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대적 위치

검색결과 1,816건 처리시간 0.031초

상대적인 위치지각의 왜곡: 참조자극의 위치가 왜곡에 미치는 영향 (Relative localization errors: The effect of reference location on the errors)

  • Li, Hyung-Chul
    • 인지과학
    • /
    • 제15권3호
    • /
    • pp.15-24
    • /
    • 2004
  • 추적 눈 운동 동안에 순간적으로 노출되는 표적의 위치는 표적 주위에 참조자극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 일반적으로 눈 운동 방향으로 왜곡되어 지각된다. 본 연구는 안정적이고 정적인 참조자극이 존재하는 경우에 순간적으로 노출되는 표적의 참조자극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얼마나 정확하게 지각되는지를 검증하였다. 참조자극에 대한 표적의 상대적인 위치가 왜곡되게 지각되었으며 상대적인 위치 지각 왜곡의 양상이 참조자극과 표적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서 체계적으로 변화하였다. 동일한 실험결과가 추적 눈 운동의 방향이 상이하거나 참조자극과 표적의 다양한 물리적인 거리 조건에서도 일관되게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가 위치지각에 관하여 제안된 기존의 이론에 의해 어떻게 설명될 수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 PDF

영상 분류를 이용한 깊이지도 생성 (Depth Map Generation using Image Classification)

  • 김대선;백열민;김회율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451-453
    • /
    • 2012
  • 2D영상을 3D영상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영상 내의 깊이 정보를 알 수 있는 깊이지도(depth map)가 필요하다. 깊이지도를 획득하기 위해 다양한 시각적 특성들이 이용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영상에서 아래는 가깝고 위는 멀다는 가정을 기반으로 하는 상대적 높이(relative height) 특성을 이용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상대적 높이 특성을 이용한 방법들은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거리가 멀어지는 영상에 대해서 부정확한 깊이지도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입력 영상을 소실점 위치에 따라 분류하여 깊이지도를 생성한다. 소실점이 왼쪽이나 오른쪽에 위치할 때는 영상을 회전시켜 소실점을 상단으로 보내 상대적 높이 가정에 맞도록 영상을 변환하고 소실점이 중앙에 위치할 때는 하늘 검출 방법을 통해 실내, 실외를 판별한 후 각 특성에 맞는 초기 깊이 모델을 적용한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이 상대적 높이 가정을 만족하지 않는 영상도 적합한 깊이지도를 생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중학생들의 위치 지식과 지역 이해와의 연계 유형 분석 연구 (A Study on Connection Type between Locatio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World Regions)

  • 김다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32-447
    • /
    • 2008
  • 본 논문은 세계 지리 학습을 수행한 8학년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 지역에 대한 위치 지식과 지역 이해와의 연계 유형을 분석하여 세계 지역 이해를 위한 위치 학습 대안 제시의 바탕으로 삼고자 하였다. 위치 지식과 지역 생활 모습과의 연계 유형 분석에서 지역의 생활 모습을 위한 위치 지식으로는 세계 지도상에서의 정확한 위치 지식, 경위도 상의 위치 지식, 그리고 상징 지역과 상위 지역, 주변 지형과 연계한 상대적 위치 지식이 필요하였다. 그리고 연계성 형성을 위해 위치 속성 지식이 필요하였다. 지도상 위치 지식이 지역의 생활 모습 파악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경위도상의 위치 지식, 다른 지역 및 환경과 관련한 상대적 위치 지식, 그리고 이러한 위치로 인해 갖게 되는 위치 속성에 대한 지식의 결합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를 구조화된 위치 지식이라고 하였다. 구조화된 위치 지식의 형성을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에서 지도상 위치를 바라볼 수 있는 절대적, 상대적 위치 지식과 이로 인해 갖게 되는 다양한 위치 속성 지식이 결합되어야 한다. 그리고 지역 이해를 위한 위치 학습에서는 위치-기후 지형-생활모습의 구조화된 계열적인 위치 학습이 필요하다.

인공신경망 사용 핵연료용기 파지 장치의 위치/방향 예견

  • 김기훈;박종범;윤지섭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1)
    • /
    • pp.177-182
    • /
    • 1996
  • Remote nuclear cask handling device (RNCHD)는 사용후 핵연료cask의 원격 조작에 있어서 안전성과 성능을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RNCHD의 한부분인 grapple은 사용후 핵연료cask의 이동 및 수송 또는 용기뚜껑의 개폐를 위하여 cask의 벽에 대각선으로 돌출되어있는 두 개의 trunnion에 삽입되어야한다. 그러나 trunnion으로의 grapple 삽입은 용기중심과 grapple 장치 중심사이의 위치와 방향편차 때문에 어렵게된다. 인공신경망은 grapple에 설치된 광전센서를 사용하여 용기의 중심으로 부터 grapple 장치의 상대적 위치를 계측하기위해 사용된다. 인공신경망 학습은 광전센서값과 grapple의 상대적 위치와 방향사이의 함수적 관계를 추론하기 위해 수행된다. 이렇게 측정된 RNCHD의 중심위치는 grapple의 자세를 맞추기 위한 제어입력값으로 제공된다. 인공신경망 학습을 위한 데이터는 grapple 장치와 trunnion을 모사한 1/2 스케일의 실험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진다. 학습된 인공신경망은 학습에 사용 안된 센서입력값, 즉 새로운 grapple의 위치에 대해서도 정확성을 가지고 grapple 장치의 위치와 방위를 측정할 수 있었다.

  • PDF

컬러 오각형을 이정표로 사용한 무인자동차의 위치 인식 (Vision-Based Self-Localization of Autonomous Guided Vehicle Using Landmarks of Colored Pentagons)

  • 김영삼;박은종;김준철;이준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2B권4호
    • /
    • pp.387-394
    • /
    • 2005
  • 본 논문은 구동경로에 미리 부착된 컬러 오각형 이정표로부터 상대적인 위치를 산출하는 무인자동차의 자기위치 인식에 관한 연구이다. 오각형의 기하학적 특징들이 패턴에 따른 모바일 로봇의 상대적 위치를 설정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이정표를 이용한 비젼 기반의 위치 인식은 단순하며 유통성을 가지고 있다. 이 방법은 오각형의 불변 특징량과 컬러를 이용하여 시스템이 패턴의 절대적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본 논문의 알고리즘은 부착된 이정표와 저장된 시퀀스사이의 상호대응 관계를 결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관찰자의 절대적 위치를 계산하고, 오각형의 5개 꼭지점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구현된 알고리즘은 실험을 통하여 위치오차 5cm를 가지며 처리속도는 0.3초미만이다.

상대적 위치 표현을 이용한 한국어 BERT 학습 방법 (Korean BERT Learning Method with Relative Position Representation)

  • 오연택;전창욱;민경구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9년도 제3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11-114
    • /
    • 2019
  • BERT는 자연어처리 여러 응용 분야(task)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여줬으나, BERT 사전학습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서는 많은 학습 시간과 학습 자원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빠른 학습을 위한 한국어 BERT 학습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학습 방법을 적용했다. 교착어인 한국어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형태소 분석 기반의 사전을 사용하였으며, 단어 간 상대적 위치 표현을 추가하여, 상대적 위치 정보를 학습했다. 또한 BERT 베이스 모델의 12-레이어 중 3-레이어만을 사용하여, 모델을 경량화시켰다.

  • PDF

터치스크린에서의 블라인드 인터랙션 기반의 상대적 위치 패턴 잠금 해제 솔루션 (Relative Position Pattern Unlocking Solution based on Blind Interaction on Touch Screen)

  • 김주웅;반영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45-5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존하고 있는 잠금 해제 방식에서 보이는 문제점으로부터 출발해 보안성 및 사용성 측면에서 개선된 블라인드 인터랙션을 적용한 상대적 위치 기반 패턴 잠금 해제 방식을 제안하고 이론적 타당성을 고찰했다. 기존 숫자암호 잠금 해제 방식과 패턴 그리기 잠금 해제 방식과의 차이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실용적 가치를 평가했다. 상대적 위치 패턴은 숫자 암호 보다 쉽게 기억되고 그리기 패턴과 비슷한 정도의 학습 용이성을 보여 주었고 타 방식에 비해 훔쳐보기 공격에 안전한 결과를 얻었다. 생체신호를 센싱 할 센싱 모듈을 사용할 필요 없이 터치스크린의 기본기능만으로 실현 가능하기에 적은 원가로 제작할 수 있다. 시각적 요소가 필요 없는 방식이기에 시각 장애인과 같은 특수 사용자들도 불편함 없이 사용할 수 있기에 실용적 가치도 상대적으로 높다.

타치키스탄 - 신강 지역 지진의 진앙에 대한 상대적 위치 결정 (Relative relocation of Tadzhi kistan-Sin kiang events)

  • 신진수;박창업
    • 지질공학
    • /
    • 제2권2호
    • /
    • pp.166-172
    • /
    • 1992
  • 1996년부터 1978년까지 타치키스탄 - 신강 지역에서 발생한 60개의 지진들으 진앙 위치를 잘 알려진 기준 지진을 이용한 상대적 위치 결정 방법을 사용하여 재배치 하였다. 지진들의 기록된 지역의 넓이가 약 $300{\;}{\times}400{\;}km$ 정도가 되기 때문에 이 지역을 네 곳으로 분할 하였다. 각각의 지역들은 정확한 진앙 위치와 주시가 알려진 기준 지진들을 지니고 있었다. 계산 결과 기록된 진앙의 위치들이 평균 0.3도 이동되었다.

  • PDF

인구이동의 소득분배:상대적 박탈감 모형의 재검토 (Migration and Distribution : A Critial Examination of the Relative Deprivation Approach to Migration)

  • 김헌민
    • 한국인구학
    • /
    • 제13권1호
    • /
    • pp.37-50
    • /
    • 1990
  • 본 논문에서는 인구이동과 소득분배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상대적 박탈감 개념을 적용한 인구 이동모형을 바탕으로 개인과 사회의 분배요소가 인구이동과 어떤 상호연관성을 갖는가를 이론적으로 검토하였다. 인구 이동으로 인한 개인의 상대적 박탈감의 변화는 이동자와 비이동자의 이동 이전과이후의 상대적 위치와 그들의 준거집단이 누구를 포함하는가에 따라 증가할수 있다. 또한 각 개인의 상대적 박탈감의 변화에 따라 사회적 소득분배는 인구이동으로 인하여 더욱 악화될수 있다는것을 논의하였다.

  • PDF

항공용 다각사진 카메라 시스템의 플랫폼 캘리브레이션 (Platform Calibration of an Aerial Multi-View Camera System)

  • 이창노;김창재;서상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69-375
    • /
    • 2010
  • 다각사진은 3차원 공간정보의 시각화 뿐 아니라 측정 목적으로도 사용되므로 카메라 시스템에 대한 캘리브레이션이 요구된다. 다각사진 카메라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카메라는 홀더에 장착되어 상대적인 자세 및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투영중심점 위치와 자세각은 중앙에 장착된 연직사진에 대해서 적용하고 나머지 4 대의 경사사진용 카메라에 대한 투영중심점 위치 및 자세각은 연직사진에 대한 상대적인 값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각사진 카메라 시스템에 의해 실제 촬영된 다각사진을 이용하여 항공삼각측량을 실시 한 후 얻어진 다각사진의 외부표정요소로부터 연직사진을 기준으로 경사사진의 상대적 자세각과 투영중심점의 상대적 위치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직사진에 대한 경사사진의 투영중심점 위치는 표준편차가 크게 나타났으며 자세각에 대해서는 경사방향에 관계없이 연직사진을 고정하고 경사사진만 조정할 때 그 표준편차가 더 작게 나타났다. 또한 전체 외부표정요소를 구할 경우보다 자세각만 구할 경우 전반적으로 표준편차가 작으며 안정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