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대위치인식

Search Result 7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an On-line Handwritten Hangul Character Recognition by Identifying Relative Positions of Strokes (획 상대 위치 판별을 통한 온라인 필기체 한글 문자 인식에 관한 연구)

  • 정진국;김수인;남궁재찬
    • Th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atabase
    • /
    • v.4 no.2
    • /
    • pp.65-7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획 상대위치 판별을 통한 온라인 필기체 한글 문자 인식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한글을 구성하는 획을 인식하기 위하여 각 획의 시작부분과 끝부분의 방향코드를 이용하였으며, 인식된 획들을 바탕으로 각 획들간의 상대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자소를 인식하였다. 온라인 필기체 한글의 경우 획의 모양과 크기가 필기자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하므로 획의 모양보다는 획의 위치를 인식에 더 중요한 자료로 삼아 인식을 행하였다. 6,000자의 온라인 필기체 한글 문자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문자당 평균인식속도 0.034초, 획 인식률 92.3%와 문자 인식률 94.6%를 보였다. 본 실험의 결과로서 온라인 필기체 인식시스템을 구성함에 있어서 획의 시작 부분과 끝부분의 진행방향이 획인식의 중요 요소임과 획들간의 상대적 위치가 한글 문자 인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밝혔다.

Navigation of Unmanned Vehicle Using Relative Localization and Magnetic Guidance (상대위치인식과 자계안내를 이용한 무인주행차량의 주행기법)

  • Lee, Yong-Jun;Ryoo, Young-J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1 no.4
    • /
    • pp.430-435
    • /
    • 2011
  • In this paper, a navigation technology of an unmanned vehicle using relative localization and magnetic guidance is proposed. Magnetic guidance system had been developed as a robust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s long as magnetic fields on the path are detected. Otherwise, if magnetic fields were not detected due to some reasons, the vehicle could not drive. Therefore, in order to overcome the drawback, we propose that relative localization would be combined to magnetic guidance system. To validate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a robotic vehicle was set up with the magnetic guidance system and the relative localization. In addition, the unmanned driving test was realized on the road without the magnetic fields so that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the experiment.

A Study on Global Positioning System of Smart Phone in indoor (실내에서 스마트폰의 글로벌 좌표 인식 시스템에 관한 연구)

  • Oh, Jongtae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5 no.2
    • /
    • pp.151-156
    • /
    • 2015
  • As the proliferation of smart phone, almost every user has one's own smart phone, and the user could get the global position and location based services using GPS system outdoors. But indoor positioning system using GPS does not work, and it could not detect global position using TDOA local positioning system. In this paper, a new indoor global positioning system for smart phone employing GPS receiver and electronic compass device is proposed with the TDOA local positioning system using acoustic signal, and the performance and the experimental result are described.

A Study on Relative Positioning based on Acoustic Signal of Smart phone (스마트폰 음향신호 기반의 상대위치 인식 기술 연구)

  • Oh, Jongtae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3 no.1
    • /
    • pp.229-234
    • /
    • 2013
  • As the popularization and proliferation of smart phone and location based servic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the location based service based on the smart phone becomes significant. But existing technologies could not be applied in real situation due to the lack of accuracy, economy, and convenience, the method using the signal strength of WLAN is not accurate. In this paper, the technical back ground, implementation issue, and measurement result are described for the proposed relative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acoustic signal and Bluetooth with smart phon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smart phone with accuracy and simple device, and it is very proper especially for the indoor location based intelligent services.

A Development of the Power Distribution Map Auto Input & Positioning System for NDIS(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 DB Construction (신배전정보시스템 DB구축을 위한 도면자동입력 및 위치보정 롱합시스템 개발)

  • Yi, Bong-Ja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d
    • /
    • pp.2585-2587
    • /
    • 2003
  • 한전에서는 전력설비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일찌기 배전분야에 GIS를 도입하여 신배전정보시스템(NDIS : New Distribution Information System)을 구축, 시범운영을 마치고 전국에 단계적으로 확대운영하고 있다. GIS를 업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설비도면의 입력이 선행되어야 하나 이를 수작업에 의존할 경우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입력자의 숙련정도에 따라 자료의 정확도가 달라지게 되므로, 이러한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설비의 위치, 심볼, 계통연결, 속성자료 등을 컴퓨터로 자동인식 입력시켜 수작업을 최소화하는 기법 및 적용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국가기본도를 Base Map으로 사용함에 따른 상대오차 보정문제도 해결되어야 한다. 본 개발은 변전소에서 전력수용가까지의 전력공급설비를 나타내는 배전설비도면에서 도면내 주요 설비인 전주와 전선을 인식하는 방법 즉, 반투명 필름에 손으로 그려진 배전설비도면의 스캐닝 영상을 인식기법을 적용하여 설비내용, 설치위치, 전선종류별 설치상태 등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사용될 정보를 Digital 형태의 Data로 자동생성하고 국가기본도와의 상대오차보정까지 처리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 PDF

Mutual Localization of swarm robot using Particle Filter (Particle filter를 이용한 군집로봇의 상호위치인식)

  • Jung, Kwang-Min;Sim, Kwee-B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20 no.2
    • /
    • pp.298-303
    • /
    • 2010
  • robots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other robot using wireless sensors. Use it to decide how to move his. And go to any location, will make shape of column and line, circle. In this paper, we discuss problem in circle formation enclosing target which moves. It is method about enclosed invader in circle formation based on mutual localization of swarm robot without infrastructure. Therefore, use trilateration that do not need to know the value of the coordinates of reference points. So, Specify enclosed point for the number of robots base on betwee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robot in the coordinate system. And particle filter is propo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A Study on the Relative Positioning Technology based on Range Difference and Root Selection (신호원과의 거리 차이와 실근 선택 알고리즘을 이용한 상대위치 인식 기술 연구)

  • Oh, Jongtae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3 no.5
    • /
    • pp.85-91
    • /
    • 2013
  • For location based service and context awareness services, accurate indoor positioning technology is essential. The TDOA method that uses the range difference between signal source and receivers for estimating the location of the signal source, has estimation error due to measurement error. In this paper, a new algorithm is proposed to select the real root among calculated roots using the range difference information, and the estimated position of the signal source shows good accuracy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

Vision-Based Self-Localization of Autonomous Guided Vehicle Using Landmarks of Colored Pentagons (컬러 오각형을 이정표로 사용한 무인자동차의 위치 인식)

  • Kim Youngsam;Park Eunjong;Kim Joonchoel;Lee Joonwhoan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2B no.4 s.100
    • /
    • pp.387-394
    • /
    • 2005
  • This paper describes an idea for determining self-localization using visual landmark. The critical geometric dimensions of a pentagon are used here to locat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mobile robot with respect to the pattern.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s of simplicity and flexibility. This pentagon is also provided nth a unique identification, using invariant features and colors that enable the system to find the absolute location of the patterns. This algorithm determines both the correspondence between observed landmarks and a stored sequence, computes the absolute location of the observer using those correspondences, and calculates relative position from a pentagon using its (ive vortices. The algorithm has been implemented and tested. In several trials it computes location accurate to within 5 centimeters in less than 0.3 second.

A Study of plate Number Extraction and Segmentation using domain Knowledge (사전 정보를 이용한 자동차 번호판의 문자 위치 추출과 세그멘테이션에 관한 연구)

  • 김병훈;고미애;김영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c
    • /
    • pp.259-261
    • /
    • 2003
  • 차량 번호판 인식 시스템의 번호판 인식과정은 영상획득 및 번호판 영역 추출, 개별문자 추출, 문자 인식의 3가지 핵심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도 번호판 추출의 정확성은 시스템 전체의 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며 다양한 주변 환경에도 정확한 추출과 빠른 수행 시간을 요구한다. 본 논문에서는 검출 시간의 단축을 위하여 명암값의 차이와 사전정보를 이용하여 먼저 인식대상의 주목표인 등록번호의 위치를 추출 및 검증하고 등록번호에 대한 지역명의 상대적인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문자의 대략적인 위치를 선정, 각 요소들의 외곽 근접 선들의 투영(protection)과 이동을 통하여 번호판의 모든 문자 요소의 위치를 추출한다.

  • PDF

A Robot Localization based on RGB-D Sensor (RGB-D 센서 기반의 로봇 위치추정 기법 연구)

  • Seo, Yu-Hyeon;Lee,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04a
    • /
    • pp.872-875
    • /
    • 2014
  • 재난방지 및 구호에 사용되는 로봇의 주된 목적은 인간이 직접적인 접근을 할 수 없는 지역을 사전에 탐사하여 인간으로 하여금 올바른 판단을 돕기 위함에 있다. 하지만, 재난 지역에서는 통신장애 문제나, 육안 식별이 불가능한 상황, 원격조정을 통하여 로봇이 업무 수행에 상당한 제약을 받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LED-RGB 칼라센서를 이용한 상호위치 인식 방법연구"[1]을 수행하였으나, RGB의 인식거리가 상당히 짧고, 판단이 모호한 단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를 개선한 RGB-D센서를 이용하여 RGB의 인식거리를 증가시켰다. 또한 더욱 높은 정확성을 이용하기 위해, Depth를 사용하여 사물들의 특징점들을 랜드마크로 하고 랜드마크로부터의 상대위치를 파악하여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상호인식 알고리즘을 이전 방식과 비교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