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삶의 만족도 구조방정식 모형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노인의 평생교육활동참여가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와 자원봉사활동의 매개검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of Lifelong Education Activities on the Self - Consciousness of the Elderly -Focused on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and Volunteer Activity-)

  • 안화순;문재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592-599
    • /
    • 2018
  • 본 연구 목적은 노인의 평생교육활동참여가 자아통합감이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고 삶의 만족도와 자원봉사활동이 매개하여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지역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일반노인대상으로 노인복지회관, 노인대학, 경로당 등의 평생교육기관에 참여하는 300명을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AMOS 22.0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응용하였고, 매개경로의 유의수준을 검증하기 위해서 구조방정식으로 Bootstrap 분석과 추가적으로 Sobel test 검증 방식을 사용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WIN 22.0,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의 평생교육활동 참여가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주었으며, 삶의 만족도와 자원봉사활동은 매개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평생교육활동 참여를 높일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논의하였다.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위한 사회적지지와 가족기능이 중.노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on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and old-aged for the policy implications)

  • 이경숙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243-252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이 사회참여 활동을 통하여 중 노년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ng modeling)을 작성하여 검증해 봄으로써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인과모형과 연구가설을 설정한 다음, G시에 거주하는 50세 이상 중 노년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검증해 보았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중 노년의 가족기능과 사회적지지는 사회활동참여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또한 긍정적인 태도를 견지함으로써 전반적인 삶의 만족도가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노인의 관광경험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ourism Experience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 김혜린;현인숙;우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32-240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노인들의 관광경험이 삶에 질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의 조사대상은 제주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으로 총 209부의 설문 내용이 분석에 활용되었다. 연구 결과, 관광경험은 '가족', '사회', '건강', '심리적', '물질적', '여가' 삶의 영역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가족', '건강', '심리적', '여가' 삶의 영역에 만족은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 '물질적' 삶의 영역 만족은 전반적 삶의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학교 1학년 학생이 느끼는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 학업무기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 분석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Grit, and Academic Helplessness Felt by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Students)

  • 유계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140-154
    • /
    • 2021
  •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 삶의 만족도, 학업무기력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KCYPS 2018 패널자료 중 중학교 1학년 2590명(남학생 1405명, 여학생 1185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모형을 검증하였으며,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 검증은 부트스트랩으로 유의성 검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는 삶의 만족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어떠하냐에 따라서 청소년 자녀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는 학업무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어떠하냐에 따라서 청소년 자녀의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삶의 만족감은 학업무기력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따라 학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삶의 만족도가 높으면 학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삶의 만족도가 낮으면 학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있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와 학업무기력 관계에서 삶의 만족감은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하여 삶의 만족도가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과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Effects of Bullying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Mediation Effects of Self-esteem and Social Withdrawal

  • Kim, Hyung Hee;Kim, Yong Seob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173-179
    • /
    • 2022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수준 향상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청소년 6차 년도(2016년)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자아존중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수준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Influence of Public Transfer Income and Private Transfer Income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 Lee, Hyoung-Ha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155-1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다중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KReLS: Korean Retirement & Income Study) 데이터 중 7차 패널자료(2017년도)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이 많을수록 우울 수준은 낮아졌으며, 사회적 지지는 높아졌고, 삶의 만족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우울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의 부분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넷째, 노인의 공적이전소득과 사적이전소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과 사회적 지지의 다중매개효과가 유의함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에 근거해, 노인의 사회적 지지망 강화를 위한 Community Care 사업의 활성화 등의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Social Distance between Foreign Workers and Koreans : From Foreign Workers' Viewpoint

  • 김석호;김상욱;한지은
    • 한국인구학
    • /
    • 제32권2호
    • /
    • pp.115-140
    • /
    • 2009
  •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문제를 살펴 보기 위하여 그들이 한국인들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social distance)을 분석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감은 인종 간 상호 관계 연구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져 왔으며, 특히 사회적응 수준을 드러내는 효과적인 척도로 각광받아왔다. 이 연구는 한국내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의 결정요인을 규명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서울과 경기 지역에서 수집된 자료에 대한 다중회귀분석(OLS Regression)을 통하여, 이 연구는 서구 사회에서 다수 인종의 사회적 거리감을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판명된 요인들이 한국의 소수 인종인 외국인노동자들에게도적용될수있는가를살펴본다. 구체적으로는 연령, 성, 교육, 종교, 인종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수들과 한국인과의 접촉정도 가사회적 거리감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된다. 둘째, 이 연구는 외국인 노동자들의 가장 중요한 삶의 공간인 작업장에서의 경험과 관련된 변수들이 사회적 거리감에 대하여 가지는 효과를 탐구한다. 셋째,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의 적용을 통하여, 이 연구는 다중회귀에서 분석된 여러 설명 변수들 간의 복잡한 인과구조를 규명하고, 이들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직접효과, 간접효과, 전체효과로 나누어 살펴본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집단 간 사회적 거리감은 사회인구학적 변수들, 한국인들과의 접촉, 작업장 내 경험등 다양한 요인들의 복합적인 결과물이라는 점을 확인해 준다. 특히 분석결과는 작업장에서의 경험과 느낌이 한국 내 외국인 노동자들의 한국인들에 대한사회적거리감형성에결정적이라는사실을보여주는반면, 기존연구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판명된 전통적 요인들은 영향력이 미미하다는 점을 말해준다. 한편,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한 분석결과는 한국인 친구들과의 접촉과 이해하기 쉽고 구체적인 노동조건이 사회적 거리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한편 추상적인 노동조건은 사회적 거리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상사에 대한 평가와 직무만족은 노동조건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만, 한국인 친구와의 접촉과는 관련이 없다. 간단히 말해, 상사에 대한 평가와 직무만족은 노동조건이 사회적거리감에 대하여 가지는 효과를 매개한다. 결론적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결과는 작업장 관련 변수들간에 복잡한 인과구조가 존재한다는 점과 작업장 내 경험이 한국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형성에 가장 중요하다는점을 확인해 준다.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명수행의식과 몰입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ing a Cal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Living a Calling and Flow,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김소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64-373
    • /
    • 2017
  • 본 연구는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의 실천적 경험요인인 소명수행의식과 몰입의 매개효과와 자기신념과 관련된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며 서울 소재 직장에 다니는 성인 185명을 대상으로 소명의식, 삶의 만족, 소명수행의식, 몰입과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여 2016년 6월부터 7월까지 60일간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 직장인의 소명의식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소명의식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소명수행의식이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셋째, 몰입은 소명수행의식과 삶의 만족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넷째, 자기효능감은 소명수행의식과 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 2개를 설정한 후, SPSS 20.0과 AMOS 20.0 통계 프로그램를 이용하여 수집된 데이터에 대한 구조방정식(SEM) 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 연구모형이 최종모형으로 선택됨으로써 본 연구의 가설은 모두 지지되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 직장인의 소명수행의식과 몰입 등의 실천적 행위에 대한 중요성과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부모에게 받은 방임과 학대가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parental neglect, abuse on middle school children's life satisfaction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 우재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69-579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로부터 경험한 청소년의 방임, 학대가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2015년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한국아동 청소년 패널조사 2015년 6차 데이터의 중학교 1학년생이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구조방정식과 sobel testing에 의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부모에게 받은 방임, 학대가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중요한 매개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밝혔다. 연구결과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방임, 학대가 삶의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방임과 자아탄력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258$, p<.001). 자아탄력성과 삶의 만족도는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843$, p<.001). 반면, 방임, 학대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beta}=-.005$, p<.001/${\beta}=-.035$, p<.001). 둘째, 완전매개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설정하여 부분매개모형과의 비교를 통해 적합한 모델을 평가한 결과 방임은 자아탄력성을 완전 매개하여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즉,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미성 검증, sobel검증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의 완전매개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검증되었다(Z=-.169, t(CR)=-.012 (p<.05).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어졌다.

마인풀니스와 삶의 만족 간의 관계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Correlations between Mindfulness and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 반정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92-20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인풀니스, 대인관계능력, 삶의 만족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성인남녀 5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마인풀니스, 대인관계능력, 삶의 만족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마인풀니스, 대인관계능력, 삶의 만족 수준은 청년기, 성인전기, 성인 중 후기 세 단계 생애주기에 따라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마인풀니스는 대인관계능력과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며, 대인관계능력 또한, 삶의 만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인풀니스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대인관계능력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마인풀니스 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입뿐만 아니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하고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