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업곤충

검색결과 142건 처리시간 0.026초

사료첨가제로서 맥주박이 장수풍뎅이 유충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Brewers' Dried Grain as a Feed Additive for the Korean Rhinoceros Beetle, Allomyrina dichotoma)

  • 송명하;이희삼;박관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01-1506
    • /
    • 2018
  • 장수풍뎅이 유충은 쌍별귀뚜라미와 갈색거저리 및 흰점박이꽃무지 유충과 함께 국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식품공전에 일반식품원료로 등록되었다. 이에 곤충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이와 함께 양질의 곤충을 대량생산하기 위한 위생적이고 안전한 식용곤충 전용 먹이원 개발 등과 관련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필요가 있다. 식품가공 부산물은 단백질, 지질, 무기질 및 기타 여러 가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가축 등 동물 사료의 대체 에너지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귤박, 비지박, 대두박, 맥주박 등 4종의 식품가공 부산물을 첨가한 먹이원 급여에 따른 장수풍뎅이 유충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장수풍뎅이 3령 유충에 10% 맥주박을 첨가한 먹이원을 급여했을 때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고, 유충의 무게 또한 대조구 대비 약 26%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유충기간에 있어서도 10% 맥주박을 첨가했을 때 약 120일로 대조구보다 28일 이상 단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10% 맥주박 첨가 실험구의 용무게와 용화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맥주박이 장수풍뎅이 사육용 사료 소재로서 충분히 활용될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더불어 맥주박은 시중에서 쉽고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어 곤충사육 농가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으며, 식품가공 부산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식용곤충을 안전하고 경제적으로 사육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추출 온도 및 용매에 따른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 유충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Hermetia illucens Larvae Extracts Using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and Solvents)

  • 박지영;구본우;김용순;박관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21-232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effect of Hermetia illucens larvae using different extraction temperatures and solvents. We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henolic content (TPC), total flavonoid content (TFC), an in three antioxidant index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1,1'-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and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contents, among the samples depending on the extraction temperature and solvent used. The sample extracted with water at 45℃ (HIW-45℃) showed the highest TPC, DPPH, ABTS, and FRAP contents, while the sample extracted with water at 90℃ (HIW-90℃) showed the highest TFC. These differences can be due to the different chemical structures of the extracted components. Based on these results, HIW-45℃ was the optimal extraction method for Hermetia illucens. We intend to further investigate the availability of functional materials for Hermetia illucens using this method.

과채류 부산물 급이에 따른 아메리카동애등에(Hermetia illucens) 유충의 성분 분석 (Composition Analysis of Black Soldier Fly (Hermetia illucens) Larvae Fed with Different Three Single Fruit By-products)

  • 구본우;박지영;김용순;김기현;박관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65-972
    • /
    • 2023
  • As the world population growth and economy develops, the importance of eco-friendly organic waste resource treatment and up-cycling increases. Black soldier fly (BSF) (Hermetia illucens) treats organic waste resources that allows it to be recycled as a feed resourc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nutrients composition, amino acid, and fatty acids of BSF larvae fed three agricultural by-products, namely apple pomace, mandarin waste, and oriental melon waste (mainly generated in South Korea). The highest BSF larvae crude protein and amino acid content was obtained in those fed mandarin waste compared with the other two diets (apple pomace and oriental melon waste). BSF larvae fed apple pomace had the highest crude fat, fatty acid, and lauric acid content compared with the other BSF larvae. Furthermore, all crude protein and fat content of BSF larvae fed the three agricultural by-products exceed that of the original agricultural by-products.

흰점박이꽃무지 사료첨가제로서 새싹보리의 곤충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f Sprouted Barley as a Nutritive Feed Additive for Protaetia brevitarsis and Its Antibacterial Action against Serratia marcescens)

  • 송명하;김낭희;박관호;김은선;김용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75-480
    • /
    • 2021
  • 국내에서 2016년 흰점박이꽃무지 등 일부 곤충이 식품원료로 등록되면서 곤충사육 농가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곤충사육 농가가 보유하고 있는 사육기술, 병해충 관리기술이 농가별로 차이가 있고, 대량으로 곤충을 사육하면서 높은 사육밀도, 병충해 감염 등으로 인해 곤충이 대량 폐사하게 됨으로써 곤충사육 농가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할 뿐만 아니라 항균, 항염증 등의 효과를 가진 새싹보리를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인 발효톱밥에 첨가하여 주 먹이원 첨가제로써 적용 가능성 및 곤충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에 5%와 10% 새싹보리를 첨가했을 때 유충의 증체율이 19.2%와 23.1%로 높았고, 사육 기간이 대조군 대비 단축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새싹보리는 곤충병원성 세균 Serratia marcescens의 성장을 저해하고, 세균에 감염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생존율과 증체율이 건강한 유충의 수준으로 회복되는 경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새싹보리를 첨가한 먹이원으로 사육한 유충의 영양성분 분석 결과, 조단백질, 조지방, 구리, 아연, 칼륨 등 미네랄 및 아미노산 함량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흰점박이꽃무지 유충의 주 먹이원에 새싹보리를 첨가한다면 단기간에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곤충병원성 세균 감염에 의한 폐사를 효율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안정적인 곤충 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통합곤충영양학에 관한 최신 연구동향: 영양기하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Recent Trends in Integrative Insect Nutrition: A Nutritional Geometry Perspective)

  • 이광범;장태환;노명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129-142
    • /
    • 2022
  • 영양은 모든 생명활동의 근본이며, 생물의 진화적 적응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곤충영양학은 곤충생리학의 전통적인 연구영역이며, 최근 산업곤충의 대량사육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곤충의 영양현상을 정확히 이해하기란 어려운데, 이는 영양의 다변량적 특성, 영양소 간의 교호작용 등으로 설명되는 영양적 복잡성에 기인한다. 영양기하학(Nutritional Geometry)은 이러한 난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된 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분석모형으로서, 최근 곤충영양학이 급격하게 발전할 수 있는 이론적 및 실험적 기반을 제공하였다. 본 종설은 영양기하학의 기본개념을 소개하고, 이러한 방법론이 어떻게 최근 곤충영양학의 급속한 학문적 진보를 가능케 하였는지, 그리고 영양이 어떻게 생리학, 생태학, 진화생물학을 통합하는 구심점이 될 수 있었는지를, 최신 연구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본 종설은 향후 영양기하학을 적용함으로써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연구분야를 고찰할 것이다.

경상북도 양잠산업의 현황과 전망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the sericulture industry in gyeongsangbukdo)

  • 이희수;곽병삼;김기재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6-10
    • /
    • 2019
  •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sericultural industry in Gyeonsangbukdo were examined through history and business of institute, sericultural status of Gyeongsangbukdo, purchasing results, and prospects of Gyeongsangbukdo. Silkworm & Insect Business Center was established in 1911 as Sericultural training institute. Original silkworm 400 case, and Nuedongchunghacho inoculant 100 box will be spreaded. Sericultural farmer is 339 and 41.5 percent on the whole country in 2016. Ten thousand kilogram of cocoon was purchased by institute in 2016. Farm income was increased to 13.7 million won and purchased cocoon 9,875 kg in 2017. To activate sericulture Gyeongsangbukdo will support Hanbok Institute in 2019 and make sericultural complex.

국내 서남 지역의 산림 토양 특성과 곤충병원성 진균과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Isolated Entomopathogenic Fungi and Soil Characteristics from Forest Areas of the Southwest Region in Korea)

  • 김회리;김형찬;이세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95-10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국내 산림 지역의 토양에서 서식하는 곤충병원성 진균을 insect-baiting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하고자 하였으며, 곤충병원성 진균과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국내 산림 지역 5곳을 선정하여 토양을 채집하였으며, 채집된 토양에서 총 42 분리주를 분리하였다. 그 중 Beauveria bassiana (42.9%)와 Metarhizium anisopliae (45.2%)가 주로 분리되었으며, 특히 M. anisopliae의 분포는 토양의 총 질소량(g/kg)과 유기물 함량(%)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국내 산림 지역의 토양은 낮은 pH를 보였으며(pH 4-5), 전체 분리주 중에서 미사질 양토(silt loam)에서 50% 이상이 분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통하여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과 곤충병원성 진균의 분포 및 다양성과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곤충치유프로그램의 운영 방식에 따른 치유효과 분석 (Analysis of Healing Effects of Insect Healing Program Based on Operating Methods)

  • 김소윤;지상민;고혜진;박지연;김선영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1호
    • /
    • pp.833-840
    • /
    • 2023
  • Insect-healing program is designed for farm use, and this study attempted to scientifically investigate its healing effect based on application methods. The insects used in the program are Trypoxylus dichotomus, Papilio xuthus, and Bombyx mori. Insect-healing program was conducted on 61 adults of over 50 years old and at two different farms for 12 weeks. Stress, anxiety, insomnia, and cognitive function were measured through pre- and post-surveys.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that cognitive function changed positively in direct experienced group (those that encountered live insects) and indirect experience group (those that encountered insects only through photos and videos). However, psychological variables such as stress and anxiety decreased and sleep time increased significantly only in the direct experienced group.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an agro-healing program that involve the use of insect must include activities such as raising and taking care of live insect to achieve positive psychological healing effects.

생식기관과 교미에 의한 국내산 호박벌(Bombus ignitus)의 성적 성숙시기 (Sexual Maturity Time of Reproductive Organ Development and Mating in the Korean Native Bumblebee, Bombus ignitus)

  • 윤형주;이경용;고현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29-337
    • /
    • 2018
  • 화분매개곤충인 호박벌(B. ignitus)의 교미율을 높이기 위하여 생식기관 발육과 교미에 의한 성적 성숙시기를 조사하였다. 난소 소관 당 알수와 수정낭 크기 등 난소 발육으로 볼 때, 여왕벌의 성적 성숙시기는 우화 10일 이내이었다. 수벌의 정자수는 우화당일에 24.6만개이었고, 우화 9일째가 48.0만개 정도로 가장 많았으며, 우화 35일(8.7만개) 이후 정자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교미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자수가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벌의 정자수에 의한 성적 성숙시기는 우화 3~15일이었다. 교미에 의한 성적 성숙시기 조사결과, 여왕벌은 우화직후에는 전혀 교미를 하지 않았으며, 우화 20일 이후에는 교미율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교미율과 산란율 등으로 볼 때 여왕벌의 교미에 적합한 시기는 우화 9~20일이었다. 반면에 수벌은 우화 직후에도 3.3% 교미하였으며, 우화 6일째가 43.3%로 가장 높았으며, 우화 25일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교미율과 산란율 등으로 볼 때, 수벌의 교미 성숙시기는 우화 6~20일이었다. 이상의 생식기관 발육과 교미에 의한 봉세발달 등으로 볼 때 호박벌 여왕벌의 최적 성적 성숙시기는 우화 9~12일, 수벌은 우화 6~9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