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후관리시설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1초

산후관리시설의 이용자 만족도와 현 실태에 관한 연구 - 산모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user′s Satisfaction and Actual Condition in the Postpartum Care Center. - Focused on the Private Room for Postpartum Mother.)

  • 이종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81-390
    • /
    • 2003
  • 이 논문은 산후관리시설의 현 실태와 시설을 이용한 사용자들의 만족도를 비교 조사하여 산후관리시설의 효율성과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된 것이다. 상세한 연구를 위해 산후관리시설 중 산모실로 연구 대상을 한정 하였다. 이 논문을 위한 기초 자료는 240명의 산모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산후관리시설에 대한 관찰 조사를 병행하여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2003년 3월 8일부터 2003년 3월 29일에 걸쳐 실시되었고 이 자료는 SPSS-WIN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하였다. 논문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부분에 있어 산모실의 소음, 통풍, 자연채광 같은 환경요소가 대단히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산모실 면적, 창문의 유무, 개인 화장실 및 샤워실 등의 기능적인 요소들도 산모들의 이용 만족도에 중요한 요소가 됨을 발견 하였다.

  • PDF

산후관리시설의 사용실태 및 사용자 요구에 관한 연구 (Space Usage and User Needs of Postpartum Care Centers)

  • 손여림;황연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8-25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pace usage of postpartum care center and postpartum mother's assessment of postpartum care center. This study was conducted questionnaire web survey. 220 women who used postpartum care center were survey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for Win 12.0. Frequency, percentage, mean were us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postpartum care center was consisted of 5 areas such as living area, sanitary area, public area, service area and administration area. Living and public area were mainly occupied, but service area was insufficient. The users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mother room, and low satisfaction with nursing room and shower room. The users complained of size of mother room, collaboration with others in shower room and toilet. The users wanted guest meeting room for users' privacy of living room. The users wanted service area such as massage room, fitness room, physical care roon.

산후 조리원 실내 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Interior Environment Planning of a Postpartum Care Center.)

  • 이종희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53-262
    • /
    • 2007
  • 산후조리원은 불과 십여 년 전부터 등장한 시설이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산후 조리 문화를 바꿔놓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 출산이 사회적 현상이 되어버린 지금 대부분의 산모들은 산후 조리원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산후조리원은 법적, 제도적 뒷받침이 되어있지 않은 상태로, 세무서에 사업자 신고만 하면 누구나 시설을 운영할 수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시설을 갖추지 못한 산후조리원이 난립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상자나 운영면에서 일반 시설과 다른 특성을 갖고 있으나 보건 복지법 상이나 의료법 상에서의 시설 기준이 명확치 못한 산후 조리원의 효율적 공간 구성과 사용자의 편의을 고려한 실내 환경 계획을 제시 하였다. 진행은 서울 경기지역의 산후조리원 6곳을 선정하여 조리원 공간의 구성을 진입공간, 거주공간, 공용공간, 간호공간, 관리 및 부속공간 등의 5가지로 구분하여 그 실태를 조사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건립될 산후 조리원의 실내 환경 계획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산후 조리원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보다 효율적으로 시설이 운영되어 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실내 건축 계획의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산후관리시설의 산모실 환경특성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aternity Room)

  • 황연숙;손여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6권6호
    • /
    • pp.47-5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aternity rooms.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 field survey on 8 samples of postpartum care centers in Seoul. The plan, colors, materials, furniture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maternity rooms ar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aternity rooms environment were categorized into four items; comfort, privacy, communication and dwel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Western-style and rooming-separation system of maternity rooms are used. Maternity rooms are generally good for dwelling quality but insufficient for communication. There are a lack of supply to control a temperature Individually in maternity rooms. It demands to make the type of one-sided public space between maternity room and living room for privacy. All of the maternity rooms surveyed are furnished with TV, radio, and telephone but, to improve communication with visitors, it is recommended that more convenient supplies such as audio and video system, chairs, and table be equipped. There are needs for sky-light windows in maternity room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more about the space of living room, nursing room and service area, and we need more study about baby, nurser and owner' spaces.

산후조리원의 화재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Basic Study for Improving the Fire Safety of Postpartum Care Centers)

  • 이재원;진승현;김시국;권영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1호
    • /
    • pp.138-146
    • /
    • 2019
  • 본 연구는 산후조리원의 화재안전성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산후조리원 시설의 경우 신생아 및 산모가 24시간 상주하고 있으며, 시설의 고층화 및 다중이용시설 내에 위치하고 있어 다양한 화재상황에 따른 대책이 필요하지만, 국내 매뉴얼 상에는 화재안전에 관한 대책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산후조리원 시설 화재사례 분석과 관련 규정조사를 통해 화재안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산후조리원 안전관리에 관한 직원 및 산모의 화재안전 의식에 대해 설문을 통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직원과 산모의 화재안전 의식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산후건강관리서비스 이용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우간다 동부 카프초르와 구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Utilization of Postnatal Care in Kapchorwa District, Eastern Uganda)

  • 아이린 캅사와니 첼란갓;진기남;김선미;엄태림;김진주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63
    • /
    • 2015
  • 목적: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중저소득국가 모성보건지표의 더딘 개선율은 MDG 5(모자보건향상) 미달성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간다 동부 카프초르와 구의 모성사망과 밀접한 산후건강관리(PNC, Postnatal care)서비스 이용결정요인을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지역건강관리자들에게 PNC 서비스 이용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 및 방안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는 MDG 5 지표 개선에 일조하고자 한다. 방법: 표본 집단은 카프초르와 구의 15세~49세 여성들 중 최근 1년 내에 출산을 경험한 자들을 대상으로 편의추출 되었다. 조사기간은 2014년 7월부터 10월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에 총 171명이 응답하였고, 19명의 주요 정보제공자와의 심층면담도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PNC 이용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각 독립변수가 PNC 이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응답자의 55%만이 의료시설의 PNC 서비스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서는 응답자의 연령과 사회적 네트워크, 인지된 건강상태, 산전관리서비스 이용이 PNC 서비스 이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료시설과의 거리, 가족의 규모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PNC 서비스 이용개선을 위해서는 먼저 여성의 사회적 자본 확충 및 개선을 위한 모성보건교육인 소프트 인프라 지원이 지자체 차원에서 실시되어야 할 것이며, 서비스 이용을 가능케 하고 접근성을 높이는 응급후송체계 구축과 같은 물리적 인프라 지원도 도입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가족계획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모성보건관리에 대한 지자체의 민감성을 높이는 것도 필요하겠다.

임산부의 감정 인식에 따른 조명 색온도 제어 연구 (A Study on the Control of Lighting Color Temperature by Emotional Perception of Pregnant Women)

  • 손성호;최동규;장종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23-125
    • /
    • 2021
  • 임산부의 심리 상태는 태아의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건강한 태아 출산을 위해 임산부의 건강 관리는 필수이다. 많은 임산부가 겪는 임신 증상 중 하나는 감정 기복에 따른 우울감이며, 이 우울감 해소를 위한 한 가지 방법으로 조명을 이용한 라이트 테라피와 컬러테라피를 이용한 방법이다. 조명 빛의 색온도를 조절하여 색을 통해 감정에 영향을 미치도록 한다. 그 예로 자동차 판매장의 천장 조명을 태양과 비슷한 자연광과 같이 설정을 한다던가 스파숍 시설에서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색온도가 낮은 색상을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으로 임산부의 표정을 이미지 센서를 사용하여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조명의 색온도를 변경한다. 쉽게 구매할 수 있는 조명기기로 임산부가 받는 심리학적 영향을 이용해 산후우울증 해소하고자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