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권유형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5초

상권경쟁을 고려한 신규점포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 (A Study for Locating of a New Store Considering Competition for Trading Area: Focusing on the Case of Hypermarket in Seoul Metropolitan Area)

  • 태경섭;임병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09-627
    • /
    • 2010
  • 입지는 모든 산업에 있어서 성공의 핵심적인 결정요소이기 때문에 잘못 선정된 입지는 아무리 유능한 운영자라 할지라도 많은 어려움을 겪기 마련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합리적이고 간편한 소매점의 입지 선정 모델을 만들고자 서울시 소재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허프의 확률이론을 적용하여 점포별 점유인구를 산출하였다. 점유인구를 바탕으로 모든 단위 구역을 상점간 경쟁 상대를 나타내는 4개의 시장유형, 즉 독점시장, 과점시장, 경쟁시장 비경쟁시장으로 구분하였다. 신규점포가 입지에 가장 합리적인 장소는 점유인구를 가장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지점으로, 비경쟁시장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면서, 경쟁시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다.

패션매체기사의 내용분석을 통한 패션브랜드 대리점의 성공요인 분석 (A Content Analysis of Success Factors for Fashion Brand Franchise Stores as Published in Fashion Magazine Articles)

  • 김용주;김현숙;유혜경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928-940
    • /
    • 2012
  • The present study aimed to propose the competitive strategy to fashion brand franchise stores by analyzing articles regarding success stores as published in fashion magazines. A total of 91 articles were selected from three fashion magazines and content analysis was applied to extract major factors. Four types of trading areas and eight product types were compared by the major factors. As results, six major factors composing competitive strategy were analyzed such as personal selling, management of sales forces, promotion,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management of store space, and relationship with headquarter. Comparing competitive factors by the types of trading area, management of sales forces and personal selling were crucial for central district and for outlets/interchange district. On the other hand, personal selling and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were important for local district while management of store space and personal selling were critical for tenants of the large discount store/shopping mall area. Comparing by product types, personal sell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ll product types except young casualwear whereas the second important one was management of sales forces for adult casualwear, womenbbbs wear, and others. For menbbbs wear, sales promotion was the second important one whereas management of store space was the second crucial one for underwear and childrenbbbs clothing. Based on the present study result, it is proposed that competitive strategy of individual fashion brand franchise store should be differently developed becaus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ng area and product type are different and in turn, customers benefit and competition might be different.

빅데이터 수집을 위한 다채널 데이터 연계와 실시간 처리 시스템 설계 (Multi-channel data connection and Real-time processing system designed for Big Data collection)

  • 백경석;오재철;양재혁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6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9-270
    • /
    • 2016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여러 산업 군과 융합으로 시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 수집을 통해 빅데이터를 구성하는 것이 첫 번째 단계이며 기상, 교통, 인터넷 활동, 상권 등의 다양한 출처로부터 데이터 연계를 수행하고 사물인터넷과 같은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로그 성 데이터 수집을 고려한 실시간 처리 시스템을 설계 하였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유형의 데이터가 빅데이터로 수집 되면 여러 산업 군에서 요구되는 인사이트 기반의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B2B 또는 B2C 서비스에 응용 될 수 있다.

  • PDF

유형별 수변공간 이용현황 분석 (Analysis of Waterfront use by Usage type)

  • 박기범;안승섭;차상화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544-544
    • /
    • 2017
  • 국민경제가 성장하고 여가시간이 늘어남에 따라 도심지내 수변공간은 도시의 시민들이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공간으로 개발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봉하 내성천의 은어축제등과 같이 지역의 축제 등이 진행되는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친수적 목적의 수변공간의 이용은 갈수록 증가되고 있으며 이용하는 시민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다, 현재의 수변공간은 대부분 운동, 산책 등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으나, 다양한 요구에 맞추어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활용되고 있는 수변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이용자들의 현황, 만족도, 요구사항 등을 설문조사하였다. 유형별로는 도심지내 하천공간인 대구의 신천과 서울의 청계천 그리고 주변의 상권과 연계되어 활용되는 대구의 수성못, 축제공간으로 활용되는 봉화의 내성천에 대해 설문조사한 것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내용으로는 이동거리, 이용시간, 연령대, 선호시설, 요구사항 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수변공간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내용은 향후 시민들의 이용을 증대시킬수 있는 방향으로의 수변공간 조성에 지표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소매점 유형별 상품구매행동 차이 및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 비교분석: 전통상권 경쟁력 강화를 중심으로 (Difference of Purchasing Behavior by Types of Retail Store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arket Selection Attributes: Focused on Improvement of Traditional Market Competitiveness)

  • 김홍빈;김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11-324
    • /
    • 2012
  • 본 논문은 소매점 유형별 소비자의 상품선택행동과 선택속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비교 분석을 통해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전통시장의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서울과 수도권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하여 IPA 분석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시장의 경우 상대적으로 이용시간이 긴 반면 사용금액은 크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통시장의 점포구성과 배치가 점포탐색을 어렵게 하는 것으로 품목별 점포의 재구성과 집중화가 필요하다. 둘째, 전통시장과 대형 할인매장, 백화점 모두 중요도에 비하여 만족도가 낮아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대형 할인매장과 동일 선상에서의 경쟁보다는 취급하지 않는 품목의 구성 또는 전문화를 통하여 고객이 생각하지 못했던 곳에서 만족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소매점 유형별 선택속성에 대한 IPA 결과 상품품질에 따른 응답자의 기대치가 반영되어 대형할인마트와 백화점은 가격에 대한 신뢰성과 상품 품질우수성이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제시되었으며, 전통상권은 저렴한 가격과 가격에 대한 신뢰, 상품품질우수성이 강점으로 파악되었으며, 시설적 측면의 항목들은 개선사항으로 나타나 시설현대화 사업의 지속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피전문점 생존 및 폐업 분포의 군집 유형별 생멸 특성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Survived and Closed Coffee Shops by Spatial Cluster Type)

  • 박소현;어정민;이금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08-424
    • /
    • 2020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 소재지별 지가 속성을 토대로 생존하여 영업 중인 커피전문점과 폐업한 커피전문점을 대상으로 공간 군집화를 시도하고, 군집 유형별 토지 특성(지가 및 필지 정보), 교통 요인(물리적 접근성)과 점포 속성(프랜차이즈 정보, 소재지별 동종업종의 개·폐업 경험), 공간 밀집도(커널 밀도 추정) 등 다양한 입지 특성을 통해 커피전문점의 생멸 분포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파악한다. 이를 위해 영업 중 및 폐업한 커피전문점의 공간 군집은 일반적 입지분포형, 주거지역의 상업화형, 상업중심지 입지형 등으로 유형 구분하고, 군집 유형별 입지 특성을 비교 분석한다. 군집 결과, 영업 중 및 폐업한 커피전문점의 입지는 같은 유형으로 분류되더라도 서로 다른 공간 분포 양상을 나타내고, 입지 유형이 달라도 특정 핫스폿에서는 모두 높은 밀집도를 나타낸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커피전문점 창업을 비롯해 지역별 상권정보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다.

서울 주요 패션상권의 가두점 분포 현황 분석: 2007-2014년의 변화추이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Road Shop in Main Fashion Trade Areas in Seoul: Based on Trends in 2007-2014)

  • 장은영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1호
    • /
    • pp.34-46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state of road shops around the 9 main fashion trade areas in Seoul, and to analyze whether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them based on clothing, store types and regions. Furthermore, by investigating the distribution state of road shops in the 9 main fashion trade areas per year,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that can be helpful in opening and securing road shops in major trade areas. The method of investigation was to analyze clothing types and store types with 72 maps of commercial areas. Samsungdesignnet investigated these areas for 8 years around the 9 main fashion trade areas (Garosugil, Gangnam nonhyun, Gangnam Station, Myungdong, Moonjung, Apgujung, Yeonsinne, Edae, and Chungdam).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state of the fashion road shops based on clothing types revealed that road shops for ladies' wear, bag or shoes, and total fashion were strong, and the distribution state of non brand were strong. When it came to year-to-year trends, road shops for women's wear, bag or shoes, and total fashion showed a steady increasing tendency of being on-trend, but casuals and underwear showed a falling tendency of being on-trend. In terms of store type distribution, non-brand shops showed the most remarkable growth, followed by multi-shop while total fashion store showed a steady growth. Also, when it came to regional distribution, the dominant trade areas were different based on clothing type. Garosugil showed the widest variation in its yearly trend investigation, and Gangnam station also showed a substantial amount of growth. In other areas, there was no considerable change in the total number of shops, but increasing and decreasing markets had a complexity that depended on clothing types.

상업용지 수요추정기법 비교분석 연구: 수도권 신도시 사례를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mand Estimation Method of Commercial Site: Focused on the Case of New Towns in Korea)

  • 이상준;윤정중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4호
    • /
    • pp.343-35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합리적인 신도시 상업용지 수요추정을 위한 실무차원의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수도권 1 2기 신도시에 적용된 수요추정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적용 오류를 최소화하고 추정결과의 객관성을 향상기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례조사결과 첫째, 수요추정 기법은 유사사례를 비교하거나 계획적 경험치를 기준으로 상업용지를 총량적으로 추정하는 비례법과 계량적 분석에 의한 적산법으로 유형을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대부분 사례에서 복수의 수요추정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나, 실무에 적용이 용이한 상권구매력과 비교유추법을 주로 사용하였으며, 2기신도시에서는 원단위법 활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추정과정에서 나타난 일반적인 오류로는 첫째, 상업용지의 입지 위계를 고려하지 못하거나, 복합개발 등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였다. 둘째, 비례법의 경우 비교군 오류 또는 관련 지표의 일률적 적용, 적산법의 경우 상권 설정시 임의적 개입으로 인한 추정오류 가능성이 있었다. 셋째, 추정결과의 자의적 보정 사례가 빈번하여 신뢰도가 낮아질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고 후속계획에서의 활용도 제고를 위해서는 자의적 상권설정 지양, 개발여건을 고려한 비교군 설정, 추정결과에 대한 객관적 보정 근거 제시 등이 요구된다.

자산 노후화율이 원가의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 (The Empirical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the obsolescence assets and Asymmetric Cost Behavior)

  • 차상권;김동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59-266
    • /
    • 2020
  • 본 연구는 기업의 자산 노후화가 원가의 비대칭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원가의 비대칭성이란 매출액이 증가할 때 원가의 증가율보다 매출액이 하락할 때 원가의 감소율이 더 낮은 것을 가리킨다. 선행연구에서는 경영자의 설비용량 조정이나 유형자산의 비중이 높을수록 원가의 비대칭성이 보다 강하게 나타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으나 주로 경영자의 재량적 의사결정에 산물로써 진행되었다. 그러나 원가의 비대칭성은 설비자산의 규모와 비중, 자산의 노후화율 등과 같은 구조적인 문제에 기인한 현상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산의 노후화가 높을수록 총원가, 판매비와관리비의 하방탄력성이 나타났다. 둘째, 유형자산의 비중이 높은 경우 설비자산의 노후화가 높을수록 매출원가의 하방경직성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선행연구가 주로 경영자의 의사결정, 설비용량의 조정, 무형자산의 비중에 관해 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설비자산의 노후화와 설비자산의 집중도를 고려하여 분석함으로써 선행연구를 확장하였다.

부동산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투자자 선호특성이 투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Influence Analysis of Investor Preference for Investment Satisfaction Degree on Decision Making of Real Estate Investment)

  • 백준석;김구회;이주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53-562
    • /
    • 2016
  • 본 연구는 투자자가 부동산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고려해야하는 투자선호특성을 규명하고 투자자 유형에 따른 선호특성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투자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투자선호특성을 종합하고 PLS(Partial Least Squares)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그 영향을 실증하였다. 또한 투자자 유형별 투자선호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분석대상을 기관투자자와 일반투자자로 구분하여 설문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기관투자자는 인플레이션 헤지, 조지자본회수, 재무적 안전성, 레버리지 위험 등의 투자선호특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투자자의 경우 임대수익, 시설 및 설비, 상권 및 인구, 이용 편의성, 레버리지 위험, 조기자본회수 등의 투자선호특성이 중요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공통적인 투자선호특성으로 레버리지 위험, 조기자본회수, 시설접근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투자자들은 부동산 투자에 있어 투자 위험을 회피하거나 줄일 수 있는 요인을 중시 한다는 점이다. 둘째, 부동산 경기 침체 및 저금리 현상으로 나타나는 부동산 관련 규제 및 금융규제완화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동산 투자의사결정에 있어 투자자 유형에 따른 차이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