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청각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4초

회원작품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6호통권66호
    • /
    • pp.57-64
    • /
    • 1974
  • PDF

Acoustic Change Complex에 기반한 와우소실영역 검사의 객관적인 방법 제시를 위한 예비 연구 (The Objective Test of Cochlear Dead Region Using Acoustic Change Complex: A Preliminary Report)

  • 강수진;한주현;우지환;박희성;문일준;최규성;홍성화
    • Korean Journal of Otorhinolaryngology-Head and Neck Surgery
    • /
    • 제61권11호
    • /
    • pp.573-579
    • /
    • 2018
  • Background and Objectives Cochlear dead region (CDR) is a region in the cochlear where hearing loss has occurred due to damage to the inner hair cells and/or neurons. Recently, a subjective test involving a pure-tone test in the presence of threshold-equalizing noise (TEN) was introduced to identify CDR. However, for uncooperative patients, such a subjective method would be unsuitable and objective methods would be needed instead to detect CDR. The acoustic change complex (ACC) is an evoked potential elicited by changes in the ongoing sound. In this study, we developed an objective method of identifying CDR by combining ACC response with a TEN test, namely the TEN-ACC test, and investigated its feasibility in normal-hearing listeners. Subjects and Method Ten normal-hearing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underwent both behavioral TEN test and electrophysiological TEN-ACC test. The stimuli for the TEN-ACC test consisted of TEN and embedded pure tones with different frequencies/signals to noise ratios (SNRs). To identify the thresholds, the range SNR of stimulation was varied from 0 to 20 dB, in stages of 4 dB. Results The ACC responses of all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well elicited by stimuli developed for the TEN-ACC test. We confirm that the pure-tones embedded in TEN elicited the objective ACC respons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novel TEN-ACC test can be applied to evoke ACC in normal-hearing listeners. Future research should incorporate hearing-impaired listener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the TEN-ACC test as an objective method to identify CDR.

영화 『펀치 드렁크 러브(Punch-Drunk Love)』에서 라이트모티브를 활용한 심리표현 (The psychological expression using Leitmotiv in the film 『Punch-Drunk Love』)

  • 안성애;이승연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34
    • /
    • 2018
  • 영화는 시청각 예술이고 다양한 시청각적 기법을 활용하여 영화에서 이야기하고자 하는 주제를 전달한다. 형체가 없는 이야기는 시각과 청각을 통해 형상화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나는 등장인물의 심리변화 역시 시청각적 도구를 활용해 표현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영화 "펀치 드렁크 러브"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영화에서 숨겨진 심리를 표현하기 위한 음악적 기법 중 하나인 라이트모티브(Leitmotiv)를 통한 표현기법을 고찰한다. 이는 영화음악에서 인물 심리의 상징적인 표현에 대한 예시와 관점을 제시한다.

  • PDF

자동화 청성뇌간반응을 이용한 신생아 청력선별검사 결과 분석 (Analysis of newborn hearing screening using automated auditory brainstem response)

  • 박성원;윤병호;김경아;고선영;이연경;신손문;홍성화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0호
    • /
    • pp.1056-1060
    • /
    • 2006
  • 목 적 : 청각 장애는 정상 신생아 출생 1,000명 당 2-7명의 높은 발병률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임상적으로 조기발견이 어려워 평균 2-2.5세에 발견된다. 청각은 언어 및 인지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청각 장애의 조기 발견을 위한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연구자들은 정상 신생아를 대상으로 시행한 선별검사의 결과를 분석하여 신생아에서의 청각 장애의 빈도를 파악하고, 선별검사의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7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제일병원 신생아실에서 출생한 신생아 8,664명중 보호자의 신청에 의해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를 시행한 정상 신생아 7,171명과 위험인자를 가진 47명 등 총 7,2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신생아 청력 선별검사는 $ALGO^{(3)}$ Newborn hearing screener를 이용하여 35 dB의 청각 자극에 대한 AABR을 시행하였다. 출생 2일째 1차 검사를 시행하였고, 1차 검사에서 통과하지 못한 경우 신생아실 퇴원 전 2차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2차 검사에서 통과하지 못한 경우 생후 1개월에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에서 추적검사를 시행하며 이후 추적관찰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선별검사를 받은 총 7,218명 중 7,163명이 정상 판정을 받았으며, 55명이 선별검사에서 재검 판정을 받아 재검율 0.8%이었다. 재검 판정자 중 생후 1개월에 추적 검사를 받지 않은 6명을 제외한 49명 중 정상으로 판정된 경우는 35명(71.4%)이었고, 청각 장애로 진단된 경우는 14명(28.6%)이었다. 추적검사에서 소실된 6명을 고려할 때 청각장애의 발생 빈도는 7,218명 중 14-20명이므로 1,000명 출생 당 1.9-2.8명으로 추정된다. 청각장애 14명 중 남:여 비율은 3.6:1이었으며 좌측이 장애인 경우가 64.3%로 우측(21.4%) 및 양측(14.3%)보다 높게 나타났다. 미숙아 등 위험 요인이 있는 47명 중 청각 장애인 경우는 8명(17.0%)으로 정상 신생아 7,171명에서의 발생 빈도(6명, 0.1%)보다 높았다. 청각 장애 14명 중 3명은 보청기로 치료를 시작하였으며, 나머지는 추적관찰 중에 있다. 결 론 : 신생아에서의 청각 장애의 비율은 신생아 1,000명당 1.9-2.8명으로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와 비슷한 빈도를 나타내었다. 신생아에 대한 AABR은 신생아실에서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는 비침습적인 선별 검사이며, 보청기 등 조기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유용한 검사로 판단된다.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수술 전 유발전위검사 (Evoked Potentials before the Intractable Epilepsy Surgery)

  • 임성혁;박상구;백재승;김갑규;김기업;이유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98-204
    • /
    • 2019
  • 여러가지 약물에도 발작의 증세가 조절되지 않는 난치성 뇌전증 환자에서 다양한 치료법들을 시도해 볼 수 있다. 하지만 그 중 수술적인 방법이 필요한 환자에서는 수술 전 검사를 통해 발작부위의 절제부분을 결정한다. 정확한 병변의 측정과 안전한 수술을 위해 뇌 피질에 전극 삽입술을 시행한다. 피질에 삽입된 전극으로 단순히 뇌파만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검사를 시도해 그 부위가 갖는 기능을 확인할 수 있고 그런 검사법 중 하나로 유발전위 검사법이 있다. 2015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측정된 파형의 경향이 의미하는 바를 분석하였다. 뇌 피질에 삽입된 전극에서 기록된 체성감각유발전위는 중심고랑의 주행경로를 찾아 일차운동영역 및 일차감각영역을 피해 수술 할 수 있다. 또한 청각유발전위와 시각유발전위를 이용해 청각피질과 시각피질에서 기능적 피질의 확인과 뇌파검사상 나타난 발작초점부위와의 관계를 비교해 절제부위를 결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는 기능적 장애를 최소화 할 수 있다.

Sedative가 정상청력 성인의 ABR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DATIVES ON AUDITORY BRAINSTEM RESPONSE)

  • 손진호;장원삼;손수준;조태환;성창섭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7년도 제21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7.3-8
    • /
    • 1987
  • 청성뇌간 유발반응이 Juwett 및 Sohmer와 Feinmesser에 의하여 보고된 이래 타각적 청력검사로서 임상적응용에까지 이르렀다. 타각적 청력검사는 반응역치와 청각역치의 오차가 적어야 하며 주파수별로 역치측정이 가능하여야 하며 개인차가 적고 반응의 재현성이 높아야 되며 반응의 판정이 용이해야 함이 필요조건으로서 이러한 조건이 피검자의 수면상태하에서도 충족되어야 한다. 저자들은 정상 성인 청력자를 대상으로 sedation전후의 ABR에 대한 latency 및 amplitude를 중심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edative의 사용에 있어서 amplitude및 latency의 차이는 없었다. 2) Sedative의 사용에는 무관하게 low frequency filter에서 high frequency filter보다 voltage의 유의한 차가 있었다.

  • PDF

동적 균형 훈련시 시.청각 피드백(Balance Training System/The Target)의 효과에 관한 고찰 (A Literature Review on the effect of Visual and Auditory Feedback(Balance Training System/The Target) at Dynamic Balance training)

  • 이종삼;유재응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8-45
    • /
    • 2004
  • Appropriate physical position and balance means giving the least stress and the most useful biomechanically to the body. As this fails, one would have functional recovery problem regardless of disability. There reported better effective on Dynamic training rather than Static training for a proper recovery of physical position, and additionally required Sensory Feedback. Those who have disability of balance, especially Central Nervous System lesion should he provided with variety of Sensory Feedback, and also Dynamic Balance training used by is quite effective.

  • PDF

터치스크린 휴대폰 사용 환경을 고려한 소리, 진동 피드백 연구 (A Study for Sound and Tactile Feedback on Touch Screen Phone Under Mobility Conditions)

  • 김영일;김세미;민영삼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130-134
    • /
    • 2008
  • 향후 휴대폰 시장에서 큰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터치스크린 휴대폰은 많은 장점이 있으나 피드백이 명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청각 및 촉각 피드백을 같이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모바일 사용 환경에 서 청각과 촉각 피드백의 작용에 대해 알고자 한다. 연구 1 에서 터치스크린 휴대폰 피드백을 경험한 느낌을 정성조사 하였다. 그 결과 피드백이 소리, 진동 어느 쪽이라도 제공될 경우, 더 만족을 하였으나, 각각의 사용자 의견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연구 2 에서는 피드백의 종류와 피드백 방해 자극에 따라 수행수준과 주관적 작업 부하량을 알아보는 실험을 설계하였다. 소리가 제공될 경우 더 빠른 수행속도를 보였으며, 주관적인 작업부하를 평정했을 때에 소리와 진동이 같이 제공될 경우, 작업이 더 쉽고 덜 귀찮다고 느껴졌다. 본 연구는 소리 피드백이 진동 피드백 보다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피드백의 질적 측면 및 학습시간과 수행과의 관계 및 실 사용 상황에서 피드백을 선택하게 하는 요인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되어야 한다.

  • PDF

영화 「펀치 드렁크 러브(Punch-Drunk Love)」에서 심리표현을 위한 음악의 활용 (The Using of Music for Psychological Expression in the Film 「Punch-Drunk Love」)

  • 안성애;이승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20-126
    • /
    • 2018
  • 영화는 시청각 예술이고 다양한 시청각적 기법을 활용하여 이야기를 전달한다. 청각적 요소 중 음악은 표현할 수 있는 기법이 매우 다양하고 활용범 위가 넓으며 이야기를 전달하기 위한 독자적인 도구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영화 "펀치 드렁크 러브"를 연구대상으로 삼아 영화에서 인물의 심리를 나타내기 위한 음악적 표현기법을 고찰한다. 인물의 내부 심리와 상황의 숨겨진 의미를 창출하기 위한 도구, 즉 영화 이야기 흐름에서 화면에 나타나지 않는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사용된 음악의 활용에 관해 연구한다. 이는 영화음악에서 인물 심리의 대조와 상징적인 표현에 대한 예시와 관점을 제시한다.

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스토리텔링 및 상호작용 체험 - 디지로그 북 응용 시나리오를 중심으로 (Digital Storytelling and Interaction based on Book - Application Scenario for Digilog Book)

  • 김혜선;우운택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552-557
    • /
    • 2008
  • '디지로그 북 (Digilog Book)' 은 아날로그 책과 디지털 콘텐츠의 장점을 통합함으로써, 아날로그적 감성과 디지털 오감을 함께 느끼도록 개발하고자 하는 새로운 개념의 차세대 전자책이다. 기존의 책이라는 콘텐츠 위에 디지털적인 내용을 삽입하여 책을 보는 독자가 시각, 청각, 촉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경험을 입체적으로 즐기게 한다. 또한 책에 있는 내용을 디지털 스토리화하여 독자의 선택에 따라 각기 다른 내용을 경험할 수 있으며 책이라는 인터페이스 공간을 통해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개념 연구과정에서 디지로그 북 응용시나리오를 중심으로 디지털스토리텔링 및 상호작용체험의 내용을 만들어 구체화시키고 시각화해 봄으로써 책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스토리텔링 및 상호작용의 내용과 범주를 확인할 것이다. 이처럼 응용시나리오에서 확인된 내용은 디지로그 북 저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저작도구개발을 위한 내용구성, 화면구성, 저작기능 정의, 저작인터페이스, 저작시스템 구성 등 저작기술개발의 방향과 지침을 만드는 지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