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전관리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39초

임신부의 조산위험 선별도구 개발 (Development of the Screening Tool for Risk of Preterm Birth in Pregnant Women)

  • 조미옥;김증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35-344
    • /
    • 2020
  • 본 연구는 조산위험이 있어 임신부에게 구체적인 검사가 필요하거나 조산예방을 위한 교육 및 관리가 필요한 임신부를 선별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조산 후 입원 중인 여성과의 면담과 문헌고찰 결과를 바탕으로 개념적 기틀을 구축하여 예비문항 99개를 작성하였다. 예비문항에 대한 내용타당도 검정과 예비조사를 통해 75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도구가 만들어졌으며, 이에 대한 신뢰도, 타당도, 문항분석을 하여 생의학적 조산위험 선별도구 9개 문항과 신체심리적 조산위험 선별도구 17문항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는 산전관리에서 여성의 조산위험 정도를 객관적이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검사한 결과를 수량화하여, 조기에 조산이 발생할 위험이 있는 여성을 선별하는 도구로 사용되리라 사료된다.

고령임부와 35세 미만 임부의 산전 건강관리 실태와 교육요구 비교 (Comparison of Prenatal Health Management State and Educational Needs for Pregnant Women with Advanced Maternal Age and Under the Age of 35)

  • 왕희정;박혜숙;김일옥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30-241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confirm prenatal health management and educational needs for pregnant women with advanced maternal age (AMA) and pregnant women under 35 years of age. Method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in which self-report questionnaires were used. Participants were 279 pregnant women (83 AMA and 196 less than 35). Results: Only 32.5% of AMA women had received prenatal education and 51.8% reported wanting internet education. AMA women, compared to the under 35 women, had higher levels of self-awareness of health problems and possibility of health problems but lower levels of alcohol experience before pregnancy. For prenatal health management, scores were low for prenatal exercise, prenatal education and nutrition. For prenat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AMA women reported high levels of need for education on health problems.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prenatal health management education must be given considering differences in age-related requirements by emphasizing health care and obstetric complications during pregnancy for AMA women and anemia and information on substance use during pregnancy for women under 35. Reliable internet-based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using availab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the increasing number of employed pregnant women.

에티오피아 일개 지역 간호사를 위한 모자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간호사의 모자보건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Maternal-Child Health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in Tigray, Ethiopia on Their Knowledge and Confidence)

  • 방경숙;이인숙;채선미;유주연;박지선;김형경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275-282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저개발국 모자건강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건소 간호사의 역량강화를 위해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에서 모자 보건 간호사 교육을 시행하고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에티오피아 티그라이 주 일개 지역의 5개 보건소 모자보건 간호사 21-34명씩을 대상으로 모자보건 관련한 5개 주제-가족계획, 산전관리, 분만 및 산후관리, 영유아 예방접종, 아동건강관리-에 대한 교육을 시행한 후 지식과 수행자신감을 교육 전과 후에 설문조사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모자보건 관련 5개 모든 주제에서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교육 전에 비해 교육 후 유의하게 상승하였으며, 교육 만족도도 100점 만점에 77-80점으로 높은 편이었다. 결론 모자보건 관련 교육을 통해 지역사회 보건소 간호사들의 지식과 수행자신감이 유의하게 향상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실제적인 수행 정확도와 서비스 제공률의 향상 등을 통해 궁극적인 교육효과를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이 모유수유태도와 모유수유실천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Breast-Feeding Attitude and Breast-Feeding Practice by Individual Breast-Feeding Promotion Program)

  • 유영란;박상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310-3318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이 모유수유 태도와 모유 수유 실천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설계의 유사 실험 연구로, 연구 기간은 2011년 6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이었다. 참여자는 일개 모자보건센터에 산전관리를 위해 내원한 임신 32주 이상의 임신부 64명(실험군; 32, 대조군; 32)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x^2$-test와 t-test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별적 모유수유증진 프로그램을 제공 받은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모유수유 태도 점수와 모유수유 실천율이 더 높았고, 시간 경과에 따른 두 그룹 간 모유수유실천 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개별적 모유수유 증진 프로그램은 모유수유 태도를 변화시키고, 모유수유 실천율 상승을 위한 효과적인 간호중재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산부의 산전교육 참여 현황과 분만, 산후관리, 신생아 양육 관련 지식 및 태도 (Participation in Prenatal Education, Knowledge and Attitude related to Delivery, Postpartum Care, Newborn Care in Nulliparous Women)

  • 김미영;김광숙;김수;이혜정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9-150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content of prenatal education and to examine differences in prenatal education, knowledge, and attitude of nulliparous South Korean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with 134 conveniently recruited nulliparous wome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Average number of institutional prenatal education programs was 5.96 at clinics, 4.31 at health care centers, and 0.49 at hospitals. Women participated in an average 5.78 out of the 35 prenatal education contents: 15 types of prenatal and delivery, 10 postpartum self-care, and 10 parenting. Score for knowledge was 7.57out of 10. Women who participated in prenatal education (n=72)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knowledge (t=2.71, p=.008) than women who did not participate (n=62). The average score for attitude was 7.22 out of 10. Nulliparous women over 36 weeks of gestational age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attitude (t=2.38, p=.019) than women under 36 week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newborn care knowledge and postpartum care self-efficacy (r=.26, p=.026), and newborn care knowledge and parenting confidence (r=.25, p=.034). Conclusion: Results indicate that policy is needed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prenatal education and to establish strategies for health care centers and hospitals to provide prenatal education.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범유행시 임산부의 스트레스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Stress experiences of Pregnant Women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Pandemic)

  • 양영미;조미옥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3호
    • /
    • pp.117-127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시 임산부의 생생한 경험을 현상학적 접근을 통해 탐구함으로 임산부의 스트레스 경험을 이해하기 위한 질적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COVID-19 범유행 기간 동안 임신한 임산부 12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하였다. 참여자의 인터뷰는 2022년 6월부터 10월까지 진행하였으며, Colaizzi (1978)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Taguette 프로그램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로는 경험의 범주가 4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 주제로 도출되었다. 주요 주제는 부정확한 정보로 인한 혼란, 무너진 산전관리, 통제된 삶으로 인한 스트레스, 적응해가는 몸과 마음으로 나타났다. 임산부의 건강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안정적인 의료시스템 구축이 전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후속 연구들이 더 필요하다.

극소저출생체중아의 뇌실주위백질연화증과 중증뇌실출혈의 발생과 인공호흡기 치료와의 상관관계 (Development of Periventricular Leukomalacia and Severe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Very Low Birth Weight Newborns and Relationship with Ventilator Care (Study of Ventilator Care as a Risk Factor of PVL and PV-IVH))

  • 이학성;이세규;김영진;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330-1336
    • /
    • 2005
  • 목 적 : 최근 체계적인 산전 관리 및 다양한 인공호흡기 치료를 비롯한 신생아집중치료술의 발전은 극소저출생체중아 생존율의 많은 향상을 가져왔다. 그러나 극소저출생체중아에서의 허혈성, 저산소성손상의 주된 병변인 뇌실주위백질연화증 및 중증뇌실출혈의 발생 위험성은 여전히 크다. 두 질환에 있어 여러 가지 산전, 산후 위험요소와 더불어 신생아집중치료실에서의 인공호흡기 치료는 뇌혈류의 변화를 유발하는 위험인자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인공호흡기 치료가 두 질환의 발생에 있어 위험인자로서 작용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5년간 대구파티마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중에서 신생아집중치료실에 1개월 이상 입원 치료를 받았던 출생체중 1,500 g 미만의 극소저출생체중아 2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뇌실주위백질연화증 환아 15명 및 중증뇌실출혈 환아 8명, 총 23명을 연구군으로 하였다. 전체 대상 255명 중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던 환아는 139명이었다. 모든 대상아는 병력지를 기초로 산전 및 산후 병력 및 임상적 특성, 인공호흡기 치료 중 경과를 분석하였고, 뇌초음파검사 결과를 토대로 선별하였다. 결 과 : 전체 255례 중 뇌실주위백질연화증은 16례, 중증뇌실출혈은 8례였고, 출생체중이 작을수록 발생빈도는 더 높았다. 전체 대상 중 인공호흡기 치료병력이 있었던 환아가 139례였고 그 중 15례에서 뇌실주위백질연화증이, 8례에서 중증뇌실출혈이 발생하였다. 반면에, 인공호흡기 치료병력이 없었던 나머지 124례에서는 뇌실주위백질연화증 1례만이 발생하였다. 병력지를 기초로 한 후향적 조사에서 뇌실주위백질연화증과 연관되는 위험인자로서 유의할만한 것은 출생 시 가사(Apgar 점수<5), 무호흡, 인공호흡기 치료병력, 패혈증 및 산혈증이 있었고, 중증뇌실출혈의 경우는 출생 시 가사, 무호흡, 인공호흡기 치료병력, 호흡곤란증후군 및 산혈증이 유의할만 하였다.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았던 139례 중 두 질환군의 경우 이환되지 않았던 환아들에 비해 출생 당시 가사, 산혈증 및 무호흡의 병력이 더 많았고, 인공호흡기 치료 시 고농도의 흡입산소가 필요했던 경우와 장기간의 인공호흡기 치료가 필요했던 경우도 많았다. 결 론 : 다른 연구에서와 같이 본 연구에서도 인공호흡기 치료가 중증뇌실출혈과 뇌실주위백질연화증의 발생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분만 당시 인공호흡기 치료를 필요로 하는 선행 위험인자를 가지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또한 최근의 인공호흡기 치료기법의 발전으로 인해 인공호흡기 치료 자체가 중증뇌실출혈과 뇌실주위백질연화증의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생각되어지지는 않으며 인공호흡기 치료가 요구되어지는 선행질환의 중증도가 더 직접적인 위험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추정된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인공호흡기 치료와 더불어 보다 전문적인 산전 관리가 뇌실주위백질연화증 및 중증뇌실출혈의 발생빈도를 줄이는 중요한 수단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일부지역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care of pregnant women in a region)

  • 이가연;원복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care aware-ness of pregnant women and their actual oral health care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assist pregnant women to have the right knowledge on oral health and improve their oral health ca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pregnant women who used obstetrics and gynecology hospitals or participated in pregnancy/child-rearing programs in the region of P. After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in July and August 2008,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As for the best case of oral health care, the largest number(77.2%) of the pregnant women investigated brushed all the teeth, gums and tongue when they did toothbrushing. The smallest number of the women(6.8%) spent three minutes or more brushing their teeth. 2. As to dental treatment experience during pregnancy by age, 27.0 percent of the age 26-30 group had ever received dental treatment during pregnancy, which was higher than the rates of the other age groups with the same experience. 3. Regarding the necessity of oral health education geared toward pregnant women, 94.1 percent of the age 26-30 group and 96.3 percent of the group of age 31 and up felt the need for that, which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72.7 percent of the age 20-25 group who agreed to the necessity of that education. 4. As to connections between o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care, the women who were in good oral health got 6.60 on oral health care. They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were in a moderate state of oral health and who were in bad oral health, as the latter two groups respectively got 5.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ral health state and oral health care and between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care. The better oral health status led to better oral health knowledge, and the better oral health knowledge was followed by better oral health care. 6. As for factors affecting oral health care, oral health knowledge had the largest impact on that, followed by age, oral health status, experience of receiving oral health education for pregnant woman, dental treatment experience during pregnancy, monthly income and stress caused by oral diseases.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light of the special physical and mental state of pregnant women. They should be encouraged to receive possible dental treatment during pregnancy if necessary, and they should learn about how to cope with a dental disease in case of develop it.

  • PDF

산모 연령과 영아 사망과의 관련성 연구 (Maternal Age and Infant Mortality in Korea)

  • 홍재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379-387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출생아 전수(n=617,867)를 대상으로 산모 연령과 영아 사망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자료는 인구동태통계자료와 영아사망조사자료를 연계하여 사용하였고, 산모 연령에 따른 영아 사망 위험을 파악해 보기 위해 출생아의 성별과 다태 여부, 출생순위, 저체중아 여부, 선천성기형 여부를 보정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여러 혼란요인을 보정한 분석 결과, 25-29세 산모에 비해 20세 미만 산모(Odds ratio [OR], 5.29, 95% confidence interval [CI], 3.51-7.98)와 20-24세 산모(OR, 1.44, 95% CI, 1.23-1.69), 35-39세 산모(OR, 1.28, 95% CI, 1.11-1.46), 40세 이상 산모(OR, 1.94, 95% CI, 1.53-2.45)에서 영아 사망 오즈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이번 연구를 통해 35세 이상 고 연령 산모와 25세 미만의 저 연령 산모에서 영아 사망 위험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들에서 영아 사망 위험이 높은 이유는 저체중아나 미숙아의 출산이 많기 때문으로 보인다. 산전관리 시 고령 산모의 경우 생물학적인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관리정책이 만들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고, 저 연령 산모의 경우 사회경제적인 부분과 사회적 편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관리정책이 만들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스마트폰 기반 산모&태아 관리 어플리케이션 연구 (Study about Mother & Fetus Management Application based on Smartphone)

  • 고범수;오윤진;구민정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2권4호
    • /
    • pp.45-48
    • /
    • 2016
  • 임산부의 건강은 태아의 건강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산전 산후관리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임산부와 태아의 건강에 대한 잠재적인 건강문제를 미리 예방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임산부 신생아 건강은 육아 및 가족들의 건강관리에 대한 책임으로 여성 자신뿐 아니라 가족전체의 건강과 안녕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임산부 신생아의 건강관리는 사회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시급한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앱(app)을 이용하여 출산전후의 올바른 태교방법과 애착형성방법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자 연구 되었다. 육아일기 및 태아일기 작성, 올바른 태교 및 산후조리 방법소개, 출산 예정일과 비상연락 기능을 제공하여 산모와 태아를 동시에 관리 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