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정식

Search Result 2,68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Bed Load Transport Equations (소류사량 산정식)

  • 유동훈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8 no.1
    • /
    • pp.52-60
    • /
    • 1996
  • Existing equations of bed load transport are reviewed mainly considering the meaning and. role of variables used in the equations. The development of several equations and the problems of each equation are investigated by comparing their computed results against field or laboratory data. On the basis of the review remedies of each equation are suggested, and modified forms of existing equations are developed for wider application and improvement in the accuracy. Empirical parameters introduced in each equation are determined by testing them against Brownlie(1985)'s collected data, and discrepancy ranges of the refined equations are shown to see their degrees of accuracy.

  • PDF

A Study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the Catchment Response Time in Midsize Catchment (중규모유역에서의 유역응답시간 특성 분석)

  • Park, Jong Young;Lee, J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1042-1046
    • /
    • 2004
  • 본 연구는 국내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역응답시간 산정식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기존의 8개의 도달시간 산정식과 6개의 지체시간 산정식을 유역면적이 $50\~500km^2$인 중규모유역에 적용하였으며, 실측수문 자료로부터 두가지 정의에 의해 산정한 도달시간과 지체시간을 비교, 검토하였다. 기존의 도달시간 산정식에 의한 도달시간은 실측 도달시간에 비해 모든 대상유역에서 과소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지체시간 산정식의 경우 Clark 공식과 SCS 공식은 모든 대상유역에서 과소한 값을 나타내었고 Snyder 공식, Linsley 공식, Eagleson 공식, Rao와 Delleur 공식은 대상유역에 따라 과다 또는 과소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측수문자료에서 산정된 유역응답시간과 기존의 산정식에서 결정된 값들이 상이하게 나타나 중규모유역에서 기존의 유역응답 시간 산정식의 적용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었다. 대상유역에서 적합한 유역응답시간 공식을 유도하기 위하여 유역응답시간과 유역특성인자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국내 중규모유역에서 적용할 수 있는 도달시간과 지체시간 산정식을 제안하였다.

  • PDF

Simple Design of Seepage Flow (침투류 간편설계)

  • Yu, Dong-Hun;Eom, Ho-Si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2 no.1
    • /
    • pp.31-40
    • /
    • 1999
  • After investigating the basic problems of seepage flow, the friction factor equation of power form was developed for solving them. The use of power law for the estimation on friction factor enabled to develop the explicit form of equations without any iteration process being related to various non-dimensional physical numbers. For the derivation of friction factor equations, the existing data were re-analyzed, and the simple method of seepage flow design was devised with the power law equations for the estimation of slope, discharge, and diameter.

  • PDF

A experimental study on the depth of scour to formula estimated of the pattern pier (원형 교각의 세굴심 산정식 개발에 대한 실험적 연구)

  • Park, Park;Lee, Yeong-Seop;Lee, Jung-Yung;Baek, Kyung-Won;Choi, Han-Kuy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698-702
    • /
    • 2009
  • 본 연구는 강원도 영서지방의 지방하천을 중심으로 수리특성 및 교각제원 등을 조사하여 기존 세굴심 산정식의 산정 값과 모형실험 산정 값을 비교 검토 하였으며, 또한 교각의 세굴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 대하여 통계학적 방법인 민감도 분석을 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결과 기존 세굴심 산정식의 경우 전체 적으로 교각 크기가 커지면서 산정 값과 모형실험 산정 값간의 편차가 $1.09%{\sim}63.98%$ 를 보이고 있어, 강원도 하천의 경우 기존 세굴심 산정식을 적용하여 산정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기존 세굴심 산정식 중 교각크기만으로 형성된 산정식의 경우 세굴심산정이 간편하기는 하나, 수리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한 산정식의 경우 민감도가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모형실험 산정 값과 세굴심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 교각크기 64%, 수심 36% 순으로 세굴심 발생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모형실험의 세굴심 값을 토대로 회귀분석을 통하여 강원도 하천에 적합한 세굴심 산정식을 제안 하였다.

  • PDF

Applicability of Existing Formulae for Composite Roughness (기존 복합 조도계수 산정식의 적용성)

  • Kim, Ji-Sung;Lee, Chan-Joo;Kim, Keuk-Soo;Kim,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84-1088
    • /
    • 2010
  • 일반적으로 자연하천에서는 횡방향 흐름저항 요소가 매우 다를 수 있다. 이러한 하천은 흐름저항 요인에 따라 몇 개의 소단면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1차원 해석을 위해서는 단면 전체를 대표하는 복합 조도계수(composite roughness coefficient)를 사용함으로써 수위 또는 평균유속의 계산이 가능해 진다. 복합 조도계수는 각 소단면의 면적(A), 윤변(P), 또는 동수반경(R)을 적절히 조합하여 각 소단면의 조도계수에 가중치를 부여하면서 계산되는데, 각 산정식들의 개발과정에 도입된 가정 조건에 따라 상이한 가중치를 부여하게 되며, 일부 산정식들에서는 횡방향으로 동일한 재료로 구성된 조건에서도 복합 조도계수 산정 결과는 하상재료에 의한 조도계수와 다른 값을 산정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13개의 기존 복합 조도계수 산정식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였고, 소규모 실내 수리실험자료로부터 실측 복합 조도계수와 계산된 값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소단면 분할방법에 의한 기존 산정식의 적용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윤변을 가중치로 사용하는 경우는 실측 복합 조도계수 그리고 각 산정식에 의한 계산 복합 조도계수의 차이가 비교적 작게 나타났으나 각 산정식의 가정조건에 유의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단면적 또는 윤변과 동수반경을 조합하여 가중치로 사용하는 경우는 방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 원인은 단면분할 방법에 기인하므로 이러한 방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소단면 분할방법에 특히 주의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 PDF

Evaluating Applicability of Sediment Transport Capacity Equations through Sensitivity Analysis (민감도 분석을 통한 유사이송용량 산정식의 적용성 평가)

  • Her, Younggu;Hwang, Syew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57 no.6
    • /
    • pp.79-90
    • /
    • 2015
  • 유사는 오염물질을 저장 또는 운반하는 매개체로 하류 수체의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유사 발생 및 운송 양의 추정은 수질개선을 위한 유역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러한 유사량 및 운송과정은 주로 모형에 의해 계산되고 모의되는데, 많은 유사운송모형들이 유사이송용량 (sediment transport capacity)식을 이용하여 유사 발생량, 이송량 및 퇴적량을 산정한다. 유출에 의한 유사이송용량을 산정하기 위한 기존의 식들은 각기 다른 목적과 환경에서 개발되어 보편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식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유사이송용량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들의 개발 목적과 환경을 검토하고, 경사, 유량, 유사입경 및 토성에 따른 민감도를 조사하여 각 식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8개의 유사이송용량 산정식은 모두 경사도에 가장 민감하게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raham과 Yalin식 이외의 산정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유사이송용량은 경사도가 0.1 % 보다 작을 때는 0 mg/l, 경사도가 100 % 보다 클 때는 이론최대치인 2,650 mg/l 을 넘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 산정식의 적용 가능한 경사도 범위를 0.1 %-100 %로 추정할 수 있었다. Abrahams식은 유량에, Bagnold식은 유사입경 및 토성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Low, Rickenmann, 및 Schoklitsch식은 유량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고, Low와 Schoklitsch식은 토성에도 민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이들 식의 제한된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한편, Yang식은 계산식에 포함된 로그항으로 인해 그 적용범위가 제한되는 경우가 있었다. Abrahams과 Yalin식을 이용하여 산정된 유사운송용량은 모든 인자들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Yalin과 Low식의 경우, silt와 clay에 적용되었을 때 유량이 클수록 유사운송용량이 다소 작아지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전체적으로 Abraham식의 적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모형을 이용한 유사량 모의 시 적용대상 지역의 특성에 가장 적합한 유사운송용량 산정식을 선정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Estimation of Solid Deposition in Sewer Systems using MOUSE Model (MOUSE 모형을 이용한 관거 내 고형물 퇴적량 산정)

  • Lee, Jae-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5
    • /
    • pp.397-407
    • /
    • 2007
  • The deposition of sewer solids during dry weather in combined sewer systems results in a loss of flow capacity that may restrict flow and cause a local flooding and enhanced solids deposi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o manage sewer systems efficiently, development of estimation equations for solid sediments In sewer systems is needed. However, estimation of solid sediments has performed using specific methods such as computer model before the development of estimation equations. In this study, solid sediments in sewer systems were estimated using MOUSE model for Gunja drainage basin in Korea and the estimated results were verified using estimation equations developed by the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s results, the estimated values using MOUSE model are smaller than that of equations developed in 1977 but greater than that of equations developed in 1984. Although the comparison between simulated and measured solid deposition is difficult due to the absent of measurement data, the estimated values using MOUSE model is reliable and can be used to develop estimation equations for solid sediment in Gunja drainage basin.

Explicit Equations of Normal Depth for Drainage Pipes (하수관 등류수심 양해법 산정식)

  • Yoo, Dong-Hoon;Rho, Jung-So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8 no.7 s.156
    • /
    • pp.527-535
    • /
    • 2005
  • The computation of normal depth is very important for the design of channel and the analysis of water flow. Drainage pipe generally has the shape of curvature like circular or U-type, which is different from artificial triangular or rectangular channel. In this case, the computation of normal depth or the derivation of equations is very difficult because the change of hydraulic radius and area versus depth is not simple. If the ratio of the area to the diameter, or the hydraulic radius to the diameter of pipe is expressed as the water depth to the diameter of pipe by power law, however, the process of computing normal depth becomes relatively simple, and explicit equations can be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developed are the explicit normal depth equations for circular and U-type pipes, and the normal depth equation associated with Hagen (Manning) equation and friction factor equation of smooth turbulent flow by power law is also proposed because of its wide usage in engineering design.

Improvement of Einstein's Suspended Load Equation (Einstein 부유사량 산정식의 개선)

  • Yu, Dong-Hun;Sin, Seung-Ho;Im, Hak-Su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6
    • /
    • pp.815-825
    • /
    • 2000
  • In the present work Einstein's(l942) suspended load equation IS refined in vanous aspects. After checking the flow characteristics a new method is presented for the estimation of zero velocity point at the condition of smooth turbulent flow, and non-dimensional number of suspended load is introduced for the clear representation of suspended load equation. And a recent equation of bed load is employed in order to calculate accurately the sediment concentration at a reference point. Several approximation equations are also developed to compute directly or explicitly two integrals introduced in the equations. The refined equation has been tested against the measurement data collected by Brownlie(l981) in comparison with Einstein's original equation.uation.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Radar Rainfall Estimation Method (레이더 강수산정기법의 비교분석)

  • Yoon, Seong-Sim;Kim, Jin-Ho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632-63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레이더 강수를 산정하는 기법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레이더 강수산정기법의 비교는 레이더 반사도를 강우강도로 변환시키는 두가지 Z-R 관계식 산정방법을 기준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Z-R 관계식 산정방법 중 첫번째는 지상강우계와 대응되는 레이더 격자 사이의 관계를 통해서 Z-R 관계식을 산출하여 레이더 강수를 산정하는 Least-Square Fitting 방법이고, 두번째 방법은 강우량계에서 관측된 강우량과 이에 근접한 영역에서 얻은 레이더 반사도 자료 각각의 확률밀도함수를 대응시켜 Z-R 관계식을 산출하는 WPMM(Window Probability Matching Method)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이 두 방법의 비교를 위해 2003년 6월에서 8월사이의 두 강우사상을 선택하여 Z-R 관계식을 산정하였으며, 산정된 Z-R 관계식으로 추정된 레이더 강수의 기상학적 검증을 통해 정성적.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한반도 전역에 대하여 산정된 레이더 추정강수를 검토한 결과 대체적으로 정확도 및 상관성 측면에서 WPMM 방법이 Least-Square Fitting 방법보다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 유역의 홍수예경보에 적합한 레이더 강수산정기법을 파악하고자 중랑천 유역의 레이더 강수를 수문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WPMM 방법이 보다 유효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