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관성분석

Search Result 11,281,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and Dietary Intake in a Rural Adult Population (일부 농촌 성인을 대상으로 한 고혈압과 식이섭취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 Go, Un-Yeong;Kim, Joung-Soon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30 no.4 s.59
    • /
    • pp.729-740
    • /
    • 1997
  •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tension and nutrient intake cross-sectional study were performed in a rural area. Adult resident over 30-year-old age were measured blood pressure and body mass index(BMI), and interviewed about food in-take for the previous 24 hours. 250 men and 297 women participated the surve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en in men between mean systolic blood pressure and protein densit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mean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showen on protein density, protein energy(%), calcium density and energy-adjusted protein in men. We analysed risk factor for hypertension adjust the effect of age, BMI, sex and family history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Protein density(odds ratio=3.18), fat density(odds ratio=1.94) and energy-adjusted protein(odds ratio=1.01) intake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but sodium density(odds ratio=0.73) was showen to have inverse relationship.

  • PDF

The impact of topography and soil property to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at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청미천 산림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지형 및 토성인자들의 영향)

  • Gwak, Yong Seok;Jang, Eun Se;Kim,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72-472
    • /
    • 2015
  • 토양수분은 수문학에서의 물 순환을 비롯한 여러 다양한 자연과학적 분야에 중요한 인자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사면인 지형학적, 토양학적으로 복합적이고, 불균질한 작은 산지사면에서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지형, 토성인자의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토양수분은 TDR방식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으로 측정이 되었으며, 각 영향인자들은 사면의 지형분석 및 토성분석을 실시하여 확보되었다. 지형인자는 습윤지수, 기여사면면적, 지역적 경사 그리고 토양깊이 인자이며, 토성은 모래, 실트, 점토함량, 가밀도 값을 이용하였다. 사면의 측정된 토양깊이별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동에서의 각 인자와의 상관분석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해, 각 영향인자들의 관련성 평가하였다. 사면 전체측정지점들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와 영향인자의 상관분석을 통해서 토양수분의 결정에는 지형보다는 토성의 영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났지만, 모래함량이 높은 토성을 가진 측정지점들에 한해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형의 영향은 증가하였고, 토성의 영향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토양깊이별 상관분석에서는 토양깊이 10cm의 각 인자와의 관련성이 30, 60cm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변화에 따른 각 인자와의 상관계수 변화는 토양수분이 약 28~32%정도의 포화되기 전의 습윤한 조건일 때, 각 인자들과의 상관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rrelationship researches of Apolipoprotein A1 in body mass index (체질량지수에 따른 Apolipoprotein A1 상관성연구)

  • Kim, Jean-Soo;Lee, Dong-Yeop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1
    • /
    • pp.5345-5349
    • /
    • 2012
  • Recently obesity from the child until being early in the adult, there is to an increase tendency. The obesity influences to various metabolicdisease and there is a possibility of an effect in relationship disease of the heart, brain vascular system etc.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terrelation -ship of apolipoprotein AI consistency and body mass index. It used spss 19.0 with t-test and a regression analysis. Analytical result the interrelationship of apolipoprotein AI and body mass index was -0.484 (p=0.01). The high density cholesterol was 0.89 (p=0.01). The trigriceride was -0.88 (p=0.01). Free fatty acid were not interrelationship. Conclusively, interrelationship of apolipoprotein AI and body mass index was not high. Encourage to examine trigriceride or cholesterol and prevent Arteriosclerosis.

Correlation between Biotic Factor and Abiotic Factor - Focus on the Case Streams in Kyonggi District - (하천에서의 무생물적 환경인자와 생물과의 상관성 - 경기지방의 하천사례를 중심으로 -)

  • Kim, Hyea-Ju;Kim, Song-Yee;Kim, Chang-Wa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0 no.4
    • /
    • pp.374-390
    • /
    • 2006
  •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9 element (used as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stream typology out of the 25 elements pertinent to the survey of hydromorphological structure) and both emerged benthic macroinvertebrate as well as vegetation indicated that the substrate diversity, curvature, and degree of development of the transverse bar ha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species composition. Only COD concentration was found to hav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istribution of benthos among the 12 aquatic and chemical elements. Specifically, the analysis of the biotic and abiotic factors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and river and cobble river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suggesting that there is a distinct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rivers in terms of hydromorphologlcal structure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consideration of a biotop is prerequisite for the evaluation of stream status regarding stream restoration or the ecological topology of streams.

Assessment of Internal Pressure Fragility of Containment Buildings considering the Correlation of Structural Material Variables (구조재료 변수 상관관계를 고려한 격납건물의 내압취약도 평가)

  • Hahm, Dae-Gi;Kim, Jung-Han;Choi, In-Kil;Lee, Hong-Py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396-399
    • /
    • 2011
  • 격납건물의 내압취약도 평가를 위하여 격납건물 구조재료 변수 각각의 재료특성 시험 결과를 분석하여 현재상태 중앙값 및 변동계수 값을 추정하였다. 추정된 값은 최근의 가동중 검사 결과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추출된 구조재료 변수들의 재조합을 통해 상관성을 배제시키는 방법을 적용함으로서, 변수 간의 상관성이 격납건물 취약도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기존의 방법과 대비하여 분석하였다. 본 예제의 경우에는 의도치 않은 변수간 상관성에 의해 2%가량 내압성능이 작게 평가되는 결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인 문제의 경우 구조재료 변수의 특성과 추출된 변수의 임의성에 의해 영향이 증폭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인 내압취약도 평가를 위해서는 상관관계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 PDF

A comparison study of canonical methods: Application to -Omics data (오믹스 자료를 이용한 정준방법 비교)

  • Seungsoo Lee;Eun Jeong Mi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7 no.2
    • /
    • pp.157-176
    • /
    • 2024
  • Integrative analysi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complex biological systems gains more attention. Observing subjects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conducting integrative analysis of those multiple datasets enables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In this paper, we compared two methods that simultaneously consider two datasets gathered from the same objects,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CCA) and co-inertia analysis (CIA). Since CCA cannot handle the case when the data exhibit high-dimensionality, two strategies were considered instead: Utilization of a ridge constant (CCA-ridge) and substitution of covariance matrices of each data to identity matrix and then applying penalized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CCA-PMD). To illustrate CIA and CCA, both extensions of CCA and CIA were applied to NCI60 cell line data. It is shown that both methods yield biologically meaningful and significant results by identifying important genes that enhance our comprehension of the data. Their results shows some dissimilarities arisen from the different criteria used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sets of data in each method. Additionally, CIA exhibits variations dependent on the weight matrices employed.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in Ulsan (울산광역시 교통사고 유형별 공간적 분포 특성 분석)

  • Kim, Mi-Song;Goo, Sin-Hoi;Py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61-262
    • /
    • 2016
  • 교통사고의 발생요인에는 다양한 원인들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간적으로 접근하여 사고유형별 분포특성을 도출하기 위해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논문에서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울산광역시에서 발생된 교통사고를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울산시 전체 교통사고 약 53%는 안전운전불이행이며 다음으로는 안전거리미확보, 신호위반 순으로 나타났다. 밀도분석 결과는 사고유형별로 분포가 차이가 있었으며 안전운전불이행의 경우 가장 큰 군집은 중심시가지인 달동과 삼산동 중심에 나타났으며 중앙선침범은 도시의 중심부 보다는 면지역에 넓게 퍼져서 발생되었으며 산업단지가 있는 동구지역에 군집이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읍면동별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Moran's I분석과 LISA분석을 수행한 결과 안전운전불이행, 안전거리미확보, 신호위반, 교차로운행방해 모두 중심시가지인 신정동, 달동, 삼산동이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높았으며 중앙선침범의 경우 밀도분석 결과와 마찬가지로 중심시가지 이외에 읍면 지역도 자기상관성이 더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고유형별 공간의존성 및 이질성을 파악하여 교통사고 다발지역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지역특성에 맞는 저감 대책 마련에 활용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eutrophication characteristics of major lakes in the Seomjin River (섬진강 주요호수의 부영양화 특성 평가)

  • Lee, Bo Ram;Park, Soo Ho;Park, Sung Chun;Lee, Woo 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79-479
    • /
    • 2022
  • 섬진강 주요호수 4개 호수에 대하여 20년간의 수질자료를 수집하여 한국형 부영양화지수(TSIko)를 산정하고 부영양화정도와 경향성을 분석하였다. 호수별 20년간 평균 수질농도 분석 결과, 4개 호수 중 BOD, COD, T-P, Chl-a, TOC의 5개 항목에서 보성호가 가장 높은 농도를 보이고, T-N도 두 번째로 높은 농도를 나타냈으며, 월별·계절별 분석 결과, 전체 수질항목의 수질은 대체적으로 여름(6-8월)에 가장 높았으나, 동복호의 Chl-a 항목의 경우 봄(3-5월)과 가을(9-11월)에 가장 높았다. 호소별 수질자료를 통한 경향분석 결과, 옥정호(섬진강호)는 BOD, TOC, 주암호는 COD, TOC, 보성호는 COD, TOC, Chl-a, 동복호는 TOC 항목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주로 유기물 항목들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각 호소의 수질항목별 상관관계 분석 결과, 보성호의 COD와 TOC 항목 사이의 상관계수가 0.85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그 외에는 보통 또는 약한 상관관계 또는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20년간의 연도별, 월별, 계절별 수질자료를 바탕으로 섬진강 내 주요호수 4개 호수의TSIko 평가 결과, 대부분의 호수가 중영양 상태를 나타내었고, 보성호의 경우, 2001년, 2004년, 2005년, 2015년~2020년에 각각 부영양화지수가 51.31, 56.94, 54.59, 52.77, 51.08, 57.95, 58.10, 50.82, 50.77로 부영양 상태로 평가되었다. 특히 보성호의 경우, TSIko 결과를 기반으로 한 경향분석 결과, 경향성이 없거나 감소하는 다른 호수들과는 달리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이고, 항목별 경향성 분석 결과 COD, TOC, Chl-a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며, 유기물인 COD와 TOC 항목의 경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으므로, 추후 섬진강 유역의 물 수요 문제 해소에 대한 중요한 수자원에 대한 모니터링 및 부영양화 해소와 수질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rrelation between Sensory Quality and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in 'Campbell Early' Grape (포도의 관능적 품질과 객관적 품질인자 상호간의 상관성)

  • Cho, Sun-Duk;Chang, Min-Sun;Kim, Dong-Man;Kim, Gun-Hee
    •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
    • v.28 no.4
    • /
    • pp.691-695
    • /
    • 2010
  • In order to find correlations between the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in 'Campbell Early' grape, grape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One-half parts were used for the sensory evaluation and the other half were used as samples for instrumental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analysis were studied through correlation study using 48-paired data set obtained during storage. Soluble solid content analysis showed that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increased along the passage of storage time with increasing temperature. pH and titratable acidity decreased slightly at lower storage temperatures. Correlations between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in grapes were found to be very low.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H and soluble solid content, and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H and titratable acidity. The relation of sourness and sweetness to sourness was higher than other sensory evaluation factors, and the shape of the grapes was found to have little relation to their sweetness. Texture ($r^2$=0.890) was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reference, followed next by sweetness with sourness ($r^2$=0.860).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ensory evaluation and instrumental quality attributes were found to be very low, with overall acceptability given to a relatively high content of soluble solid content. Correlations between pH and titratable acidity in terms of overall acceptability were found to be very low.

Relationship between TRMM TMI observation and typhoon intensity (TRMM TMI 관측과 태풍강도와의 관련성)

  • Byon, Jae-Young;Park, Jong-Sook;Kim, Baek-Jo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7.03a
    • /
    • pp.224-227
    • /
    • 2007
  • 마이크로파 센서 자료를 이용하여 태풍 강도를 산출하고자 TRMM TMI로부터 관측된 자료와 태풍 강도의 최대 상관성을 나타내는 지역올 찾고 최적의 상관 변수를 선정하였다. 분석기간은 2004년 6월부터 9월까지 발생된 태풍으로써 18개의 사례이다. TMI로부터 관측된 85 GHz 채널의 밝기온도,구름내 총 수증기량,얼음양,강우 강도,잠열방출양이 태풍 강도와의 상관성 분석을 위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태풍의 강도는 RSMC-Tokyo에서 발표된 Best track의 최대 풍속 자료를 이용하였다. 위성 관측 변수를 태풍 중심으로부터 공간 평균하였을 때 반경 2.0-2.5도 정도의 평균거리에서 최대의 상관성을 보였다. 위성 자료로부터 태풍 중심 풍속을 추정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Best track과의 오차는 85 GHz 밝기온도와 수증기량을 이용한 다중 회귀 분석에서 오차가 최소를 보였다. 한편, 태풍강도 예측을 위한 통계모델에 마이크로파 위성 자료를 예측인자로 입력하여 태풍강도의 정확도가 3-6%정도 향상됨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