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업보안

검색결과 1,645건 처리시간 0.025초

융합보안 관점에서 방위산업보안 개념 정립과 연구동향 분석 (Resaerch Trend and Cocentualization of Defense Industry Security From Convergence Security Perspective)

  • 우광제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1호
    • /
    • pp.69-78
    • /
    • 2015
  • 산업스파이에 의한 핵심기술 유출이 점차 지능화, 첨단화, 복잡화 되어가고 있으며 이로 인한 피해 또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융합보안이 대두되었고 모든 산업분야에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국가적 핵심기술과 인력 및 시설을 포함하고 있는 방위산업은 융합보안이 더 요구되는 산업분야이다. 방위산업은 국가의 안전보장에 필요한 방위산업물자를 연구, 개발, 생산하는 산업이다. 방위산업은 군사기밀, 산업비밀, 핵심기술인력, 방위산업물자, 국가중요시설, 정보통신체계 등 다양한 보안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방위산업보안은 군사보안과 산업보안의 복합체이며 방위산업의 모든 보안요소를 통합하는 융합보안이다. 따라서 방위산업보안은 융합보안의 대표적인 실천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방위산업보안에 대한 연구는 일반적인 다른 산업분야에서의 보안과 관련된 연구에 비해 미흡한 실정이다. 방위산업의 핵심기술 유출을 방지하고 기술인력 및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서, 방위산업보안을 융합보안의 개념에서 연구하고 실천하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다.

산업보안 개념의 비판적 고찰 (A Critical Review of Industrial Security Concepts)

  • 이창무
    • 시큐리티연구
    • /
    • 제50호
    • /
    • pp.287-303
    • /
    • 2017
  • 산업보안 관련 연구는 지난 10여 년 간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산업보안 관련 학회가 만들어지고, 대학에 산업보안학과가 신설되면서 산업보안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연구 또한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이 학문적 관심과 연구가 양적으로 크게 성장한 반면에 학문적 체계화의 기초가 되는 이론 분야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개념화를 비롯한 이론적 바탕에 대한 고민 없이 특정 현안에 대한 문제 제기와 실무적인 해결 방안 제시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있는 형편이다. 때문에 대부분 연구에서 산업보안 개념은 선행연구에서 적용한 개념을 그대로 수용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산업보안 연구 대부분이 '산업기술보호'라는 특정 주제로 집중된 이유가 산업보안 개념을 산업기술보호로 축소해 간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산업보안은 매우 다양한 영역과 분야로 이뤄져 있음에도 특정 분야를 산업보안의 전부로 인식하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이로 인해 산업보안 연구에서 산업보안 개념은 모호하고 부정확하고 편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산업보안 개념을 논리적 명확성과 경험적 타당성에 근거하여 정확하고 히 인식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 PDF

방산보안 2.0

  • 류연승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2
    • /
    • 2018
  • 방산보안은 방위산업과 관련된 보안으로 방위산업의 발전에 따라 방산보안의 정의도 변화되어왔다. 우리나라 방위산업은 1970년대에 본격적으로 육성되었고 방산보안은 군사기밀을 취급하며 방산물자를 생산하는 방위산업체의 보안으로 정의되어왔다. 최근 무기체계 및 핵심기술의 국제공동연구개발에 따른 도입 기술의 보호가 필요하고, 선진국 수준에 이른 국방과학기술을 이용한 방산물자의 수출이 증가하면서 방위산업기술을 보호하기 위한 방위산업기술보호법이 제정되었다. 방산보안의 역사를 살펴볼 때 큰 전환점이 도래하는 것이며 방산보안 시대를 구분하고 각 시대의 특징을 정리해보는 것이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위산업기술보호법 제정 이후를 방산보안 2.0 시대로 규정하고, 시대 별 주요 특징을 비교하며 향후 발전방향을 고찰하였다.

국내 산업보안 유관기관 조사를 통한 산업보안 전담부서 필요성 제고 (A Study for Enhancing Necessity of Certain Industrial Security Charge Department through Investigating Domestic Industrial Security Organization)

  • 이효직;류보라;김화영;이재균;김예인;장항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1-133
    • /
    • 2016
  • 모든 산업은 ICT 기술의 적용 및 산업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신기술 개발 및 확보를 위한 연구 투자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신기술을 보호하려는 노력도 동시에 강화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보호에 대한 노력은 단순히 기업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 여러 정부기관이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산업보안 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자산 보호 및 기술유출 방지를 위해 산업보안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산업보안 유관기관에 대해 조사해보고 각 기관의 산업보안 업무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산업보안 유관기관 조사 및 비교를 통해 현재 정부기관의 산업보안 운영에 대한 문제점을 논의해보고 산업보안 발전 및 효율적 업무를 위한 정부 내 산업보안 담당부서의 필요성에 대해 제고해보려고 한다.

정부기관의 산업보안활동에 관한 비교 및 고찰 (Comparision and Consideration for Industrial Security Activity of Governmental Agencies)

  • 이효직;장항배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48-750
    • /
    • 2015
  • 지식 정보화 사회의 진입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걸쳐 핵심기술을 보유하게 됨에 따라 국가경쟁력이 강화되어지고 있다. 국가경쟁력이 강회되어짐에 따라 중요 산업정보나 핵심기술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핵심 산업정보를 지키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 이러한 산업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산업보안 관련 부서를 구성하여 다양한 산업보안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산업보안의 개념 및 학문의 정체성이 확립되어지지 않아 제대로 된 산업보안 활동이 수행되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기관의 산업보안활동을 비교/분석하려고 한다. 그리고 산업보안 개념 분석을 통해 정부기관의 올바른 산업보안활동 방향성을 제언하려고 한다.

산업제어시스템의 보안 기술 연구 동향 및 고찰 (Research Trends and Considerations of Security Technology of Industrial Control System)

  • 이영헌;류정현;박종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49-152
    • /
    • 2018
  • 최근 국가기반시설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산업제어시스템에 대한 사이버보안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보안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산업제어시스템에서의 보안 기술은 일반적인 IT 시스템의 보안 기술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산업제어시스템과 IT 시스템은 인간이 컴퓨터 시스템을 통해 정보를 처리하는 것은 같지만 IT 시스템은 정보 처리의 효율성을 위해 시스템을 사용하는 반면, 산업제어 시스템은 시스템의 효율성을 위해 정보를 처리하는 부분으로 이에 알맞은 새로운 보안 체계 구성이 필요하다. 초기에는 폐쇄망 위주로 구성되었던 산업제어시스템에서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발전으로 외부로부터의 사이버 위협이 가중되었다. 편리성과 효율성이 증대된 만큼 ICT의 취약점 또한 산업제어시스템에서 문제가 발생하고 있지만, 현재 산업제어시스템의 보안 기술에 대해서는 국내에 널리 알려지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제어시스템 및 보안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관련 보안사고의 사례 및 보안 기술을 살펴봄으로써 미래 산업제어시스템의 발전과 보안 공격에 대한 충분한 보안체계를 구축하여 종합적이고, 적합한 보안 대책을 마련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국가 산업기술유출 대비 방안 연구 (A Study on Preparation Plan against National Industrial Technology Outflow)

  • 하옥현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55-62
    • /
    • 2009
  • 산업보안은 보안의 영역별 요소(물리적 보안도구, IT보안 도구, 융합보안도구)를 활용하여 기업의 산업자산을 보호하는 관리활동들로서 Hardware적 요소(보안을 위한 도구)의 운용은 물론 이를 활용하기 위한 Software적 측면(정책 및 전략수립, 유지운영, 사후 대응조치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보안에 대한 정의와 관련 개념, 우리나라의 산업보안 관련 기관들의 역할과 관련 법규, 관리체계 및 실태 등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려 한다. 아울러 우리나라 기업들이 효과적인 산업보안활동을 통하여 국가경쟁력을 제고하고 21세기 산업보안 선진국으로 진입하기 위한 향후 정책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국외 산업제어시스템 보안기술 연구개발 동향

  • 김우년;이수연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11
    • /
    • 2015
  • 산업제어시스템에 대한 사이버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세계 각국의 산업제어시스템 보안기술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미국은 에너지 분야를 중심으로 산업제어시스템 보안을 위한 응용기술 개발, 현장실증, 제품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는 연구개발 프로그램인 CEDS와 학계 중심의 TCIPG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EU는 FP7 프로그램에서 연구소, 학계, 산업제어시스템 운영기관, 산업제어시스템 제조사 등이 참여하여 연구개발을 수행중이다. 일본도 산업제어시스템 제조사가 참여하는 제어시스템 사이버보안 센터를 중심으로 사이버보안 기술 개발을 진행 중이다. 본 논문은 미국, EU, 일본 중심으로 국외의 산업제어시스템 보안기술 연구개발 현황에 대해서 설명하고, 이러한 현황분석을 통해 산업제어시스템 사이버보안 기술 연구개발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국내 산업제어시스템 사이버보안 기술 연구개발에 참고가 되고자 한다.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의 산업보안 직무 및 직무능력 추출을 위한 탐색적 연구:NCS 미분류 보안영역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Extracting Industrial Security Jobs and Competencies in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Focusing on the Unclassified Security Area)

  • 임동선;신은희;장항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5-32
    • /
    • 2020
  • 산업보안 전문인력양성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는 가운데 산업현장 수요에 맞춰 대학 교육과정들이나 자격제도 체계를 표준화하고 연결하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서의 산업보안 개발은 매우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NCS 내에 있는 보안관련 직무와 보안능력을 요구하는 직무, 해당 직무에 요구되는 보안능력을 추출, 분류, 분석하였으며, 결과적으로 많은 직무들에서 이미 NCS 직무분류로 존재하는 IT보안, 물리보안 등과 다른 보안능력 요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산업보안능력 및 수준 등에 대한 산업현장의 요구가 이후 산업보안 NCS개발 과정에 반영되어 산업보안 직무 및 직무능력을 체계화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산업 제어시스템 보안성 평가제도 동향

  • 김우년;박응기;김신규;지윤석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15
    • /
    • 2019
  • 산업 제어시스템 보안 취약점 발견의 증가, 사이버보안 사고로 인한 정전과 같은 물리적 피해 발생, 4차 산업혁명으로 확산되는 스마트공장 및 스마트시트의 산업 제어시스템 네트워크 연계 증가 등으로 인해 산업 제어시스템에 대한 보안위협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보안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 제어시스템 구성요소에 대한 보안 내재화를 유도하고, 산업 제어시스템의 도입, 운영, 유지보수 과정에서 사이버보안을 고려할 것을 요구하는 산업 제어시스템 보안성 평가제도의 동향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미국, 일본, 프랑스 등의 국가기관, ISA, IEC, UL 등과 같은 국제 표준화 기구, $T{\ddot{U}}V$ $S{\ddot{U}}D$, exida와 같은 글로벌 시험기관, GE와 같은 제조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산업 제어시스템 보안성 평가제도를 설명하고, 평가제도를 분류하여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