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화성열화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tudy of Lubrication and Oxidation Stability as Mixture Ratio of FAMEs in Lubricating Base Oil (윤활기유 내 지방산메틸에스테르 혼합비율에 따른 윤활특성 및 산화안정성 연구)

  • Kim, Shin;Yim, Eui-Soon;Jung, Choong-Sub;Na, Byung-Ki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4
    • /
    • pp.715-725
    • /
    • 2013
  • FAMEs produced from vegetable oil via transesterification reaction were known as alternative fuels. Lubrication and Wear properties of FAMEs were investigated to confirm the alternative possibility as lubricating base oil. In this study, lubrication properties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ixture oils were examined using blended FAMEs(soybean, palm, waste oils) in two kinds of lubricating base oils. The oxidation stability of mixe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ASTM D 2272 method and investigated for oxidation states of mixture oils after the shell four ball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FAMEs contents improved lubrication due to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however, increased the contents of oxidation which deteriorate the lubrication, and we found optimum mixture ratio as results of each base biodiesel (FAME).

열/플라즈마 산화를 이용한 그래핀 내산화 특성 연구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78-78
    • /
    • 2010
  • 그래핀(Graphene)은 탄소원자가 육각형 벌집(honeycomb)구조로 빼곡히 채워진 2차원의 단원자 층으로 역학적 강도와 우수한 화학적/열적 안정성 및 흥미로운 전기 전도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현재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응용연구 등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그래핀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들은 그래핀의 층수, 모서리(edge)구조, 결함(defect), 불순물 등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래핀의 구조 및 결함정도를 자유로이 제어하고 그에 따르는 특성 변화를 관찰하는 것은 기초연구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향후 그래핀 응용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의 내산화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그래핀을 열 및 플라즈마 산화 분위기에 노출시킨 후, Raman 분광법을 이용하여 광학적, 구조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그래핀의 내산화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래핀은 실리콘 웨이퍼에 전자빔증착법으로 니켈박막을 증착한 후 열화학증기증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메탄가스를 원료가스로 $900^{\circ}C$ 전후에서 합성하였다. 합성한 그래핀은 산화반응 시 기판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트렌치 구조의 기판 위에 전사(transfer)함으로써 공중에 떠있는 구조를 구현하였다. 열 산화의 경우, 합성한 그래핀을 대기분위기의 고온($500^{\circ}C$) 챔버에 넣고 처리시간에 따른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플라즈마 산화의 경우는 공기를 이용하여 직류플라즈마를 발생시킨 후 0.4 W의 낮은 플라즈마 파워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산화처리와 특성평가를 매회 반복하였다. 그래핀의 특성분석은 Raman분광기와 광학현미경, 원자힘현미경(AFM)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기 결과들은 향후 산화환경에서의 그래핀 응용소자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 Preservation of Materials for the Records (자료매체의 보존성)

  • 신종순;최찬호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12 no.2
    • /
    • pp.71-8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methods of preservation for paper, microfilm, digital media. First of all, for acidic papers produced in 19~20 centuries, this study evaluates and analyses deterioration and factors causing deterioration. For book, also, environmental condition for preservation, and a preservation mechanism through acid-free procedure were suggested. Second for microfilm, it emphasized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xidised substance during developing film, materials related to preservation. Third, for digital storages, storage conditions and needs, such as life-cycle and capacity were introduced.

  • PDF

Platinum 유기착화합물을 이용한 금속박막의 증착에 관한 연구

  • Yoo, Dae-Hwan;Choi, Sung-Chang;Ko, Seok-Geun;Choi, Ji-Yoon;Shin, 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153-153
    • /
    • 1999
  • platinum 유기착화합물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 위에 Pt를 증착시켰다. Pt를 증착하기 위하여 Pt 착화합물을 용해 시킨 후, 유리 기판을 용액속에 담근 후 가열하여 Pt막을 증착하였다. 증착 후 Pt의 면저항은 200~75$\Omega$의 값을 나타내어 비교적 높은 저항값을 나타내었다. 높은 저항값을 낮추기 위해 진공 10-5Torr에서 50, 100, 150, 25$0^{\circ}C$로 열처리를 하였다. 이러한 저항값을 변화의 원인을 살펴보기 위하여 X-선 회절법을 이용하여 결정성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화학적 조성의 변화는 X-ray 광전자 분광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열처리 전 Pt막은 비정질 상태를 나타내었으나, 6$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한 후에는 결정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열처리 후 결정방향은 {111] 방향이 주 방향이였으며 [002] 방향의 피크도 관찰되었다. 따라서 성장된 막은 다결정 막임을 알 수 있었다. XPS를 이용하여 조성을 조사하여 본 결과 열처리하지 않은 시료의 경우 유기물과 반응하여 Pt의 피크가 넓게 나타나나 열처리 후에는 유기물이 분해되어 Pt의 고유한 피크를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전기전도도의 변화는 유기물의 분해를 통하여 순수한 Pt로 변해가면서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되어 지며 결정성 또한 전기전도도 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다. 기존의 방법을 이용하여 Pt를 증착할 경우 기판과 쉽게 박리 되는 현상이 관찰되었으나 본 방법을 이용하여 증착된 Pt 박막의 경우 열처리 후에는 기판과의 접착력이 기존의 방법보다 뛰어나 박리되는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에서 안정한 것을 볼 수 있었다. 텅스텐 박막은 $\alpha$$\beta$-W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본 연구에서 성장된 텅스텐은 $\alpha$-W 구조를 가지는 것을 XRD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성장된 텅스텐 박막의 저항은 구조에 따라서 변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착조건에 따른 저항의 변화는 SiH4 대 WF6의 가스비, 증착온도에 따라서 변화하였다. 특히 온도가 40$0^{\circ}C$ 이상, SiH4/WF6의 비가 0.2일 경우 텅스텐을 증착시킨 후에 열처리를 거치지 않은 경우에도 기존에 발표된 저항률인 10$\mu$$\Omega$.cm 대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산화막과의 접착성 문제를 해결하고 낮은 저항을 얻을 수 있었으나, 텅스텐 박막의 성장과정에 의한 게이트 산화막의 열화는 심각학 문제를 야기하였다. 즉, LPCVD 과정에서 발생한 불소 또는 불소 화합물이 게이트의 산화막에 결함을 발생시킴을 확인하였다. 향후, 불소에 의한 게이트 산화막의 열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공정 조건의 최저고하 또는 대체게이트 산화막이 적용될 경우, 개발된 연구 결과를 산업체로 이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을 것을 기대된다.박막 형성 메카니즘에 큰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은의 전기화학적 다층박막 성장은 MSM (monolayer-simultaneous-multilayer) 메카니즘을 따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 및 양이 규칙적으로 조절되는 전극의 응용가능성이 간단히 논의될 것이다.l 성장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정성

  • PDF

Characterization of $SnO_2$ Thin Films Prepared by Thermal-CVD (열화학증착법으로 제조된 $SnO_2$박막의 특성)

  • Ryu, Deuk-Bae;Lee, Su-Wan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11 no.1
    • /
    • pp.15-19
    • /
    • 2001
  • Transparent and conducting tin oxide thin films were prepared on soda lime silicate glass by thermal chemical vapour deposition. Thin films were fabricated from mixtures of tetramethyltin (TMT) as a precursor, oxygen or oxygen containing ozone as an oxidant. The properties of fabricated tin oxide films are highly changed with variations of substrate temperature. Optimized thin films could be prepared on TMT, which flow rate of 8 sccm, oxygen flow rate of 150 sccm and substrate temperature of 38$0^{\circ}C$. We reduced deposition temperature about$ 180^{\circ}C$ by using of oxygen containing ozone instead of pure oxygen and resistivity of thin films was decreased from ~ ${\times}10^{-2}{\Omega}cm$ to ~${\times}10^{-3}{\Omega}cm$.

  • PDF

The effect of pore-control on thermal shock in porous nozzle for continuous casting

  • Yun, Dong-Cheol;Jo, Yong-Ho;Jo, Mun-Gyu;Jeong, Du-Hwa;Lee, Hui-Su
    • Proceedings of the Materials Research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9.05a
    • /
    • pp.42.2-42.2
    • /
    • 2009
  • 연속주조공정에서 용강의 통로, 산화방지 및 유체 흐름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다공성 노즐(porous nozzle)은 용강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인한 화학 반응 및 용강의 침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불활성 가스를 주입하여 청정강을 제조하는데 이용된다. 공정 중 노즐 막힘으로 인한 배압상승과 열충격에 의한 크랙(crack) 발생이 문제되고 있으며 신뢰성 향상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공크기와 기공분포가 고온안정성 및 내열충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내구성 시험 및 고장분석을 통하여 노즐의 신뢰성 향상 방안을 고찰 하였다. 기공을 제어한 시편을 제조하여 기공분포에 따른 고온안정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사용 조건인 용강온도($1550^{\circ}C$)와 보다 높은 온도($1700^{\circ}C$)에서 각각 고온 시험을 수행하였다. 열충격을 스트레스 인자로 한 내구성 시험을 수행한 후 고장원인을 분석하였으며 열화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열처리 온도에 따른 차압 및 굽힘 강도 변화를 비교하였다. 또한 결정상 분석을 통해 온도에 대한 상변화를 확인하였고, 시편의 표면 및 파단면의 미세구조 분석을 통해 크랙 발생여부를 확인하였다. 다공성 노즐의 기공분포가 균일 할수록 고온안정성 및 내열충격성이 향상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Porous Nozzle의 열화원인으로 판단되는 기공 크기 및 분포에 따른 크랙 발생에 대해 열응력 고찰을 수행하였다.

  • PDF

The Characteristics Analysis of GIDL current due to the NBTI stress in High Speed p-MOSFET (고속용 p-MOSFET에서 NBTI 스트레스에 의한 GIDL 전류의 특성 분석)

  • Song, Jae-Ryul;Lee, Jong-Hyung;Han, Dae-Hyun;Lee, Yong-J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3 no.2
    • /
    • pp.348-354
    • /
    • 2009
  • It has analyzed that the device degradation by NBTI (Negative Bias Temperature Instability) stress induced the increase of gate-induced-drain-leakage(GIDL) current for p-MOSFETs. It is shown that the degradation magnitude, as well as its time, temperature, and field dependence, is govern by interface traps density at the silicon/oxide interface. from the relation between the variation of threshold voltage and subthreshold slope, it has been found that the dominant mechanism for device degradation is the interface state generation. From the GIDL measurement results, we confined that the EHP generation in interface state due to NBTI stress led to the increase of GIDL current. Therefore, one should take care of the increased GIDL current after NBTI stress in the ultra-thin gate oxide device. Also, the simultaneous consideration of reliability characteristics and dc device performance is highly necessary in the stress engineering of nanoscale CMOSFETs.

Analytical Modelling for Recarbonation Process of Concrete Repaired with Patching Repair Material (단면복구재로 보수된 콘크리트의 재탄산화 과정에 대한 분석적 모델링)

  • Do, Jeong-Yun;Kim, Doo-Kie;Song, Hun;Jo, Young-Ku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14 no.2
    • /
    • pp.89-96
    • /
    • 2010
  • This study presented the analytical evaluation model effective in the concrete structure repaired with a patching material. The model considered the effect of the repair material on carbon dioxide penetration into the repaired concrete as evaluating the remaining service life of the CO2-deteriorated concrete structure after repair. The diffusion profiles of carbon dioxide as well as the carbonated concrete were effectively able to be modelled with analytical method based on Fick's 1st diffusion law. The evaluation of the model equation showed the good result and rational process quantitatively and numerically to evaluate the remaining service life of the repaired concrete structure after repair.

A Detection Method of Resistive Leakage Current Flowing through ZnO Arrester Blocks (산화아연 피뢰기소자에 흐르는 저항분 누설전류의 검출기법)

  • 이복희;강성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5 no.3
    • /
    • pp.67-73
    • /
    • 2001
  • This paper resents a developed measuring device of resistive leakage current and a fundamental discussion of deterioration diagnosis for Zinc Oxide(ZnO) arrester blocks. We have developed the leakage current detection device for ageing test and durability evaluation for ZnO arrester blocks. The resistive leakage current can be used as an indicator to discriminate whether the ZnO arrester blocks is in good state or in bad. The resistive leakage current measuring system with the compensation circuit was designed and fabricated. The sauce tests for ZnO arrester blocks were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resistive leakage current together with fast Fourier transform analysis. The proposed monitoring systems for the resistive leakage current can effectively be used to investigate the electrophysical properties of ZnO arrester blocks in laboratory and to develop the techniques of forecasting the deterioration of ZnO arresters in electric power systems.

  • PDF

Degradation Evaluation of PEM Water Electrolysis by Method of Degradation Analysis Used in PEMFC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 열화 분석방법에 의한 PEM 수전해 열화 평가)

  • Oh, Sohyeong;Yang, Jinwon;Chu, Cheun-Ho;Na, Il-Chai;Park, Kwonpil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9 no.1
    • /
    • pp.1-5
    • /
    • 2021
  • The PEM(Proton Exchange Membrane)water electrolysis uses the same PEM electrolyte membrane as the PEM fuel cell and proceeds by the same reaction but the opposite direction. The PEM fuel cell has many methods of degradation analysis since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degradation and durability of the membrane and catalyst. We examined whether PEM fuel cell durability evaluation method can be applied to PEM electrolytic durability evaluation. During the PEM electrolytic degradation process, LSV(Linear sweep voltammetry), CV(Cyclic voltammetry), Impedance,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FT-IR(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were analyzed and compared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PEM fuel cell. As the PEM fuel cell, hydrogen passing through the membrane was oxidized at the Pt/C electrode, and the hydrogen permeation current density was measured to analyze the degree of degradation of the PEM membrane. Electrode degradation could be analyzed by measuring the electrode active area (ECSA) by CV under hydrogen/nitrogen flowing conditions. While supplying hydrogen and air to the Pt/C electrode and the IrO2 electrode, the impedance of each electrode was measured to evaluate the durability of the electrode and membr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