분포에 대해 따로 계산하고 그 후 구조해석을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는 상변화와 같은 물성의 큰 변화가 없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따라서 상변화가 있는 문제에서 열탄성(thermo-elasticity)이나 열탄소성(thermoelasto-plasticity)해석을 하기 위해서는 이동경계와 구조해석을 동시에 하여야 한다.

  • PDF

A Study on Cooling Characteristics of Low Temperature Thermal Storage Material with Additives (첨가제를 첨가한 저온축열물질의 냉각특성에 대한 연구)

  • Chung, Nak-Kyu;Kim, Jin-Heung;Chung, Jong-Hun;Kim, Chang-Oh;Kang, Seung-Hyun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4.11a
    • /
    • pp.1746-1750
    • /
    • 200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ercooling repression on the clathrate compound by adding additives. For this purpose, phase change temperature and supercooling were measured when additives added to TMA30wt% clathrate for heat source temperature of $-6^{\circ}C$.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with the chloroform of 0.1wt% is higher by $0.3^{\circ}C$ than TMA30wt% and the supercooling with the surfactant 0.1wt% is reduced by $9.2^{\circ}C$.

  • PDF

Cold Energy Storage System Using Direct Contact Heat Transfer (직접 접촉식을 이용한 빙축열 시스템)

  • Lee, Y.P.;Yoon, S.Y.;Lee, C.S.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6 no.3
    • /
    • pp.247-258
    • /
    • 1994
  • In this study, experimental investigations to find cold energy storage performance have been made for two different temperatures at condenser. Temperatures at inlet and outlet of condenser were measured to calculate globa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direct contact method in our cold energy storage system. Also storage performance by direct contact method was compared with that of Ice-On-Coil type ice storage which was calculated by analytic solution. Results show that, in the case of $-8.0^{\circ}C$ at condenser inlet,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direct contact method is 3.25 times higher than that of conventional method and COP of system is improved by using R141b as refrigerant which produces gas hydrate and has higher phase change temperature than $0.0^{\circ}C$.

  • PDF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a Low Temperature Thermal Storage Material (저온축열물질의 열물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영향)

  • Kang, S.H.;Kim, J.H.;Chung, N.K.;Kim, C.O.
    • Proceedings of the KSME Conference
    • /
    • 2004.04a
    • /
    • pp.1165-117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percooling improvement of TMA30wt% clathrate when the chloroform is added to it. For this purpose, phase change temperature and supercooling are measured and evaluated experimentally in heat source of $-7^{/circ}C$. The results show that phase change temperature and supercooling are improved. From the results, this research can provide and important data for the low temperature thermal storage.

  • PDF

The Effects of an Additive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a Clathrate Compound (IV) - The Case of TMA Clathrate Compound with Surfactant - (포접화합물의 열물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효과 (IV) - TMA 물계 포접화합물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한 경우 -)

  • Chung Nak Kyu;Kim Jin Heung;Kim Chang Oh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6 no.12
    • /
    • pp.1212-1217
    • /
    • 200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effect of a small portion of surfactant on the supercooling and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of TMA 30 wt% clathrate compound when surfactant is added to the clathrate compound. Th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concentration of additive ranges between 0.08~0.12 wt% and the temperature of heat source ranges between -8 and -6$^{\circ}C$.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hase change temperature with the surfactant of 0.1 wt% is lower by 1$^{\circ}C$ than TMA 30 wt% and the supercooling is reduced by 1$0^{\circ}C$.

The Effects of Additives on the Thermal Properties of a Clathrate Compound(I) -The Case of Ethanol- (포접화합물의 열물성에 미치는 첨가제의 효과(I) -TMA 물계 포접화합물에 Ethanol을 첨가한 경우-)

  • 김진흥;정낙규;김석현;김창오;강승현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6 no.3
    • /
    • pp.258-264
    • /
    • 2004
  • The ice thermal storage system is to use consolation latent heat of water. But, supercooling phenomenon of water during phase change is to increase the cooling capacity and to decrease COP of the refrigerator. Furthermore, this causes the operation cost of system to increase and the efficiency of energy to decrease. Therefore, the better thermal storage material than the water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upercooling characteristics and thermal properties of TMA 30wt% clathrate by using Ethanol.

Comparison of Four Different Latent Heat Models During the Melting Process (용융시 수반되는 4가지 다른 잠열 모델의 비교 연구)

  • Kim, Jong-Hyun;Lim, In-Cheol;Kim, Sung-Sik
    • Journal of Korea Foundry Society
    • /
    • v.12 no.1
    • /
    • pp.62-73
    • /
    • 1992
  • 상변환시 수반되는 경계면에서의 잠열의 방출(또는 흡수)의 정확한 해석은 용접, 주조, 결정 생성, 일기 예보 등의 응용에 필수적인 것이다. 특히 주조의 경우 캐스팅 온도와 고체 용적분율의 관계를 앎으로서 잠열 방출의 해석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상변환시 수반되는 잠열의 방출 형태를 4개의 다른 모델을 사용하여 비정상 온도분포, 용융형태, 자연대류가 미치는 영향을 수치적으로 구하였다. 2개의 서로 다른 물성치를 가진 합금을 선택하였는데 하나는 넓은 mushy 영역을 가진 알루미늄 합금이고 다른 하나는 좁은 mushy 영역을 가진 철금속계 합금이다. 알루미늄 합금의 경우 온도 분포와 시간에 따른 온도의 변화가 모델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반면 철금속계 합금의 경우 상이한 모델일지라도 거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으로 용융시 정확한 온도 분포와 상변화 형태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알루미늄 합금(넓은 mushy 영역)의 경우 적절한 잠열 방출 모델의 채택이 필요 불가급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phase change characteristics of $Ge_2Sb_2Te_5$ thin films for phase change random access memory (상변화 메모리를 위한 $Ge_2Sb_2Te_5$ 박막의 상변화 특성 연구)

  • Beak, Seung-Cheol;Song, Ki-Ho;Han, Kwang-Min;Lee, Hyu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9.06a
    • /
    • pp.70-70
    • /
    • 2009
  • Si 도핑한 $Ge_2Sb_2Te_5$ 박막은 비정질상에서의 열적 안정성증가, fcc에서 hex상으로의 상전이 억제, 활성화 에너지 증가 등의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Si 도핑에 의한 $Ge_2Sb_2Te_5$ 박막의 전기적 그리고 구조적인 특성에 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Si 도핑 $Ge_2Sb_2Te_5$ 박막은 Si 기판 위에 radio frequency power supply를 사용해 Si과 $Ge_2Sb_2Te_5$ 타겟을 co-sputtering하여 증착하였다. Si의 sputtering 파워를 달리하여 실리콘의 농도를 다르게 증착 하였고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를 사용하여 박막의 Si 농도를 측정하였다. 증착된 박막은 질소 분위기 하에서 $5\;^{\circ}C$/min으로 열처리 하여 여러 온도와 Si 농도에서의 박막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열처리 전, 후의 박막은 X-ray diffraction (XRD) 분석을 통하여 각각의 온도에서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열처리 온도에 따르는 필름의 전기적 특성 파악을 위해서 four-point probe를 이용하여 박막의 면저항을 측정하였고 그 값은 3 회 이상 측정하여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Nano-pulse scanner를 사용하여 다양한 파워범위와 펄스폭 범위에서의 박막의 상변화에 따른 반사도 차이를 측정하여 각 조성에서의 비정질-결정질상 변화속도를 분석하였다.

  • PDF

The Thermal Characteristics of Heat Storage Board Utilizing Microencapsulated PCM (상변화형 미세캡슐을 이용한 축열보드의 전열특성에 관한 연구)

  • 이동규;강명철;강용혁;곽희열;윤환기;유창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8.10a
    • /
    • pp.281-286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상변화형 미세캡슐 함유량이 다른 세 개의 축열보드의 열성능 특성에 관해서 다루었다. 상변화 물질로는 CH3COONa·3H2O를 사용했고 이러한 물질의 미세캡슐을 시멘트 몰타르와 혼합하여 축열보드를 제작하였다. 결과를 보면 상변화형 미세캡슐 향유량이 20%인 경우가 0%인 경우보다 유효도에서 10%가 더 높았고 냉각온도가 낮을수록 주기시간은 짧아지고 방출열량은 증가를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