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형과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초

산형과 식물에서의 falcarinol(n-heptadeca-1, 9-dien-4,6-diyn-3-ol) 의 검색 (Occurrence of falcarinol(n-heptadeca-1, 9-dien-4, 6-diyn-3-ol) in the umbelliferous plants)

  • 손현주;장기철;나효환;이규승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20-124
    • /
    • 1990
  • 산형과 식물인 방풍, 천궁, 회향, 사상자, 시호, 당귀, 미나리 및 당근을 대상으로 GC/MS를 이용하여 falcarinol의 존재를 검색한 결과 방풍의 뿌리, 미나리의 줄기와 뿌리 및 당근의 뿌리로부터 이 화합물을 동정하였는데 그 함량은 각각 $1,055\;{\mu}g/g$, $289\;{\mu}g/g$, $179\;{\mu}g/g$$212\;{\mu}g/g$이었다. 미나리에서 falcarinol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며 뿌리보다도 줄기에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앞으로 이 화합물의 생리활성 및 생합성 연구에 미나리가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멸종위기종인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산형과)의 수분기작 (Pollination Mechanism of Bupleurum latissimum (Apiaceae))

  • 소순구;한경숙;김무열;박혜림;서은경;김양표;김태흥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3-50
    • /
    • 2008
  • 환경부 멸종위기종인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를 현지 내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종합적인 종생물학적 정보를 수집하고자, 섬시호의 수분기작 및 수분매개자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섬시호는 5월 말에 개화하며, 꽃은 개화된 상태로 3일간 지속되었다. 꽃은 웅예선숙으로 수술이 성숙한 개화 1-2일째에 암술은 작은 돌기 형태를 이루었다. 꽃이 지기 시작하는 3일째부터 화주가 성숙하여 길게 나오고, 꽃잎은 노란색에서 붉은색으로 변하며 탈락하였다. 섬시호를 방문하는 곤충은 총 5목 11과 19종이었으며, 그 중 가장 효율적이며 주된 수분매개자는 호리꽃등에(Episyrphus balteatus)와 흰줄꼬마꽃벌(Lasioglossum occidens)이다.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산형과)의 수리분류학적 연구 (Numerical Taxonomic Analyses of Bupleurum latissimum (Apiaceae))

  • 소순구;박혜림;서은경;한경숙;김무열;박기룡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1-42
    • /
    • 2008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식물이며 한국특산식물인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Nakai)의 외부형태학적인 유연관계를 재조사하기 위해 유집분석과 주성분분석 그리고 판별분석을 수행하였다. 섬시호는 경생엽이 이저이고 소총포가 꽃보다 길고 난형이며 소화경수가 16-25개인 점에서 등대시호와 유사하나, 식물체가 대형이고 상록성 2년생 식물이며 소총포가 녹색인 점에서 뚜렷이 구별되었다. 또한 섬시호는 경생엽이 이저이고 식물체가 대형이며 소총포가 녹색인 점에서 개시호와 유사하나 소총포가 꽃보다 짧고 선형이며 소화경수가 7-15개인 개시호와 구별되었다. 따라서 수리분류학적 여러 형질들은 섬시호가 한국산 나머지 시호속 종들과 뚜렷이 구별되나 등대시호와 유연관계가 깊다는 사실을 지지해 주었다.

분자생물학적 자료에 의한 한국산 개발나물속의 분류학적 고찰 (Taxonomic Review of the Umbelliferous genus Sium L. in Korea: Inferences based on Molecular Data)

  • 이병윤;이정란;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34-239
    • /
    • 2010
  • 핵 리보좀 DNA ITS 구간의 염기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한국산 산형과 개발나물속의 분자 계통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ITS 계통수는 한반도 고유종인 대암개발나물(S. heterophyllum)이 한반도에 생육이 보고된바 없는 러시아 우수리지역의 고유종인 S. tenue와 동일한 종임을 밝혔다. ITS 1과 ITS 2 구간의 염기서열 비교시 S. tenue와 인천 문수산에 생육하고 있는 대암개발나물이 100%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TS 구간의 염기서열은 최근 신종으로 발표된 세잎개발나물(S. ternifolium)이 개발나물속의 다른 분류군과 뚜렷하게 구별됨을 지지하고 있었다. 세잎개발나물은 유연관계가 가장 가까운 일본 고유종 S. serra의 ITS 염기서열 비교시 1.4와 1.6%의 차이점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어 종으로서의 처리가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큰참나물(Cymopterus melanotilingia, 산형과)의 분류학적 재검토 (Taxonomic review for the Cymopterus melanotilingia (H. Boissieu) C. Y. Yoon in Apiaceae)

  • 구자춘;김무열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45-358
    • /
    • 2008
  • 큰참나물[Cymopterus melanotilingia (H. Boissieu) C.Y. Yoon]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해 ITS 염기서열에 의해 재검토하였다. 큰참나물은 삼출엽을 가져 대마참나물이나 참나물속과 외부형태적으로 유사하나, 과실의 분과가 비대칭이고 3 내지 4개의 날개형 늑선을 가지고 있어 이들 속들과 뚜렷이 구별되었다. 또한 큰참나물은 분과가 대칭이고 5개의 늑선을 가진 묏미나리속(Ostericum 이나 악치가 퇴화되고 과피가 다층인 바디나물속 Angelica)과 구별되었다. ITS 염기서열은 큰참나물이 북미가 원산지인 Cymopterus속과 완전히 다른 분계조를 형성하여, Cymopterus속과 다른 Halosciastrum속에 포함시켜야 함을 지지해 주었다. 따라서 큰참나물은 Halosciastrum melanotilingia (H. Boissieu) Pimenov & Tikhomirov가 합법적인 학명임을 지지해 주었다.

환경부지정 한반도 미유입 환경위해우려식물종에 대한 분류학적 특성, 환경위해성 및 잡초위험평가 자료 보고 (I) (A Report on the Taxonomic Characters, Ecological Risk and Weed Risk Assessment of Un-introduced Plants which are Designated in Law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as Environmentally Harmful Species (I))

  • 윤창영;박광우;정준형;현종영;김주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543-558
    • /
    • 2019
  • 2016년 환경부가 한반도 미유입 환경위해우려종으로 고시한 41분류군을 대상으로, 분류학적 특징을 이용하여 종을 동정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또한 자생지의 분포 및 환경 특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외의 여러 표본관에 소장된 건조표본을 확인하였으며, 미국 서부지역인 캘리포니아주, 오레곤주 및 워싱턴주의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우선, 조사 결과의 일부로 미국 서부 농업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Carduus acanthoides L. (국화과), Carduus tenuiflorus W. Curtis (국화과), Onopordum acanthium L. (국화과), Chromolaena odorata (L.) R.M. King & H. Rob. (국화과), Hydrocotyle ranunculoides L.f. (산형과), Oenanthe pimpinelloides L. (산형과), Ehrharta erecta Lam. (벼과), Paspalum conjugatum P.J. Bergius (벼과)의 8종에 대하여 위해성 검토, 잡초위험평가, 분류학적 특징 및 국내외 유사종과의 비교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약용작물 병해층 도감(8) - 천궁(川芎)

  • 안태진
    • 자연과 농업
    • /
    • 통권282호
    • /
    • pp.38-39
    • /
    • 2012
  •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약용으로 재배하며 뿌리를 이용한다. 대장균이나 피부진균의 발육을 억제시키는 항균(抗菌)과 진정(鎭靜), 혈압강하(血壓降下)의 효능이 탁월하다.

  • PDF

한국산 산형과 식물의 성분연구 -Decursin, Decursinol 및 Nodakenin 의 일반약리작용-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Umbelliferae Plants in Korea -Pharmacological Study of Decursin, Decursinol and Nodakenin-)

  • 지형준;김학성
    • 생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25-32
    • /
    • 1970
  • Decursin, decursinol and nodakenin which were isolated from the root of Angelica gigas $N_{AKAI}$ (Umbelliferae) that is used as a botanical drug Dang-Gui (當歸) in Korea show following general pharmacologic activities. Decursin and decursinol increased the motility of the excised duodenum of the rabbit, but nodakenin did not. All of these three compounds depressed the heart contraction of the frog and blood pressure of the carotid artery and respiration of the rabbit. Decursin increased uterus contraction of the rabbit, but decursinol depressed it. And the tonus of the muscle of the earth worm was increased by decursinol, but was decreased by decursin.

  • PDF

개발나물속 1신종(미나리과), 세잎개발나물 (Sium ternifolium (Apiaceae), a new species from Korea)

  • 이병윤;고성철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0-134
    • /
    • 2009
  • 한국의 강원도 치악산의 산림에서 발견된 개발나물속 1 신종인 세잎개발나물 (Sium ternifolium B.Y. Lee & S.C. Ko)을 기재하고 도해하였다. 세잎개발나물은 긴 점첨두의 엽선, 연약한 3-6개의 소산경과 같은 공유 형질을 가지고 있어 일본에 자생하는 S. serra (Fr. & Sav.) Kitag.와 유사하나 키가 작고, 총포가 없으며 모든 잎이 3개로 갈라지는 특징에 의해 쉽게 구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