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살모넬라

검색결과 301건 처리시간 0.028초

Salmonella Gallinarum 박테리오파지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Bacteriophages against Salmonella Gallinarum)

  • 김민정;권혁무;성환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1-188
    • /
    • 2017
  • 박테리오파지는 세균에 특이적으로 감염하는 바이러스로 용해 능력이 있는 박테리오파지는 동물질병을 치료하는 항생제 대체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닭에서 가금티푸스를 유발하는 Salmonella enterica serovar Gallinarum(Salmonella Gallinarum)에 대한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하고, 그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7개의 닭 도축장 하수 처리장 물로부터 10주의 박테리오파지를 분리하였다. 이중 $SG{\Phi}-YS$ SP로 명명된 파지는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Myoviridae family로 분류되었다. 분리한 박테리오파지의 숙주 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Salmonella Gallinarum 7주와 Salmonella Enteritidis 5주에 대한 용해 유발능력을 조사한 결과, $SG{\Phi}-YS$ SP는 Salmonella Gallinarum만 용해하는 특징을 보였다. $SG{\Phi}-YS$ SP는 Salmonella Gallinarum에 접종하였을 경우 6시간과 9시간 뒤 각각 2.21 log cfu/mL 및 2.13 log cfu/mL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 닭에서 Salmonella Gallinarum 감염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파지 제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재래 된장과 시판 된장의 미생물 오염 및 바이오제닉 아민 함량 분석 (Analysis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and Biogenic Amines Content in Traditional and Commercial Doenjang)

  • 이학태;김종호;이상선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02-109
    • /
    • 2009
  • 전통 방법으로 제조한 재래 된장 4종과 개량식 방법으로 제조한 시판 된장 6종을 선정해 바실러스 세레우스균, 황색포도상구균등 미생물 오염도 검사와 바이오제닉 아민류에 대한 모니터링 검사를 실시하였다. 된장 10종 모두에서 대장균과 대장균군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일반세균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전체적으로 검출된 일반세균은 $6.2{\pm}0.1\;\log\;CFU/g{\sim}7.9{\pm}0.1\;\log\;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시료별로는 가정에서 재래식으로 담근 된장이 $7.8{\pm}0.1\;\log\;CFU/g{\sim}7.9{\pm}0.1\;\log\;CFU/g$의 분포를 보여 $6.2{\pm}0.1\;\log\;CFU/g{\sim}7.4{\pm}0.1\;\log\;CFU/g$의 분포를 보인 시판된장 보다 높은 일반세균수가 검출되었다. 식중독균 검사결과 황색포도상구균과 살모넬라균, 그리고 리스테리아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러나 바실러스 세레우스균은 $H1{\sim}H4$를 제외한 모든 샘플에서 검출되었으며, $2.3{\pm}0.4 \log\;CFU/g{\sim}2.6{\pm}0.1\;\log\;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고, 각 시료별로 검출된 바실러스 세레우스 균수가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바이오제닉 아민의 분석 결과 재래식 방법으로 제조한 된장인 $L1{\sim}L4$에서 PUT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시판된장 $H2{\sim}H5$에 비하면 1/10수준이었다. 시판된장인 $H1{\sim}H6$에서는 PUT, TYR. HIS 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대부분의 바이오제닉 아민의 경우 시판 된장이 일반 재래식 된장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다.

도축장의 소와 돼지 분변에서 분리한 살모넬라속의 약제내성 및 약제내성 유전자의 보유율 (Prevalence of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resistance associated gene in Salmonella spp. isolated from pigs and cattle in slaughterhouse)

  • 하도윤;지대해;조상래;박애라;정은희;박동엽;이국천;양정웅;김종수;김혜정;정종화;송익현;김애란;이지연;김용환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5-54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Salmonella spp. from pigs and cattle in slaughterhouse,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pattern and the prevalence of resistance genes of isolates. A total of 640 fecal samples from pigs and cattle in slaughterhouse were collected for isolation of Salmonella spp.. Isolation rate was revealed as 15% in pigs and 1.6% in cattle. As result of serotyping, group B (56.6%) were identified as most common in pigs and cattle isolates, in order of group C (24.5%) and group E (15.1%). S. Typhimurium (50.9%) was most common serotype. The major serotypes were in order of S. Rissen and S. London (11.3%) and S. Riggil (7.6%). In antimicrobial test, all isolates were demonstrates susceptibility to nitrofurantoin. But isolates were revealed resistance other antibiotics in order of tetracycline (64.6%), streptomycin (68.3%), ampicillin and amoxicillin (56.3%) and spectinomycin (47.9%). With polymerase chain reaction, antimicrobial resistance gene strA (75.0%) and aadA1 (3.1%) were detected in streptomycin resistance isolates and tetA (94.3%) and tetB (11.3%) gene were detected in tetracycline resistant isolates, but tetG was not detected. Class 1 integron gene was detected in all Salmonella isolates.

살모넬라 C1 serogroup 특이 rfbM 유전자 증폭과 염기서열 분석 (DNA Sequence analysis and rfbM gene amplification using PCR for detect salmonella C1 serogroup)

  • 이성일;정석찬;문진산;박용호;이존화;김병수;백병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9-118
    • /
    • 1996
  • The Salmonella rfb gene encoding for the biosynthesis of the oligosaccharide-repeating units of the O-antigenic determinants was cloned and sequenced. A set of nucleotide primers(a forward and reverse) was selected to target a defined region of the guanosine diphospho-mannose(GDP-Man) pyrophosphorylase synthase gene : rfbM of Salmonella C serogroup. The primer set was used to develop a PCR-based rapid and specific detection system for Salmonella C1 serogroup. Amplification bands of predicted size(1,422bp) were generated from 11 different Salmonella C1 isolates. The bands were verified to be specific for the C1 serogroup by Southern blot analysis using reference homologous DNA specificity was further confirmed by the lack of reactivity with heterologous DNA derived from non-salmonella members of the family enterobacteriaeceae. A specificity of 100% was deduced along with a very high sensitivity shown by a detection limit of 1fg of a purified DNA template. The isolated DNA sequence was found to be 99.8% homologous to S montevideo but the related primers amplified with the predicted band sizes with all the Salmonella C1 serogroups tested. It is concluded that the PCR protocol based on the rfbM gene from S cholerasuis is optimal fast and specific for the detection of Salmonella C1 serogroup and also the corresponding probe is suitable for rapid detection of all Salmonella C1 serogroup DNA tested. This technology should facilitate the identification of contaminated pig products and for any other products contaminated with the Salmonalla C1 serogroup. The immediate impact of this developed method will be in the area of food safety of pig products with the potential prospect for adaptation to other food inspection technologies.

  • PDF

투명 양이온 계면활성제 ASCO EAQ80에 대한 급성 경구 독성시험 및 유전 독성시험에 관한 연구 (Acute Oral and Genetic Toxicity Study of ASCO EAQ80, a Novel Cationic Surfactant)

  • 김병조;김동현;이종기;문석식
    • 공업화학
    • /
    • 제20권2호
    • /
    • pp.145-153
    • /
    • 2009
  • 본 연구는 투명한 섬유유연제 제조용 양이온 계면활성제인 ASCO EAQ80의 개발 완료 후 이 제품의 안전성과 관련된 평가를 받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시험은 급성 경구투여 독성시험과 유전 독성시험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랫드를 이용한 경구 단회 투여 독성시험 결과, $LD_{50}$는 5000 mg/kg를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Globally Harmonized Classification System의 기준에 의해 Category 5 또는 Unclassified로 분류되었다. 시험물질인 ASCO EAQ80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에 대해서, 살모넬라균(TA98, TA100, TA1535, TA1537) 및 대장균(WP2uvrA (pKM101))을 이용하여 대사활성화 및 비대사활성화의 경우에서 변이원성 시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모두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또한, 염색체이상 유발성 여부를 검색하기 위하여 Chinese Hamster Lung (CHL/IU) 배양세포를 이용하여 염색체이상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험물질인 ASCO EAQ80은 단시간처리법 및 연속처리법의 경우 대사활성계 적용여부에 관계없이 Chinese Hamster Lung (CHL/IU) 배양세포에 대해 염색체이상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actericidal Efficacy of Vital-Oxide®, Disinfectant Solution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Brucella Ovis

  • Cha, Chun-Nam;Lee, Yeo-Eun;Kang, In-Jin;Yoo, Chang-Yeul;An, Sun-Jeong;Kim, Suk;Lee, Hu-Jang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0-54
    • /
    • 2012
  • 살모넬라와 부루셀라는 가축에 심각한 질병을 유발하며, 축산업과 식품산업에 많은 경제적 손실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산화염소와 베타인 염산염을 주성분으로 한 소독제 바이탈옥사이드의 $Salmonella$ $typhimurium$$Brucella$ $ovis$에 대한 효력시험을 수행하였다. 배지희석법을 이용한 살균효력시험은 $4^{\circ}C$에서 30분 동안 시험 세균을 희석 소독제에 노출시켜 소독제의 가장 효과적인 낮은 희석배수를 결정하는 시험이다. 바이탈옥사이드와 시험 세균들을 처리조건에 따라 증류수, 경수, 그리고 유기물 등으로 희석하여 반응을 시켰다. 유기물 조건에서, $Salmonella$ $typhimurium$$Brucella$ $ovis$에 대한 바이탈옥사이드의 살균력은 경수조건에서의 살균력과 비교하여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유기물들에 의한 소독제의 살균 유효성분에 대한 저해작용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바이탈옥사이드는 $Salmonella$ $typhimurium$$Brucella$ $ovis$와 같은 가축병원성 질병들에 대해 살균효과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소독제는 세균성 질병의 확산을 제어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조미건어포류의 안전성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the Safety in Seasoned Dried Fishes)

  • 윤미혜;홍해근;이인숙;박민정;윤수정;박정화;권연옥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3-147
    • /
    • 2009
  • 경기북부지역의 시중마트와 재래시장, 국내 온라인상에서 유통되고 있는 조미건어포류를 대상으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73건을 수집하여 보존료, 이산화황 사용유무 및 함량과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보존료는 73건 중 25건(34%)에서 보존료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사용한 보존료는 소르빈산으로서 $0.01{\sim}0.92$ g/kg 검출량을 보여 우리나라 사용기준에 적합하였다. 이산화황도 대부분의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1건에서 10.5 mg/kg이 검출되었으나 기준 이내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호기성균은 조사대상 73건에서 모두 검출되었으며 오염범위는 $3.00{\sim}6.45\;log_{10}$ CFU/g, 평균오염도는 $5.09\;log_{10}$ CFU/g를 보였다. 총호기성균 오염도는 시중마트, 재래시장 판매제품보다는 온라인상에서 판매되는 제품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균, 살모넬라, 황색포도상구균은 모든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 조미건어포류들은 우리나라 식품공전 기준에는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총호기성균 검사 결과에서 위생적인 제품 생산, 유통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벌번데기로부터 식중독 세균 및 곰팡이독소 안전성 평가 (Safety Investigation on Foodborne Pathogens and Mycotoxins in Honeybee Drone Pupas)

  • 김세건;우순옥;장혜리;최홍민;문효정;한상미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9-40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양봉농가에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영양이 풍부한 꿀벌 수벌번데기를 새로운 식품원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유해 미생물과 곰팡이독소에 대한 안전성 시험을 수행하였다. 검사 시료는 국내 3지역의 양봉농가에서 직접 생산한 수벌번데기를 채취 후 곧바로 냉동 운반하여 동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식품공전 시험법에 따라 대장균군(Coliforms), 살모넬라(Salmonella spp.),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장출혈성대장균(Enterohemorrhage Escherichia coli)에 대한 검출 여부를 조사한 결과 280개의 벌통에서 채취한 수벌번데기 전부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곰팡이 독소인 아플라톡신 $B_1$(aflatoxin), 오크라톡신 A (ochratoxin), 데옥시니발레놀(deoxynivalenol) 그리고 제랄레논(zearalenone)이 수벌번데기에서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벌통 내 소비에서 채취하여 곧 바로 냉동보관 한 수벌번데기는 유해 미생물과 곰팡이 독소로부터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어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지기 Salmonella typhimurium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세포질 단백질의 동정 및 발현조절에 대한 연구 (Identification and Chararterization of Stationary-phase Specific Cytosolic Protein in Salmonella typhimurium)

  • 유아영;김영희;유종언;김삼웅;백형석;강호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298-304
    • /
    • 2007
  • Salmoenella는 대표적인 intracellular pathogen으로 숙주의 면역 세포인 macrophage 내에서 살아남아 이들을 매개로 숙주의 몸 전체를 이동해 가면서 전신성 감염을 일으킨다. 살모넬라는 숙주 세포 내부의 이러한 극한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어 기작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스트레스가 작용하는 정지기 Salmonella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단백질에 주목하였다. 정지기 상태의 Salmonella에서 약 20 kDa의 단백질이 특이적으로 많이 발현되었으며, 세포질 분획을 통해 이 단백질이 세포질 부분에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MALDI-TOF 분석을 통해 이 단백질이 $\b{D}NA$ binding $\b{p}rotein$ in $\b{s}tationary$ phase (Dps) 단백질임을 확인하였다. Dps 단백질은 스트레스가 주어진 상황에서 DNA에 비특이적으로 결합하여 DNA가 안정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스트레스로부터 염색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의 연구를 위하여 과발현하여 정제한 Dps 단백질을 토끼에 주사하여 Dps 특이적인 항체를 제조하였다. dps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자 단백질을 알기 위하여 다양한 S. typhimrium 돌연변이주들 내에서의 Dps 단백질양을 조사하였다.

Aspergillus oryzae 배양물이 육계의 생산성, 분변의 미생물 성상 및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Aspergillus oryzae Ferment on Growth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and Microbial Population and Fecal Ammonia Production)

  • 손지혁;조인경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7-294
    • /
    • 2007
  • 본 연구는 질소원 결핍 배지에서 배양되어 in vitro 실험상에서 항균 활력이 있는 것으로 증명된 Aspergillus oryzae 배양물을 질소원 공급 배지와 비교하여 육계의 증체, 사료 섭취량, 영양소 이용율, 유해 가스 생산 및 분내 미생물 균총 변화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총 168수 2일령 육계를 7 처리구(대조구, 질소원 공급 배지에서 자란 Aspergillus oryzae 배양물(NAOF) 0.05, 0.1, 0.5%, 질소원 결핍 배지에서 자란 Aspergillus oryzae 배양물(NNAOF) 0.05, 0.1, 0.5%에 배치하였다. 본 실험 결과 Aspergillus oryzae 첨가로 사료의 기호성이 증가되었으며, Aspergillus oryzae 배양시 질소원 결핍 처리는 일반적인 배양 방법에 비하여 증체와 사료 기호성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영양소 소화율은 질소원 처리 구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지만, 대조구에 비하여 Aspergillus oryzae 배양물을 첨가시에 영양소의 소화율이 전반적으로 향상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육계의 소장 및 대장의 pH 조절에 관여하고 유익균의 생장을 촉진하며, 유해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효소나 대사산물이 분비되어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사료의 기호성 및 영양소의 소화율을 증진시킨 결과라고 추정할 수 있다. 처리에 따른 분내 총균수 변화는 유의적(p<0.05)인 차이를 보였으며, 균수는 NNAOF>NAOF>대조구순으로 나타났다. E. coli와 살모넬라에서는 Aspergillus oryzae 배양물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게(p<0.05) 감소되었고, 특히 NNAOP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분내 암모니아 가스 발생량을 조사한 결과, 실험실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발생량은 대조구>NAOF>NNAOF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NNAOF을 이용한 육계 생산은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환경 오염을 예방할 수 있는 방법임을 시사하므로 더욱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