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수학

Search Result 24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H_{\infty}$ 견실제어기 설계기법 소고

  • 최병욱
    • ICROS
    • /
    • v.1 no.2
    • /
    • pp.21-29
    • /
    • 1995
  • 이 글에서는 H/sub .inf./ 설계법의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H/sub .inf./ 제어기법은 이론적인 연구와 함께 산업응용에 관한 연구도 활발하여, 자동차 제어, 항공우주 제어(고성능 헬리콥터의 비행제어, 비행체의 핏치축 제어, 우주구조물체의 제어), 공정제어(발전소에서의 핵반응로 제어), 및 기계제어 등에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다. H/sub .inf./ 제어기법은 여타의 다른 제어기 설계기법에 비해 많은 수학적 지식을 필요로 하고 제어이론 및 설계과정이 복잡한 것으로 인식돼 우리나라에서는 그다지 많은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그러나, 응용사례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그 응용대상이 광범위하고, 또한 고성능의 제어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기법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으므로 보다 더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반도체 생산 기준정보 테이블을 이용한 이탈처리 분석시스템

  • Kim Tae-Jin;Han Yeong-Sin;Lee Chil-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emiconductor Equipment Technology
    • /
    • 2006.05a
    • /
    • pp.121-126
    • /
    • 2006
  • 본 연구는 반도체 산업의 공정에서 자동화를 위한 Solution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Spec-out(불량)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엔지니어가 원인을 분석하고 조치를 취하던 이전의 방식을 탈피하여 Expert Knowledge Base System의 On-Line방식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공정과 계측간에 발생하는 파라메터들의 상관관계를 수학적으로 도출하였으며, 상관관계들을 이용하여 이탈 발생시 처리를 하기 위한 Rule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 Rule들을 바탕으로 이탈발생의 원인을 분석하는 추론 시스템을 구성하여 즉각적이고 신속하게 처리를 하기 위한 이탈처리 분석 시스템을 구성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 PDF

패턴인식법에 의한 압축기의 이상진단에 관한 연구

  • 김태구;김광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5-30
    • /
    • 2001
  • 엔진이나 콤프레셔 등과 같은 기기 진동의 동특성은 불규칙적으로 변동하는 성분을 갖는 랜덤 프로세스로 그것을 수학적으로 명확히 기술하는 것은 어렵다/sup 1)/. 하지만 통계학적인 입장에서 시계열 데이터를 보면 시계열 데이터가 확률변수로서 각각의 모집단에 속한다. 따라서 이 점에 주목하여 시계열의 확률적인 특징을 추출하는 것으로, 각각의 시계열 데이터를 확률공간으로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면 시계열 데이터에 의해 표현되어진 상태의 식별가능하다는 이론이 성립된다/sup 2)/.(중략)

  • PDF

Design of Electric Power Load Forecasting System Using Fuzzy Logic (퍼지 이론을 이용한 전력부하 예측시스템의 설계)

  • 김이곤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8 no.3
    • /
    • pp.44-53
    • /
    • 1994
  • 전력 부하의 예측은 산업 활동에 있어 전력의 안정적인 공급과 생산비의 절감을 위해 대단히 중요하다. 전력 부하의 예측 방법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으나 기존의 방법들은 수학적으로 복잡하고 계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적 규칙수를 구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과 데이터를 2분하여 설계한 변수 선택 방법을 이용하여 모델을 간략화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CMAC을 이용한 데이터의 양·부 판별 알고리즘을 이용하므로써 노이즈의 영향을 최소화 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전력부하예측 시스템을 설계하고 분석한 결과 그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공업기술교육의 전문화

  • 서정일
    • Journal of the KSME
    • /
    • v.26 no.1
    • /
    • pp.3-3
    • /
    • 1986
  • 과학기술은 체계화된 공학을 가지고 그 전공방향으로하여 공업전문대학, 4년제공과대학 및 대 학원에서 이수, 연구토록 제도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것이 실태임은 주지의 사실이며, 현금의 이 제도에서 공업전문대학 출신의 취업문제가 널리 거론되고 있는 마당에 과학기술교육 즉 공학교 육을 주 목표로하는 4년제대학에서의 교과내용을 축소한 듯한(반드시 모든 전문대학에서 그렇치 않으나) 교과종류 및 내용에서 탈피하여, 예를 들면 기계기술교육에서는 전문분야를 세분화하여 열기관전공, 공작기계전공, 유체기계전공 등으로 초년도부터 직시 원리, 기법을 교육하면서 최 소한의 필요불가결한 과학(수학. 물리학등)을 병행교육하므로써 단시일내에 기법을 익히고 또한 과학과 기술이 혼연한 일체라는 기본개념도 터득할 수 있으면서 산업전선의 중간기술지도자를 양성함에도 효율적이라 생각한다.

  • PDF

The development of AT-Cut Quartz Organic Vapor Recognizing System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수정진동자 유기용매 인식시스템의 개발)

  • Park, Soo-Heang;Ryu, Min-Su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 /
    • v.6 no.1
    • /
    • pp.31-36
    • /
    • 2003
  • 8개의 수정진동자 위에 서로 다른 종류의 Lipid를 코팅하여서 만든 센서 배열을 가지고 유기용매를 인식할 수 있는 System을 구성한다. 유기용매 인식센서에 대한 수학적 모델을 사용하여 여러 가지 유기용매에 대한 센서의 응답으로부터 센서 표면과 유기용매 간의 물질 전달속도 패턴과 친화력 패턴을 얻어 유기용매 종류를 인식하였다. 패턴인식은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였으며 인공신경망의 연결 강도 수정은 Levenberg-Marquardt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신경망의 출력은 4개로 하였고, 디지털 신호인 0과 1의 조합으로 유기용매 종류를 구분하였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여 9개의 유기용매 Acetone, Benzene, Chloroform, Carbon-tetrachloride, Ethylacetate, Buthylacetate, Cyclohexane, Dichloromethane, 1,1,2,2,Tetrachloroethane, 2,2,4Trimethylpentane을 구분하여 인식할 수 있었다.

  • PDF

산업용 안전모의 충격흡수 이론

  • 최용근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 /
    • v.6 no.2
    • /
    • pp.37-40
    • /
    • 1991
  • 산업용 안전모는 그 기능상 耐貫通性과 衝擊吸收性이 중요하다. 이중내관통성은 별로 어려움이 없으나 충격흡수성은 무게 및 크기가 제한되고 극히 간단한 안전모의 구조에 충격을 충분히 흡수하는 Bumper작용까지 하여야 하므로 기준에 합격할수 있는 안전모를 제작하기 위하여는 여간 어려운게 아니다. 이에 論者는 일정한 무게의 추가 일정한 높이에서 자유낙하하여 안전모에 충격을 加하고서 반발할때까지의 안전모의 수직운동(변형)이 어느정도 이루어저야 하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갖었다. 즉 모체든 착장체든 또는 모체와 착장체의 연결장소에서든 일정한 충격량을 받았을때 모체의정점(낙하물과 최초로 접한부분)이 수직으로 S'의 거리 만큼 움직여 주고 운동이 정지된다고 보았을때 S'과 m(추의중량), S(추가 떨어지는 높이) Fi(충격이 흡수되고 남은 충격력)와의 관계식을 뉴톤의 운동법칙으로 부터 수학적 방법으로 유도 함으로서 시험조건 및 검정 기준에 주어진 수치인 m, S, Fi,을 대입하므로서 S'을 알 수 있는바 이것을 기초로 안전모의설계및 제조된 안전모의 충격흡수 정도를 용이하게 판단 할 수있다.

  • PDF

모터내장형 공작기계 주축계의 정.동특성에 관한 연구

  • 박종권;이찬홍;신영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117-120
    • /
    • 1993
  • 기게공업의 근간이라고 할 수 있는 공작기계산업은 첨단산업과 관련한 소재공업의 고도화에 따라 고속 고능률화 및 고정밀화 하여 가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대한 성능향상 요구는 앞으로도 계속적으로 이어질것이다. 여기서 공작기계의 가공정밀도 및 가공 능률에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요소는 대부분 주축유닛트 부분이며 최근과 같이 고속 고정밀과 유연성을 추구하는 공작기계에서 주축 시스템이 수행하는 역할이란 매우 중요한 위치를 갖는다. 본 연구는 모터내장형 주축시스템에 관해 정.동적측면에서의 구조설계와 시제품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활용측면에서의 신뢰성을 높일 수있도록 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였다. 즉 연구의 첫단계로서 정적인 측면에서의 구조설계를 하여 연구모델을 결정하였으며 다음단계로서 설정된 구조모델에 대해 유한요소 법(FEM)을 이용한 동적해석을 실시하고 실험해석에 의한 이론해석 과정의 수학적모델을 수정,보완한후 고속회전에서의 동적특성을 실제 현상에 가깝도록 예측하여 설계단계에서의 고속운전특성이 주축계의 동적안정성에 미치는 여러 영향등에 관해 고찰하였다.

Mathematical Model for File Migration and Load Balancing in Distributed Systemsc (분산 시스템에서 파일 이전과 부하 균등을 위한 수학적 모델)

  • Moon, Wonsik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Digital Industry and Information Management
    • /
    • v.13 no.4
    • /
    • pp.153-162
    • /
    • 2017
  • Advances in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decreasing cost of computers have made distributed computer systems an attractive alternative for satisfying the information needs of large organizations. This paper presents a distributed algorithm for performance improvement through load balancing and file migration in distributed systems. We employed a sender initiated strategy for task migration and used learning automata with several internal states for file migration. A task can be migrated according to the load information of a computer. A file is migrated to the destination processor when it is in the right boundary state. We also described an analytical model for load balancing with file migration to verify the proposed algorithm. Analytical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algorithm is very well-suited for distributed system environments.

Increasing of the yield rate by selecting the processes in the cross-linked foam production line (가교 발포 폼 단열재 생산공정에서 생산방식의 결정을 통한 생산 수율의 향상에 관한 연구)

  • 임준묵;안응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1999.05a
    • /
    • pp.176-181
    • /
    • 1999
  • 가교 발포 공정을 거치는 대부분의 단열재의 생산 제조 공정은 혼합$\longrightarrow$압출$\longrightarrow$성형$\longrightarrow$발포$\longrightarrow$권취$\longrightarrow$포장 과 같은 공정을 거치게 된다. 생산방식에 있어서는 크게 두가치 공정에 따라 대별된다. 하나는 "인-라인" 방식의 제조공정이며 다른 하나는 "오프-라인" 방식의 제조공정이다. "인-라인"의 생산방식은 공정불량의 감지가 용이하고 재공품의 재고가 적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생산수율은 높지 못한편이다. 반면에 "오프-라인"의 생산방식은 생산수율은 상대적으로 매우 높지만 공정불량에 대한 위험이 크며 재공품의 재고가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라인" 생산방식과 "오프-라인" 생산방식의 장\ulcorner단점을 분석하여 생산되는 제품에 따라서 적절한 생산방식을 채택하여 줌으로써 회사 전체의 생산성 향상을 제고 할 수 있는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공정의 분석을 통한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그 해법을 연구하며, 사례를 들어 설명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