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삼각화

Search Result 25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3D Mesh Creation using 2D Triangulation of 3D Point Clouds (2D 삼각화를 통한 3D 점집합으로부터의 메쉬 생성)

  • Choi, Ji-Hoon;Yoon, Jong-Hyun;Park, J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10b
    • /
    • pp.202-20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3D 점집합으로부터 3D 메쉬를 생성하는 효율적인 기법을 소개한다. 대표적인 3D 삼각화 방법으로 3D Delaunay 삼각화 기법이 있으나 물체의 표면만을 고려한 메쉬 생성을 위한 방법으로 비효율적인 측면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적은 계산량으로 물체의 표면 메쉬를 생성하는 기법을 소개한다. 물체의 각 영역을 분할하고 각 영역에 대해서 2D Delaunay 삼각화를 적용하여 3D 메쉬 구조를 얻는다. 3차원 점 집합에 대해 OBB를 계산하고 이를 기준으로 점집합을 다양한 각도에서 자르고 각 부분 점집합에 대해서 2D Delaunay 삼각화를 실시한다. 절단하는 각도의 간격이나 폭은 원래의 3D 점집합에서의 가장 가까운 이웃점들까지의 평균 거리를 이용하여 결정하도록 하였다. 후처리 과정으로 삼각 분할과정에서 잘못된 에지의 연결을 제거함으로써 객체의 삼각 분할 결과를 향상시킨다. 제안된 메쉬 생성 기법은 다양한 영상 기반 모델링 응용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 PDF

Trimmed NURBS surface tessellation with sharp shape constraint (Sharp Shape를 유지하는 trimmed NURBS 곡면의 삼각화 방법)

  • Cho, Doo-Yeoun;Kim, In-Ill;Lee, Kyu-Yeul;Kim, Tae-Wa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 no.1
    • /
    • pp.62-68
    • /
    • 2002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tessellating trimmed NURBS surface with preserving sharp shape Although several existing approaches need a large number of triangular meshes to represent sharp shape of surface, resulting triangular meshes may not reflect sharp edges properly. In this study, we flit detect the sharp shape of NURBS surface automatically using C1 continuous condition and then use constraint Delaunay triangulation method to present exact sharp shape with the minimum triangular meshes. And we also use approximated developed surface domain as triangulation domain of rimmed NURBS surface. In this way, the shape of triangular elements on the triangular domains is approximately preserved and can avoid distortion when mapped into three-dimensional space. finally, we show examples that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cheme in terms of reducing the number of triangular meshes and preserving sharp shape of surface more exactly.

  • PDF

3D Mesh Creation using 2D Delaunay Triangulation of 3D Point Clouds (2차원 딜로니 삼각화를 이용한 3차원 메시 생성)

  • Choi, Ji-Hoon;Yoon, Jong-Hyun;Park, Jong-Se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3 no.4
    • /
    • pp.21-27
    • /
    • 2007
  • The 3D Delaunay triangulation is the most widely used method for the mesh creation via the triangulation of a 3D point cloud. However, the method involves a heavy computational cost and, hence, in many interactive applications, it is not appropriate for surface triangul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n efficient triangulation method to create a surface mesh from a 3D point cloud. We divide a set of object points into multiple subsets and apply the 2D Delaunay triangulation to each subset. A given 3D point cloud is cut into slices with respect to the OBB(Oriented Bounding Box) of the point set. The 2D Delaunay triangulation is applied to each subset producing a partial triangulation. The sum of the partial triangulations constitutes the global mesh. As a postprocessing process, we eliminate false edges introduced in the split steps of the triangulation and improve the results. The proposed method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various image-based modeling applications.

  • PDF

Delaunay Triangulation Construction Technique in Emergency Situations using Terrain API and Traffic Information (지형 API와 교통정보를 이용한 응급상황에서의 들로네 삼각화 구성 기법)

  • Shin, YoungChan;Kim, Donghui;Moon, Seong Hyeok;Kim, Jo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605-607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지형 API를 활용해 사용자와 병원들의 위치를 들로네 삼각화로 그래프를 구성하고, 교통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최적의 경로를 알려주는 새로운 길 찾기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경로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교통정보를 활용하여 최단 시간이 걸리는 구간을 알려주어 전체적인 처리 시간을 최소화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교통정보와 지형 API를 기반으로 들로네 삼각화를 구성하고, 구성된 간선을 기반으로 최적화 문제를 풀어냄으로써, 사용자에게 최적의 경로를 알려준다.

  • PDF

An Efficient Quadtree-based Triangulationfor DEMusing Ping-Pong Buffer (핑퐁버퍼를 이용한 DEM의 효율적인 사진 트리 삼각화)

  • Lee, Eun-Seok;Lee, Jin-Hee;Enkhtsoga, Batamgalan;Shin, By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1480-1483
    • /
    • 2015
  • 최근의 대용량 DEM 데이터는 실시간 렌더링을 하기엔 많은 양의 폴리곤을 필요로 한다. 사진 트리는 이러한 DEM 데이터를 실시간에 렌더링 하기 위해 지형 메쉬를 간략화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자료구조이다. 트리구조는 재귀 연산 및 포인터 연산과 같이 GPU 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CPU 상에서 구현되어 사용된다. GPU 에서 사진 트리 삼각화 기법을 사용하기 위해서 기존의 연구에서는 정점 프리미티브와 스트림 출력 단계를 이용하였다. 하지만 이 방법은 매 프레임 루트 노드부터 리프 노드까지 탐색을 하며 지형 메쉬를 새로 생성 해야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연산이 많다. 제안하는 방법은 핑퐁 버퍼를 이용하여 이전 프레임에서 사용한 지형 메쉬를 다음 프레임에서 재활용하여 기존 GPU 기반 사진 트리 삼각화 기법을 가속화한다. 기존 방법이 매 프레임 사각형 패치를 세분화 하면서 지형 메쉬를 생성하는 대신 제안하는 방법은 이전 프레임에서 사용한 메쉬의 각 패치들을 병합하거나 세분화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방법은 GPU 기반 사진 트리 삼각화의 재귀 호출을 제거하여 연산량을 줄이고 매 프레임 CPU-GPU 간의 데이터 전송량도 효율적으로 줄여 기존의 방법을 효율적으로 가속화 한다.

A Triangulation and Guard Sufficiency Set of the Hierarchy of Simple Polygons (단순 다각형 계층구조에서의 삼각화와 경비가능충분집합)

  • Yang, Tae-Cheon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5A no.5
    • /
    • pp.295-300
    • /
    • 2008
  • In this paper, we consider a characterization of a Guard Sufficiency Set(GSS) in the hierarchy of simple polygons. we propose the diagonals of a arbitrary triangulation of a polygon as a GSS when guards see the diagonals with completely visibility and both sides of the diagonal. we show that this can be a GSS in convex polygons, unimodal polygons, spiral polygons but this can not be a GSS in star-shaped polygons, monotone polygons, completely external visible polygons.

Gaussian Curvature Error Estimation for Mesh Simplification (Gaussian 곡률 오차 추정을 이용한 Mesh 간략화)

  • 임수일;임수일;김창헌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650-652
    • /
    • 1998
  • 본 논문은 mesh 간략화를 위한 새로운 Gaussian 곡률 오차 추정 방법을 제안한다. Gaussian 곡률은 임의의 형상을 갖는 삼각화 된 단면체 표면에 대하여 위상과 기하학적 정보를 angle 과 face 의 관계로 정형화하여, vertex에 관한 곡률로 근사하여 표현한다. 간략화 방법은 지역적 형상으로부터 전체적인 형상을 추정한 후, 적절한 curvature criteria 로 간략화가 될 vertex를 선택하고 제거한다. 제거된 vertex에 의해 생성된 hole은 곡률에 기반하여 삼각화하고 곡률이 변화되는 vertex들의 Gaussian 곡률 오차를 계산한다. 각 간략화 level마다 최대 Gaussian 곡률 오차를 계산하므로, 사용자는 Gaussian 곡률 오차 추정으로 원하는 간략화 level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주어진 오차 안에서 vertex뿐만 아니라 edge나 face의 제거로, 간략화 되는 영역을 확산시켜 필요한 위상과 기하학적 정보를 유지하는 간략화를 할 수 있다.

  • PDF

Solving Minimum Weight Triangulation Problem with Genetic Algorithm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최소 무게 삼각화 문제 연구)

  • Han, Keun-Hee;Kim, Chan-S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15B no.4
    • /
    • pp.341-346
    • /
    • 2008
  • Minimum Weight Triangulation (MWT) problem is an optimization problem searching for the triangulation of a given graph with minimum weight. Like many other graph problems this problem is also known to be NP-hard for general graphs. Several heuristic algorithms have been proposed for this problem including simulated annealing and genetic algorithm.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genetic algorithm called GA-FF and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genetic algorithm outperforms the previous one.

삼각함수 학습지도에서 테크놀로지의 활용

  • Choe, Jong-Sul;Kim, Hyang-Suk;Kim, Bu-Yu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123-137
    • /
    • 2003
  • 본 논문의 목적은 삼각함수의 학습에 테크놀로지가 기여할 수 있는 방법적인 측면과 인지적인 효과를 명시하는 것이다. 테크놀로지가 삼각함수의 학습에 기여할 수 있는 네 가지 방법론적인 면을 '수학과 학생들의 실제 경험의 연결', '수학적 대상과 수학적 관계의 구체화', '수학의 다양한 표현 체계의 연결', '사고력 중심의 수학교육 추구'의 관점에서 논한다. 이 네 가지 방법론적인 측면 중 '수학적 대상과 수학적관계의 구체화'와 '수학의 다양한 표현 체계의 연결'을 중심으로 삼각함수의 학습법을 예시하면서 이 두 가지 방법이 어떻게 인지적으로 기여하는지를 보여준다.

  • PDF

Simplification of 3D building models for defined by triangles (삼각면으로 정의된 3차원 건물 모델의 단순화)

  • Oh, So-Jung;Lee, Im-Pyeong;Kim, Tae-Hyu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01-304
    • /
    • 2009
  • 3차원 가시화는 3차원 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하여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3차원 가시화 소프트웨어는 복잡한 다면체 모델들을 삼각면으로 분할하여 저장하여 불필요한 기하정보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불필요한 기하정보가 제거된 건물 모델을 생성하기 위하여 동일한 삼각면들을 병합하여 다각면으로 정의하는 기하학적 단순화를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3차원 모델에 포함된 기하학적 오류와 위상학적 오류들이 제거된 삼각면의 속성을 정의한다. 그리고 이웃면 정보를 생성하여 동일면을 병합하고 병합된 면의 경계점들을 정리함으로써 단순화를 수행한다. 제안된 방법의 수행 결과, 삼각면으로 정의된 복잡한 다면체 모델은 다각면으로 정의된 보다 단순한 다면체 모델로 단순화될 수 있었고 동일한 기하학적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나 데이터의 크기가 매우 작아 신속하게 가시화를 수행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안한 방법론은 3차원 건물모델의 가시화 시간을 크게 줄일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