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지효과

Search Result 27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Impact of Congruity between Country-of -Origin of Brand and Country-of-Origin of Production on Consumers' Product Preference (상표 원산지와 생산 원산지의 일치성이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 Hwang, Byung-Il;Kim, Beom-Jong
    • Korean Business Review
    • /
    • v.15
    • /
    • pp.133-152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examines that a country-of-origin and a congruity between country-of-origin of brand and country-of-origin of production effect on consumers' product preference respectively. To test this hypothesis, we used stimulus material including product photos with brand and its production description. Nation selected for study is defined as developed country, Korea, underdeveloped country, and tape record, sports shoes, and cosmetic, tissue is selected, they have characteristics with thinking vs feeling, level of involvement, private vs public. The result of analysis show that the effects of country-of-origin on product preference is different over country. The product of developed country is preferred by subjective, and following Korea, underdeveloped country. This result imply that country-of-origin effect on consumers' product preference and product evaluation positively. And we found that the degree of congruity between country-of-origin of brand and country-of-origin of production has very substantial impact on product quality judgement and product preference above and beyond brand and country-of-origin of production main effects. This study contributes to a understanding of effects of country-of-origin at the perspective of congruity, and extend level of generalization of country-of-origin effect by testing various product characteristic and congruity.

  • PDF

송이버섯(Tricholoma matsutake)의 저장성 향상

  • Gang, Seon-Cheol;Kim, Min-Jeong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4a
    • /
    • pp.666-667
    • /
    • 200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circulation system and the storage of the pine-mushroom by packaging it with moss, the leaf of pine, and onion compared with conventional packaging at $4^{\circ}C$ for 30 days. As a result, the pine-mushroom packed with moss and onion was sustaining a good quality for 14 days to extend its storage period over 7 days, compared with conventional packaging at $4^{\circ}C$.

  • PDF

Estimation of Superelevation in Mountainous River Bends (산지하천 만곡부의 편수위 산정)

  • Park, Sang Doeg;Lee, Seung Kyu;Shin, Seung Sook;Cho, Jaewo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2
    • /
    • pp.1165-1176
    • /
    • 2014
  • In a river bend the water surface is inclined by the centrifugal force toward the transverse section. If channel slope and flow rate increase, the gradient is rising generally. There are lots of the flood damage at the bends of mountain river because the flood water levels have exceeded frequently the levee levels which are added a free board to the design flood water level. Therefore the superelev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the mountainous river bend. In present study it was proposed to estimate the superelevation at the bend of mountain river and the superelevation coefficient defined from multiplying the sub-factors. The values of the influence factors for the superelevation coefficient were suggested from analyzing the superelevation measured at the bends in Yangyangnamdae river and the hydraulic experiments in gravel-bed channel with a $90^{\circ}$ bend. The applicability of these methods to estimate the superelevation at the bends in mountain river was verified by the superelevation measured at the bend in Naerin river.

Dinosaur Tracksite at Jeori, Geumseongmyeon, Euiseonggun, Gyeongsangbukdo, Korea(National Monument No. 373) - Occurrences, Significance in Natural History, and Preservation Plan - (경북 의성군 금성면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천연기념물 제373호) - 산상, 자연사적 가치 및 보존 방안 -)

  • Paik, In Sung;Kim, Hyun Joo;Kang, Hee Cheol;Lim, Jong-Deoc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1
    • /
    • pp.268-289
    • /
    • 2013
  • The Dinosaur tracksite at Jeori, Geumseongmyeon, Euiseonggun, Gyeongsangbukdo, Korea (National Monument No. 373) has been studied in the aspects of location, stratigraphy, sedimentology, fossil occurrence, unique geological records, literature, significance in natural history,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n the basis of these features, the Jeori tracksite has been assessed semiquantitavely. The Jeori tracksite occurs in the Sagok Formation (Albian) of the Euiseong sub-basin, and over 300 footprints forming 12 sauropod trackways, 10 ornithopod trackways, and 1 theropod trackways are preserved in this tracksite. The track-bearing deposits consist of tabular-bedded medium- to fine-grained arkose with mudstone drape, interlaminated fine-grained sandstone to siltstone and mudstone, and shaly mudstone. The dinosaur tracks are preserved in the interlaminated fine-grained sandstone to siltstone and mudstone, and most of them are observed as underprints. The track-bearing deposits are interpreted as sheetflood deposits on the floodplain under a seasonal paleoclimatic condition with alternating of wetting and drying periods. Multiple tension fractures with NE strike were formed in the track-bearing bed, which resulted in that tracks seem to occur in several horizons. The significance in natural history of the tracksit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storical implication of the Jeori tracksite as the firstly designated National Monument of dinosaur fossil sites, 2) the high density of the occurrence of diverse footprints (over 300) within small area (about $1,600m^2$), and 3) the significance of the tension fractures associated with the track-bearing bed as geoeducational records for the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fault. In order to share the value of the Jeori tracksite in the aspect of natural history with the community and public, the interpretive panel should be modified to include figures explaining paleoenvironment and tension fault development. In addition it is recommended that a brochure be published briefly explaining the tracksite and to educate the residents about the natural and social significance of the tracksite. For the safety of visitors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road in front of the tracksite to be moved at least 10 m southward, which could mitigate the shaking of the track bed caused by traffic.

Comparison of Seed Germination Response to Temperature by Provenances in Fraxinus rhynchophylla (채취산지별 물푸레나무 종자의 온도에 대한 발아반응 비교)

  • Choi, Chung Ho;Seo, Byeong Soo;Tak, Woo Sik;Cho, Kyung Jin;Kim, Chang Soo;Han, Sang Ur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7 no.6
    • /
    • pp.576-581
    • /
    • 2008
  • The germination responses of Fraxinus rhynchophylla seeds collected from four provenances to constant temperature were investigated over the range $5{\sim}35^{\circ}C$. Difference among seeds in percentage and rate of germination and cardinal temperatures was observed. The seeds from Inje had high germination percentage at low temperature ($5{\sim}15^{\circ}C$) whereas those from Gangneung had high germination percentage at high temperature ($30{\sim}35^{\circ}C$). Three cardinal temperatures viz., the base ($T_b$), the maximum ($T_m$) and the optimum ($T_o$) for germination percentage and germination rate varied among four provenances. $T_b$, $T_m$ and $T_o$ for F. rhynchophylla seed germination as estimated by the quadratic models were the lowest in Inje while those were the highest in Gangneung. The cardinal temperatures ($T_b$, $T_m$ and $T_o$) were estimated by linear sub- and supra-optimal models for germination rate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response. $T_b$ was the lowest in Hoengseong while that was the highest in Gangneung. $T_m$ and $T_o$ were the lowest in Inje while those were also the highest in Gangneung. That is, the seeds from the provenance where the annual mean temperature was high had the higher cardinal temperatures ($T_b$, $T_m$ and $T_o$) as compared to seeds from the provenance where the annual mean temperature was low.

유기흑염소 생산을 위한 산지유형별 방목효과

  • HwangBo, Sun;Choe, Sun-Ho;Kim, Sang-U;Son, Dong-Su;Jeon, Byeong-Su;Lee, Seong-Hun;Jo, I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8.09a
    • /
    • pp.77-89
    • /
    • 2008
  • 본 연구는 유기흑염소 생산에 기초적인 자료를 얻고자 유형이 다른 산지 초지에 방목하여 흑염소의 발육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공시축은 흑염소 40두를 4처리구(개량목초구, 유기목초구, 산야초구, 수엽류구)로 나누어 처리구당 10두씩 공시하여 2007년 5월 15일부터 2007년 11월 5일까지 174일간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가축유전자원시험장 방목지에서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당증체량은 개량목초구가 다른 시험구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도체율은 개량목초구와 유기목초구가 산야초구와 수엽류구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정육율은 개량목초구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흑염소 고기의 조지방은 산야초구가 높은 경향이었다. 고기의 리놀레산과 리놀렌산은 개량목초구 보다 유기목초구, 산야초 및 수엽류구가 높은 경향이었으며, 아라키돈산은 산야초와 수엽류구가 다른 시험구 보다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전단력은 산야초구가 낮은 경향이었으며, 관능검사 결과 중 다즙성과 연도는 유기목초구와 산야초구가, 풍미는 산야초구와 수엽류구가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산지에 방목 사육된 유기흑염소는 다소 생산성과 도체특성은 낮으나 육질 및 물리적 특성이 우수한 경향으로 나타나 고품질 유기축산물 생산으로 농가소득 증대뿐만이 아니라 소비자 요구충족에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Application Debris Flow Runoff Reduction Facilities Using RAMMS And FLO-2D (RAMMS모형과 FLO-2D모형을 이용한 토석류 유출저감시설 적용에 관한연구)

  • Tak, Won Jun;Jun, Kye Won;Jun, Byeong Hee;Lee, Ho 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56-256
    • /
    • 2016
  • 우리나라는 산지가 국토의 64%이상으로 토석류 등 지반재해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다. 토석류에 의한 피해는 예측하기 매우 힘들고 외력도 한순간에 가옥을 파괴할 정도로 매우 거대하기 때문에 지진에 의한 피해를 제외하고는 매년 반복하여 막대한 재산 및 인적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는 재해이다. 도심지의 경우 토석류의 피해발생시 도로 및 건물 등 재산과 인적 피해가 크기 때문에 큰 이슈화가 되며 토석류가 산지 내에서 발생할 경우 해당 피해지역에 마을 민가나 교량 등이 위치하지 않으면 토석류의 피해를 인식하기 어려워 이에 따른 조치도 늦어지고 있다. 이에 국내 및 국외에서는 산지 및 도심지의 토석류 피해를 저감하기 위하여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사방댐)의 설치를 통하여 토석류 흐름 및 인공구조물들을 보호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수치모형인 RAMMS모형과 Flo-2d모형을 이용하여 동일 매개변수를 적용 후 토석류 수치모델링을 실시하였다. 토석류 피해지에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존재 유 무에 따른 토석류 피해범위, 유출량 등을 산정하였으며 토석류 유출저감시설의 위치에 따른 피해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 PDF

산지의 관광자원 활용과 마케팅

  • 김형서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05a
    • /
    • pp.49-53
    • /
    • 2002
  • 국토의 효율적 이용과 여가공간의 개발에 있어서 산악지형의 개발 잠재력은 무궁무진하다고 볼 수 있다. 그간에 산악지형의 개발은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이라는 견지에서 무분별한 개발과 자연환경 훼손을 방치해왔던 것이 사실이다. 산악지형의 관광자원 활용은 그 범위에 있어서나 방법에 있어서 매우 다양한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한국의 산이 보유하고 있는 자연경관과 문화유적이 접목된 명산사찰을 활용한 문화관광, 자연자원의 보존과 경제 개발, 도시민의 위락 여가공간 제공이라는 세 가지 목적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산악형 자연공원, 동계스포츠 활동을 위한 스키리조트의 개발과 이용, 마지막으로 산악지형의 경제 발전을 위한 대체산업 육성이라는 취지 하에 등장한 산지 카지노리조트 등 사회, 문화, 경제, 보건, 오락 등 산지는 그 효용성을 날로 더해가고 있다. 산은 더 이상 인간과 격리된 공간이 아니라, 인간의 생활 공간이자 휴식공간이며, 다양한 여가행위를 위한 공간이다. 유럽 등 구미 관광 선진국에서는 이미 산악지형 고유의 경제적, 사회적 중요성에 입각하여 공간의 효율적인 정비를 통해 합목적적이고 친환경적인 산악형 리조트 건설을 통해 지속적인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개발에 일부제약이 뒤따르기는 하지만, 관광개발을 위해서 환경보존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인식하고 있다. 다시 말하면 관광개발과 환경보존은 불가분의 관계에 놓여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산이 우리에게 가져다주는 이로운 점을 생각할 때 인간의 지나친 개발욕구와 몰지각한 자원활용을 위한 관점에서 산을 보아서는 아니될 것이다. 산을 개발하고 정비하여 관광자원으로 활용할 때보다 친환경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하며, 우리의 산이 우리에게 돌려줄 것을 생각하기 보다 우리가 산에게 해주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먼저 생각한다면, 산은 우리에게 경제적 이득과 함께 우리의 여가생활을 위한 최적공간으로 다가설 것이다(요약 및 결론에서 발췌)는pocyanidin C-1-3'-3" -3.'S _0-trigallate는 100rM에서 70%의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냈으며,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epigallo-catechin-(4$\beta$$\longrightarrow$8)-catechin는 51%의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산업적응용을 위해 분획한 폴리페놀군은 미백효과 검증실험인 tyrosinase 저해율 측정평가에서 폴리페놀 함량이 가장 높은 Fraction 111의 경우 Sooppm에서 74.2%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항산화력 실험에서는500pw1이상에서 강한 활성능을 보인 SOD 유사활성능을 제외한 나머지 DPPH와 xanthine oxidase 저해효과에서는 Fraction II와III 모두가50ppm이상에서 80% 이상의 높은 유리라디칼 소거능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각 Fraction별 항균력 측정 결과 Fraction 르와 111이 우수하게 나타났고 항균활성은 그람음성균보다 그람양성균에서 효과적이었으며, 농도별 항균력시험 결과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례하여 저해율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첨가농도를 달리하여 미생물의 생육도를 측정한 결과, fraction II磎꼭\ulcorner경우 그람양성균에 대해 500 ppm 이상에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서 뚜렷한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min/+}$계 수컷 이형접합체 형질전환 마우스에 AIN-76A 정제사료만을 투여한 대조군은 1.40$\pm$0.24(100%)에 비하여 I3C 저농도 투여 실험군(Group 1; 0.85$\pm$0.23; 61%, P<0.01), 그리고 I3C 고농도 투여 실험군(Group 2 ; 1.32$\pm$0.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