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대 평균 제곱근 오차

Search Result 38,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comparison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relative risk for the unemployed rate in small area (소지역의 실업률에 대한 상대위험도의 추정에 관한 비교연구)

  • Park, Jong-Tae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0 no.2
    • /
    • pp.349-356
    • /
    • 2009
  •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estimation method of the relative risk for the unemployment statistics of a small area such as si, gun, gu in Korea. The considered method are the usual pooled estimator, weighted estimator with the inverse of log-variance as weights, and the Jackknife estimator. And we compare with the efficiency of the three estimators by estimating the bias and mean square errors using real data from the 2002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of Gyeonggi-do. We compute the unemployed rate of male and female in small areas, and then estimate the common relative risk for the unemployed rate between male and female. Also, the st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three estimators for the common relative risk was evaluated using the RB(relative bias) and the RRMSE(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 of these estimators. Finally, the Jackknife estimator turned out to be much more efficient than the other estimators.

  • PDF

A Comparative Study on Lowflow Quantiles Estimation in Han River Basin (한강유역의 확률갈수량 추정기법 비교연구)

  • Kim, Kyung-Duk;Kim, Don-Soo;Heo, Jun-Haeng;Kim, Kyu-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2
    • /
    • pp.315-324
    • /
    • 2003
  • Stream flow data was analyzed for determining the lowflow which is the standard for river maintenance flow. Lowflow quantile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methods and two methods were compared by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As the results of the parametric method, three probability distributions such as gamma-2, lognormal-2 and Weibull-2, are selected as appropriate models for stream flow data of 13 stations in Han River Basins. According to simulation results, relative bias (RBIAS) and 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 (RRMSE) of the lowflow quantiles are the smallest when the applied and population models are the same. The fame statistical properties from the nonparametric models are good within the interpolation range. Among 7 bandwidth selectors used in this study, the RRMSEs of the Park and Marron method (PM) are the smallest while those of the Shoaler and Jones method (SJ) are the largest.

Design-Based Small Area Estimation for the Korean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시군구 실업자 총계 추정을 위한 설계기반 간접추정법)

  • 정연수;이계오;이우일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16 no.1
    • /
    • pp.1-14
    • /
    • 2003
  •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method of small area estimation based o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EAPS) data in producing unemployment statistics for the local self-government areas (LSGAs) within large areas. The small area estimators considered are design-based indirect estimators such as the synthetic and composite estimators. The jackknife mean square error was used as a measure of accuracy of such small area estimators. The total unemployed and jackknife mean square errors of the 10 LSGAs within the large area of ChoongBuk region are derived from the estimation procedure suggested in this study, using EAPS data of December 2000. The reliability of small area estimators was assessed using the relative bias values and 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s of these estimators. We find that under the current Korean EAPS system, the composite estimator turns out to be much more stable than other estimators.

Comparative Study of Regional Frequency Analysis Methods of Rainfall in Han River Basin (한강 유역에서의 강우 지역빈도 해석 방법의 비교 연구)

  • Um, Myoung-Jin;Lim, Seung-Teak;Nam, Woo-Sung;Cho, Won-Cheol;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072-107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 109개 지점의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지속기간별 연최대강우량을 기본으로 각 지속기간별 L-모멘트값을 산정하고, 한강유역에 적합한 빈도해석기법을 정의하기 위하여 지역구분을 실시하였다. 지역구분을 위한 군집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지점별 기상학적 인자와 지형학적 인자를 변수로 사용하였다. 군집분석 기법인 Ward, 평균연결법, Fuzzy-c means, Two-Step방법을 이용하여 지역구분을 실시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각 방법들을 이용하여 군집된 결과를 도시한 결과 Fuzzy-c means방법으로 구분된 지역구분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분된 지역의 동질성 여부를 판단하고 적정 분포형을 선정하였으며 지점빈도해석 및 지역빈도해석을 통하여 빈도별 확률 수문량을 산정하였다. 산정된 결과의 정확도 알아보기 위해 모의발생을 시킨 후, 각 기법별로 산정된 상대 평균 제곱근 오차(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 RRMSE)를 비교 분석한 결과 대체적으로 지수홍수법과 계층적 방법이 낮은 RRMSE를 나타냈다. 따라서 한강유역에서는 지수홍수법과 계층적 방법을 적용한 지역빈도해석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Frequency Analysis of Rainfall Data Using Advanced GEV Distribution (개선된 GEV 분포를 이용한 강우량 빈도분석)

  • Lee, Kil-Seong;Kang, Won-Gu;Park, Kyung-Shin;Sung, Ji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21-1326
    • /
    • 2009
  • 강우는 수자원 확보 측면에서 근원이 되는 요소이다. 그러므로 정확한 확률강우량 산정은 미래의 가용 수자원량을 예측하는데 있어 중요한 사항중 하나이며 무엇보다 신중한 결정이 요구된다. 또한 하천의 범람에 의한 침수를 예방하는 수공구조물 등의 설계에 있어서는 신뢰할 수 있는 확률강우량 산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우리나라 극치강우확률분포로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GEV 분포(GEV-O)를 기반으로 위치 매개변수에 시간의 함수를 고려한 개선된 GEV 분포(GEV-A)를 이용하여 서울지점에 적용함으로서 GEV-O 분포에 의한 확률강우량과 GEV-A 분포로 산정된 확률강우량을 비교 검토하였다. 먼저 임의의 난수 발생을 통해 최우도추정법과 확률가중모멘트법으로 매개변수를 추정한 GEV-O 분포와 최우도추정법으로 매개변수를 추정한 GEV-A 분포의 상대평균제곱근오차 (R-RMSE)를 계산하여 비교함으로서 GEV-A 분포의 효율성을 판단하였다. 사례연구는 1961년부터 2008년까지 서울강우관측소에서 측정된 연최대 1일 강우량으로 하였으며 $X^2$-검정, PPCC-검정으로 적합도 검정을 실시하였다. 강우빈도분석 결과 GEV-A 분포가 GEV-O 분포로 산정된 결과 보다 대체로 재현기간 200년 이상일 경우, 과다 산정되는 경향을 보였다. 추후 개선된 GEV 분포를 서울 인근 지점에 적용함으로서 지역빈도해석(Regional Frequency Analysis)을 실행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확률홍수량 산정 등에도 개선된 GEV 분포를 이용함으로서 보다 정확하고 신뢰성 있는 확률수문량을 예측하여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Quantile using Regional Scaling Model and Frequency Analysis (빈도해석과 지역 스케일 모델을 이용한 확률강우량 추정에 대한 연구)

  • Jung, Younghun;Kim, Sunghun;Kim, Hanbee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01-301
    • /
    • 2016
  • 국내의 경우 수공구조물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빈도해석을 통해 설계수문량을 산정한다.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지점빈도해석을 수행하게 되는데 설계빈도보다 대부분 짧은 기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산정한다. 지역빈도해석은 이러한 자료기간이 가지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확률수문량의 정확도와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기법이다. 스케일 모델은 지속기간별로 관측된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재현기간에 대한 지속기간의 함수로 표현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강우의 IDF곡선을 제시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이다. 대상지역의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자료가 일단위이면, 기준지속기간이 24시간이 되며, 기준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으로부터 임의의 지속기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스케일 모델을 이용하여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짧은 자료를 보유한 지역이거나 미계측 지역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추정을 위해 지역빈도해석과 지역 스케일 모델을 이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여 지점빈도해석과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한강유역의 강우 관측소를 이용하였으며, 군집분석 중 k-means방법을 적용하여 수문학적 동질성을 확보한 후 지역을 구분하였다. 구분된 지역은 지점 및 지역빈도해석을 수행한 후 상대평균제곱근오차(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 RRMSE)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판단하였고, 정확도가 높은 빈도해석에 지역 스케일 모델을 적용하여 미계측 지점에 대한 임의의 시간에 대한 확률강우량을 추정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Right-tail Prediction Ability of Extreme Distributions using Simulation Experiment (모의 실험을 이용한 Right-tail quantiles의 극치 분포형 비교 평가에 관한 연구)

  • Jung, Jinseok;Kim, Taereem;Song, Hyun-Ke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158-15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극치 분포의 오른쪽 꼬리 부분 예측 시 안정적인 확률수문량 산정하는 확률분포형과 매개변수 추정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Monte Carlo 모의를 수행하였다. 수문자료의 빈도해석에 적합한 것으로 알려진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Gumbel (GUM), generalized logistic (GLO), gamma3 (GAM3), normal (NOR), log-normal3 (LN3) 총 6개의 확률분포형을 바탕으로 오른쪽 꼬리 부분의 확률수문량 추정 성능을 모의 실험을 통해 평가하고자 한다. 30년 이상 자료를 보유한 기상청 지점의 지속기간별 연최대값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모분포를 GEV분포로 선정하였으며 평균이 1.0, 표준편차 0.5, 왜곡도 계수는 0.5, 1.0, 2.0, 3.0, 4.0이 되도록 가정하였다. 또한 자료 길이에 따른 성능 평가를 위해 표본 크기 20, 50, 100, 150, 200개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위와 같은 가정으로 총 25종류(왜곡도계수 5개 ${\times}$ 표본 크기 5개)의 발생된 모분포에 6가지의 확률분포형과 3가지의 매개변수 추정방법(모멘트법, 최우도법,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조합한 18가지의 모델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평가방법으로는 평균 제곱근 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 편의(bias), 평균 상대오차(Mean Relative Difference, MRD), 평균 절대 상대오차(Mean Absolute Relative Difference, MARD)를 사용하여 적용 모델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Extreme Quantile of Probability Distribution (확률 분포형의 극치 수문량 예측 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 Jung, Jinseok;Shin, Hongjoon;Ahn, Hyunjun;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99-400
    • /
    • 2017
  • 홍수나 가뭄 등 극치 현상의 통계분석 및 빈도해석에 있어 극치분포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극치분포형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분포형의 오른쪽 꼬리(right tail) 부분 특성을 자세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Monte Carlo 모의를 통하여 다양한 극치분포형의 오른쪽 꼬리 부분의 통계적 특성 및 그 예측 능력을 연구하였다. 극치분포형으로는 우리나라 확률수문량 산정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Gumbel, generalized logistic 분포를 사용하였으며, 매개변수 산정 방법으로는 확률가중모멘트법을 사용하였다. 모의실험의 모분포로는 수문빈도해석에서 많이 사용되는 GEV 분포를 사용하였고, 30년 이상 자료를 보유한 기상청 지점 자료의 왜곡도를 조사하여 모의실험에 사용되는 모집단의 왜곡도로 가정하여 표본 자료를 발생시켰다. 예측 능력의 평가는 재현기간 10~1000년의 확률수문량을 왜곡도계수를 고려한 GEV 도시위치공식을 이용하여 GEV 확률지에 도시하고,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편의(bias), 평균상대오차(mean relative difference), 평균절대상대오차(mean absolute relative difference)를 이용하여 최적 분포형을 선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또한 예측 능력 평가결과의 타당성 확인을 위해 극치분포형의 적합정도를 잘 나타낸다고 알려진 modified Anderson-Darling 방법의 검정결과와 비교하여 적절성을 확인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the Optimal Sediment Discharge Formula for Hyeongsan River Using GSTARS (GSTARS모형을 이용한 형산강의 최적 유사량공식 결정)

  • Ahn, Jung Min;Lyu, Siwan;Lee, Nam J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1B
    • /
    • pp.1-7
    • /
    • 2012
  • Quasi-two dimensional numerical model (GSTARS)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al sediment discharge formula for simulating the sedimentologic characteristics of Hyeongsan river. The field measurements have been conducted to obtain the data, such as sediment discharge, bed material, and channel geometry, for model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The sediment discharge formulas, which have been generally used, have been assessed according to the average error, relative error, RMSE, RRMSE, discrepancy ratio and Nash-Sutcliffe efficiency coefficient for bed changes along the thalweg. From the results, Laursen formula(1958) shows the best performance to simulate the long-term bed change of Hyeongsan river.

The Characteristic Analysis of Precipitable Water Vapor According to GPS Observation Baseline Determination (GPS 관측소 기선 처리에 따른 가강수량 특성 분석)

  • Lim, Yun-Kyu;Han, Sang-Ok;Jung, Sueng-Pil;Seong, Ji-Hy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4 no.7
    • /
    • pp.626-632
    • /
    • 2013
  • In this study the GPS Precipitable Water Vapor (PWV) was derived and evaluated by a radiosode measure during the winter intensive observation in Gangneung site from January 5 till February 29 in 2012. Bernise 5.0 software was used to derive the GPS data. GPS-derived PWV from Zero difference (GANG) and Single difference (GANG and DAEJ) was high variance in time and about 5 times the PWV of radiosonde. GPS post-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from two additional IGS site (Xian Dao, Ibaraki-ken) in order to correct the absolute troposphere errors. As a result, the mean bias error (MBE) and root mean square error (RMSE) and correlation compared with radiosonde measure were 0.67 mm, 6.40 mm, and 0.93, respectively. In order to correct the relative troposphere errors from the altitudin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PS receivers, we calculated the GPS-derived PWV by adding the data of GPS that was installed in Gangneung-Wonju University near the Gangwon Regional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 the end, the improved result showed that MBE, RMSE and correlation in comparison with radiosonde measures were 0.61 mm, 5.79 mm, and 0.93,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