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삼각형 검색

Search Result 2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대용량 그래프에서의 삼각형 검색 연구: 알고리즘과 응용

  • Park, Ha-Myeong;Gang, Yu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11
    • /
    • pp.58-66
    • /
    • 2014
  • 본 고에서는 다양한 네트워크를 표현하는 그래프에서 삼각형을 검색하는 알고리즘과 그 응용을 다룬다. 삼각형은 그래프에서 서로가 연결된 세 정점의 집합을 의미한다. 삼각형 검색 문제는 폭 넓은 응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데이터 마이닝, 네트워크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하고 기본적인 문제로서 인식되어왔다. 삼각형 검색 문제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면서 여러 알고리즘이 제안 되어 왔지만, 최근의 소셜 네트워크, 웹 등의 크기가 방대해 기존의 방법은 이러한 네트워크를 분석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최근 맵리듀스를 활용한 분산/병렬 처리를 통해 대용량 그래프에서 삼각형을 검색하는 알고리즘들이 여럿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제안된 알고리즘들을 설명하고 삼각형 검색의 응용에 대해서 소개한다.

Time-Warping-Based Similarity Search in Sequence Databases (시퀀스 데이터베이스를 위한 타임 워핑 기반 유사 검색)

  • 감상욱;박상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202-20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대형 시퀀스 데이터베이스에서 타임 워핑을 지원하는 유사 검색을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에 관하여 논의한다. 타임 워핑은 시퀀스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도 유사한 패턴을 갖는 시퀀스들을 찾을 수 있도록 해 주는 변환이다. 타임 워핑 거리는 삼각형 부등식 성질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기존의 기법들은 착오 기각 없이 다차원 인덱스를 사용할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타임 워핑을 지원하는 새로운 인덱스 기반 유사 검색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주요 목표는 착오 기각 없이 대형 데이터베이스에서도 좋은 검색 성능을 보장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규명한다.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기법과 비교하여 약 4배에서 43배까지의 성능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나타났다.

  • PDF

Improvement of User Feedback using Gaussian Function in Component Retrieval (컴포넌트 검색에서 가우시안 함수를 이용한 사용자 피드백의 개선)

  • Han, Jung-Soo;Kim, Gui-Ju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89-392
    • /
    • 2005
  • 본 논문의 컴포넌트 검색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 피드백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의 퍼지 기법이 적용된 삼각형 모양의 퍼지화 함수는 컴포넌트를 선택할 때마다 매번 4가지 경우의 그래프를 재구성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피드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검색된 컴포넌트의 선택여부에 따라 동일한 함수이지만 학습률을 달리할 수 있는 가우시안 함수를 이용한 상호작용 함수를 제안한다. 가우시안 함수를 피드백 함수로 채택 시 함수의 파라메타에 따른 검색 성능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가장 효율적인 동적 상호작용 함수를 제안하여 소수의 컴포넌트로도 좋은 검색 결과가 가능한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 PDF

Integration of T-Search and Dynamic-Window Concept for Accelerated Searching Speed in Delaunay Triangulation (Delaunay Triangulation의 폴리건 검색속도 개선을 위한 T-Search와 Dynamic-Window 개념의 결합)

  • Kang, Hyun-Joo;Yoon, Sug-Joon;Kong, Ji-Young;Kim, Kang-Soo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7 no.5
    • /
    • pp.681-687
    • /
    • 2003
  • Terrain surfaces have to be modeled in very detail and wheel-surface contacting geometry must be well defined in order to obtain proper ground-reaction and friction forces fur realistic simulation of off-road vehicles. Delaunay triangulation is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thods in modeling 3-dimensional terrain surfaces, and the T-search is a relevant algorithm for searching resulting triangular polygons. The T-search method searches polygons in a successive order and may not allow real-time computation of off-road vehicle dynamics if the terrain is modeled with many polygons, depending on the computer performance used in the simulation. The dynamic T-search, which is proposed in this paper, combines conventional T-search and the concept of the dynmaic-window search which uses reduced searching windows or sets of triangular surface polygons at each frame by taking advantage of the information regarding dynamic charactereistics of a simulated vehicle. Numerical tests show improvement of searching speeds by about 5% for randomly distributed triangles. For continuous search following a vehicle path, which occurs in actual vehicle simulation, the searching speed becomes 4 times faster.

Designing of Surface Comparison Method on Active Site of Enzyme (Enzyme의 활성 사이트 표면 비교기법 설계)

  • Nam Hee Yu;Kwang Su Jung;Keun Ho Ryu;Yong Je Ch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279-282
    • /
    • 2008
  • 단백질의 구조는 그 기능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에 조금이라도 변화가 생기면 바로 생체기능에 이상이 생긴다. 그래서 단백질 구조연구는 필수적이고 구조의 유사성 검색을 이용하여 단백질 기능을 예측한다. 그러나 전체적인 구조가 유사한 단백질이라도 기능에 중요한 특정구조가 다르게 되면 다른 기능을 수행 할 수 있고 구조가 다른 단백질이라도 핵심 영역의 구조가 유사하다면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단백질의 기능이 특정 하위구조의 잘 보존된 활성 사이트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단백질의 3차원 공간정보를 matrix로 표현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평면도형인 삼각형을 이용하여 단백질 표면에 대한 상세한 형태비교를 제공한다. 단백질 표면에서 활성 사이트 아미노산 잔기의 side chain은 일반적으로 바깥을 향하여 표면의 형태를 결정짓기 때문에 단백질 표면을 비교하기 위해 side chain 정보가 필수적이다. 우리는 아미노산 잔기의 Cα원자에 side chain을 포함하여 Cα삼각형과 side chain 삼각형 2개를 하나의 특정하위구조 set으로 정의하고 이 하위구조로 distance matrix를 구축한다. 만들어진 distance matrix에 RMSD를 이용하여 활성 사이트의 표면을 비교한다. 제시한 기법은 단백질의 전체적인 서열과 구조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 활성 사이트의 특정하위 영역만을 고려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이고 빠른 시간 내에 상세한 비교를 수행할 수 있다.

Adaptation of the Cloth 3D Models to the Personal Characters for Fashion Coordination (패션코디를 위한 개인 캐릭터에 의복 3D모텔의 정합)

  • 조은규;최우혁;이용원;최창석;김효숙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1.06a
    • /
    • pp.193-196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3D 패션 코디를 위해 의복의 3D 모델을 개인 캐릭터에 정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정합 방법은 의복 모델의 변형, 인체와 의복의 역전 부위 검색, 의복 모델의 수정의 3단계로 나누어진다. 먼저, 인체와 의복이 부위별로 대응을 이루도록 각각에 특징점을 설정하고, 의복의 공극을 고려하여 의복 모델의 높이, 넓이, 두께를 부위별로 변형한다. 의복 3D모델의 정합 후에도, 부위에 따라 의복의 표면 위에 인체가 노출되는 역전현상이 일어난다. 이를 위해, z-버퍼를 개량한 거리-버퍼의 개념을 제안하여 역전을 효과적으로 검색한다(Collision Detection ). 검색된 부위에서 삼각형을 분할하여 의복 모델을 수정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a map matching module based on the shape file for the Taxi telematics system (택시 텔레매틱스 상에서 쉐이프 파일에 기반한 맵 매칭 모듈의 구현)

  • Junghoon Lee;Youngshin Hong;Gyung-Leen Park;Inhye Shin;Jiae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222-122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1분에 최대 200 개의 위치보고를 처리하여야 하는 제주 택시 텔레매틱스 시스템에서 보다 효율적인 트래킹과 택시 배차를 위해 맵 매칭에 의해 차량이 위치한 도로를 검색하는 모듈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구현된 모듈은 위치기반 서비스에 있어서 저비용 효율적으로 맵 매칭을 구현하기 위해 쉐이프 파일을 직접 순차적으로 처리하고 보고지점과 세그먼트들로 이루어진 삼각형의 면적을 기반으로 매칭 링크를 검색한다. 이 기능은 차량의 진행방향을 판단하거나 도로 내에서의 위치 비율을 계산하는데 용이하며 다양한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현된 시스템에서 실제 히스토리 데이터에 대해 맵 매칭을 수행한 결과 95% 이상 해당 링크를 검색하였다.

An Effective Similarity Search Technique supporting Time Warping in Sequence Databases (시퀀스 데이타베이스에서 타임 워핑을 지원하는 효과적인 유살 검색 기법)

  • Kim, Sang-Wook;Park, Sang-Hyu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28 no.4
    • /
    • pp.643-654
    • /
    • 2001
  • This paper discusses an effective processing of similarity search that supports time warping in large sequence database. Time warping enables finding sequences with similar patterns even when they are of different length, Previous methods fail to employ multi-dimensional indexes without false dismissal since the time warping distance does not satisfy the triangular inequality. They have to scan all the database, thus suffer from serious performance degradation in large database. Another method that hires the suffix tree also shows poor performance due to the large tree size.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novel method for similarity search that supports time warping Our primary goal is to innovate on search performance in large database without false dismissal. to attain this goal ,we devise a new distance function $D_{tw-Ib}$ consistently underestimates the time warping distance and also satisfies the triangular inequality, $D_{tw-Ib}$ uses a 4-tuple feature vector extracted from each sequence and is invariant to time warping, For efficient processing, we employ a distance function, We prove that our method does not incur false dismissal. To verify the superiority of our method, we perform extensive experiments . The results reveal that our method achieves significant speedup up to 43 times with real-world S&P 500 stock data and up to 720 times with very large synthetic data.

  • PDF

A Spatial Index Technique supporting Efficient Spatial Query Processing for AR Applications (AR 응용을 위한 효율적인 공간 질의 처리를 지원하는 공간색인)

  • Park, Jang-Yoo;Yang, Pyoung-Woo;Nam, Kwa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50-52
    • /
    • 2010
  • 전통적인 공간 정보 기술인 GIS는 최근 첨단 정보통신 기술들과의 융 복합을 통해 유비쿼터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진화하고 있다. 한편, 증강현실 기술은 (Augmented Reality) 가상의 그래픽 환경을 실제 환경에 합성하여 사용자가 실제와 가상을 동시에 인식하게 하는 기술이다. 최근 휴대기기의 발달로 전통적인 사용자 위치 기반 서비스에 증강현실을 접목하여 다양한 정보를 실제 환경에 더해 보여주는 기술들이 증가 하고 있다. 전통적인 GIS에서의 공간 질의는 최소 정계 사각형을 사용하지만 증강현실이 적용되는 공간 질의는 삼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증강현실 응용을 위한 공간 질의 검색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데드 스페이스 발생으로 인한 노드의 추가 검색 시간을 감소시킴으로서 기존의 R-tree 기반의 공간 색인들의 성능 향상을 꾀한다. 마지막으로 PostGIS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성능을 입증하였다.

  • PDF

Spatial Filtering Techniques for Geospatial AR Applications in R-tree (R-tree에서 GeoSpatial AR 응용을 위한 공간필터링 기법)

  • Park, Jang-Yoo;Lee, Seong-Ho;Nam, Kwang-Woo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1
    • /
    • pp.117-126
    • /
    • 2011
  • Recently, AR applications provide location-based spatial information by GPS. Also, the spatial information is displayed by the angle of the camera. So far, traditional spatial indexes in spatial database field retrieve and filter spatial information by the minimum bounding rectangle (MBR) algorithm.(ex. R-tree) MBR strategy is a useful technique in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and location based services. But MBR technique doesn'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queries in AR. Spatial queries of AR applications have high possibility of the dead space area between MBRs of non-leaf node and query area. We propose triangle node filtering algorithm that improved efficiency of spatial retrieval used the triangle node filtering techniques by exclusion the dead space. In this paper, the proposed algorithm has been implemented on PostgreSQL/PostGI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spatial retrieval that using the proposed algorithm better performance than the spatial retrieval that of the minimum bounding rectangle algorith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