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관함수

Search Result 1,58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dge Feature Vector Extraction using Higher-Order Local Autocorrelation and Its Application in Image Retrieval (고차국소 자기상관함수를 이용한 에지 특징벡터의 생성과 유사이미지에의 적용)

  • 윤미진;오군석;김판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562-56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자기상관함수의 국소적 특징을 사용하여 에지 특징을 추출한 후, 이를 이용해 유사이미지를 검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자기상관함수의 국소적 특징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검색할 경우 크기, 밝기, 색상등과 같은 이미지 요소가 서로 다를 경우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에지 특징정보를 추출해 낼 수 있다. 이는 얻어진 에지 특징을 이미지 크기와 고차 국소 자기상관함수의 변위에 의해 변하지 않도록 정규화를 하고, 동일 이미지에 대해 밝기가 조금 달라지면 검색효율이 떨어지는 점을 해결하기 위해 거리척도로서 방향여현거리(direction cosine distance)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이렇게 추출된 특징벡터를 자기조직화 맵에 의하여 클러스터링하고, 유사이미지 검색의 효율성을 비교해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을 사용하여 검색한 경우 재현율이 기존의 방법에 비해서 비교적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 PDF

수직한 벽면에서 혼합증기(수증기/공기)의 막응축 열전달

  • 박수기;김무환;유건중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11a
    • /
    • pp.217-223
    • /
    • 1996
  • 혼합증기(수증기/공기)의 막응축 열전달 계수를 수직한 벽면에서 측정하고 상관식을 개발하였다. 열전달 상관식은 액막측과 증기측으로 구분하여 만들었고, 액막측 전열계수의 상관식은 액막의 Reynolds수와 Prandtl수의 함수로 나타냈으며, 증기측 전열계수의 상관식은 증기의 Reynolds수, Prandtl수, Schmidt수 및 공기의 질량분율, 액막 Reynolds수의 함수로 제안하였다. 응축 액막의 두께와 확산층의 순간온도 측정결과로부터 액막의 파형 계면이 확산층에서의 열 및 물질전달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증기측 전열계수의 상관식에 포함된 액막 Reynolds수가 파형 계면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 PDF

창원 강변여과수 취수지역의 지하수위와 낙동강 수위의 연관성 분석

  • Jeong, Jae-Yeol;Ham, Se-Yeong;Kim, Hyeong-Su;Han, Jeong-Sang;Son, Geon-Tae;Cha, Yong-Hun;Jang,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227-230
    • /
    • 2003
  • 시계열 분석 기법을 통하여 창원시 대산면 갈전리 강변여과수 취수지역의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와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지역의 6개 관측공의 30분 간격의 지하수위의 자기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세 개의 그룹으로 나타난다. 이 세 그룹은 낙동강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강한 자기상관성을 보이는 그룹(1그룹), 하천으로부터 비교적 가깝고 양수정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그룹(2그룹), 그리고 약한 자기상관성을 보이는 그룹(3그룹)으로 나타난다. 1그룹이 강한 자기상관성을 보이는 것은 낙동강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3그룹의 약한 자기상관성은 취수정의 양수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6개 관측공 지하수위와 낙동강 수위의 교차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차상관함수가 0.1이하의 낮은 교차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이는 취수정의 양수에 의한 관측공의 수위변동에 의해서 낙동강 수위와의 연관성이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이다.

  • PDF

Analysis of Code Sequence Generating Algorism and Implementation of Code Sequence Generator using Boolean Functions (부울함수를 이용한 부호계열 발생알고리즘 분석 부호계열발생기 구성)

  • Lee, Jeong-Ja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3 no.4
    • /
    • pp.194-200
    • /
    • 2012
  •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ode sequence generating algorism defined on $GF(2^n)$ proposed by S.Bostas and V.Kumar[7] and derive the implementation functions of code sequence generator using Boolean functions which can map the vector space $F_2^n$ of all binary vectors of length n, to the finite field with two elements $F_2$. We find the code sequence generating boolean functions based on two kinds of the primitive polynomials of degree, n=5 and n=7 from trace function. We then design and implement the code sequence generators using these functions, and produce two code sequence groups. The two groups have the period 31 and 127 and the magnitudes of out of phase(${\tau}{\neq}0$) autocorrelation and crosscorrelation functions {-9, -1, 7} and {-17, -1, 15}, satisfying the period $L=2^n-1$ and the correlation functions $R_{ij}({\tau})=\{-2^{(n+1)/2}-1,-1,2^{(n+l)/2}-1\}$ respectively. Through these results, we confirm that the code sequence generators using boolean functions are designed and implemented correctly.

BENT함수와 bent 수열을 중심으로 본 상관성이 우수한 수열군

  • 정하봉
    • Review of KIISC
    • /
    • v.2 no.3
    • /
    • pp.41-49
    • /
    • 1992
  • 레이다 시스템, ranging 시스템, 확산 대역 통신 (spread spectrum communication) 시스템, 그리고 요즈음 각광받고 있는 코드분할방식 다중통신 (CDMA com-munication) 시스템에서는 주지하다시피 상관성(correlation) 이 좋은 수열(sequence)들위 사용이 필수 불가결하다. 수열의 상관성은 그 수열 자신의 상관성이냐 다른 수열간의 상관성이냐에 따라 자기상관관계(crosscorrelation)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고 수열의 주기성의 유무에 따라 주기적 상관관계(Periodic correlation)와 비주기적 상관관계(aperiodic correla-tion)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여기서 수열의 상관성이 좋다는 말은 정규화된 수열의 자기상관계수(autocorrelation coefficient)와 수열 간의 교차상관 계수(crosscorrelation coefficient)의 최대 크기가 수열의 길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기성을 갖는 이진수열군의 하나인 bent수열과 이 bent수열을 구성하는데 기본이 되는 bent함수를 중심으로 주기적 상관성이 우수한 여러 수열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Using Minutely Rainfall Data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한 공간상관구조 분석)

  • Park, Chang-Yeol;Kim, Kyoung-Jun;Hwang, Jung-Ho;Jun, Kyung-Soo;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90-7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분단위 강우자료(MMR)를 이용하여 시간해상도에 따른 강우의 공간상관구조 특성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이변량 혼합분포를 이용하여 강우를 모형화한 후 정규분포와 대수 정규분포를 고려하여 시간해상도별로 공간상관함수를 유도하고 그 변동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분단위 강우 자료를 호우 발생 특성별(태풍, 장마, 대류성 강우)로 분류하여 이에 대한 공간상관함수를 각각 유도하였다. 이때 시간해상도를 고려하기 위한 대상 집성시간은 1, 2, 3, 5, 10, 30, 60분이고, 대상지점은 중부지역의 27개 우량관측소 지점을 이용하였다. 그 적용 결과 분단위 강우자료의 경우 무강우 자료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상관거리는 적용 분포형, 호우 발생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1분의 경우 약 $9{\sim}15km$, 60분의 경우 약 $21{\sim}53km$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강우의 집성시간이 길어질수록 공간상관특성이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고 공간상관거리가 길어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분단위 강우자료의 관측소 밀도가 시단위 강우자료 관측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적음을 나타내며, 분단위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지점빈도해석과 같은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할 경우 적절한 개선방안이 제시되어야함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 PDF

A NEW FAMILY OF FREQUENCY HOPPING PATTERNS WITH GOOD HAMMING AUTOCORRELATION AND CROSSCORRELATION (우수한 해밍 자기상관성 및 타 상관성을 갖는 새로운 주파수 도약 패턴 군)

  • 노종선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18 no.11
    • /
    • pp.1735-1741
    • /
    • 1993
  • New family of frequency hopping patterns with long period and good Hamming autocorrelation and Hamming crosscorrelation properties which can be used for frequency hopped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is introduced. Period of frequency hopping patterns is qk-1, the alphabet size of frequency hopping patterns is q, and the size of family of frequency hopping patterns is q, where k is arbitrary integer and q is power of prime number. The maximum value of out-of-Phase Hamming autocorrelation function of any frequency hopping pattern and Hamming crosscorrelation function of any two frequency hopping patterns in the family is qk-1, which corresponds to optima1 Hamming correlation properties. And the average number of hits per q*q square in one frequency hopping pattern and its time shifted version or two frequency hopping patterns in the frequency hopped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systems is less than 1.

  • PDF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Digital Images using ICOR (이미지 상관관계함수를 이용한 디지털 영상의 유사도 비교에 관한 연구)

  • Yang, Hyung-Kyu;Choi, Jong-H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3
    • /
    • pp.75-82
    • /
    • 2009
  • The comparison of images uses PSNR generally. In the case that PSNR value is above 35, it is hard to distinguish the quality of images. In 2006 Lee has proposed the protocol to be able to prove ownership of image using publishing MSB bit strings of original image instead of original images and used the new function to measure correlation of MSB bit strings of two images. In the view of measuring the quality of images, correlation is a bit different from PSNR. That is, if an object image to gene ate from an original image has lower quality, PSNR has very low value, but though the quality is bad, correlation of the images is very high in the view of similarity. In this paper, we modify MSB comparison function that LEE suggested and propose the ICOR function, then analyze the possibility to decide correlation of two images.

On the Variations of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of Rainfall (강우공간상관구조의 변동 특성)

  • Kim, Kyoung-Jun;Yoo, Chul-Sa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12
    • /
    • pp.943-956
    • /
    • 2007
  • Among various statistics, the spatial correlation function, that is "correlogram", is frequently used to evaluate or design the rain gauge network and to model the rainfall field. The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of rainfall has the significant variation due to many factors. Thus, the variation of spatial correlation structure of rainfall causes serious problems when deciding the spatial correlation function of rainfall within the basin. In this study, the spatial rainfall structure was modeled using bivariate mixed distributions to derive monthly spatial correlograms, based on Gaussian and lognormal distributions. This study derived the correlograms using hourly data of 28 rain gauge stations in the Keum river basin. From the results, we concluded as following; (1) Among three cases (Case A, Case B, Case C) considered, the Case A(+,+) seems to be the most relevant as it is not distorted much by zero measurements. (2) The spatial correlograms based on the lognormal distribution, which is theoretically as well as practically adequate, is better than that based on the Gaussian distribution. (3) The spatial correlation in July exponentially decrease more obviously than those in other months. (4) The spatial correlograms should be derived considering the temporal resolution(hourly, daily, etc) of interest.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Time Selective Multipath Fading Channel Model for Mobile Communication (이동 통신을 위한 시간선택성 다중경로 페이딩 채널 모델의 특성 평가)

  • 박수진;고석준;이경하;최형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6 no.5A
    • /
    • pp.836-84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시간 선택성 다중경로 이동 무선 채널을 다양한 방법으로 모델링 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 특성평가를 제시하였다. 모델링 방법에는 Jakes 방식과 시간 영역에서 독립적인 두 개의 가우시안 잡음 발생기와 정형필터(shaping filter)를 사용하는 방식 및 주파수 영역에서 필터링 하는 방식이 있다. 이 세 가지 모델링 방법의 성능을 진폭의 자기상관함수, 상호상관함수, 누적분포함수(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레벨 교차율(Level Crossing Rate), 평균 페이딩 지속 시간(Average Duration of Fades), 위상차의 확률 밀도, 위상차의 자기상관함수 등의 측면에서 시뮬레이션하고 그 결과치와 이론치 간의 특성 비교를 제시하였다. 특히, 확산 대역 시스템을 고려했을 때 이상적인 채널 추정을 가정한 레이크 수신기에서의 BER 성능을 다중경로 개수에 따라 보임으로써 여러 가지 채널 모델링 중에서 주파수 영역에서 필터링 하는 방식이 이동 무선 채널을 모델링 하는데 있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비대칭 도플러(Doppler) 스펙트럼을 모델링 하는 것도 주파수 영역에서 필터링 하는 방식이 편리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