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양

Search Result 51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재래산양(在來山羊)의 성성숙(性成熟), 발정주기(發情週期) 및 임신기간(姙娠期間)에 따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I) -번식형질(繁殖形質)과 체성장(體成長)에 따른 혈청(血淸) 성(性) Hormone 수준(水準)의 변화(變化)- (Studies on the Sex Hormone Levels in Korean Native Goat during Puberty, Estrous Cycle and Pregnancy(I) - Studies on Reproductive Traits, and Changes of Sex Hormone Levels by Growth-)

  • 이규승;박창식;김영묵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55-61
    • /
    • 1985
  •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번식형질(繁殖形質)을 조사(調査)하고, 아울러 70일령(日令)부터 190일령(日令)까지 매(每)15일(日) 간격(間隔)으로 혈청(血淸) 성(性) hormone의 농도변화(濃度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성성숙일령(性成熟日令)과 체중(體重)은 183.6일(日)과 14.3 kg이었고. 발정시기(發情時期)와 발정지속기간(發情持續期間)은 20.3일(日)과 36.7시간(時間)이었으며, 임신기간(姙娠期間), 복당산자수(腹當産仔數) 및 생시체중(生時體重)은 각각(各各) 148.4일(日), 1.4두(頭) 및 1.8 kg이었다. 혈청(血淸) LH의 수준(水準)은 70일령(日令)에서 3.93mIU/ml로 최고치(最高値)였고, 일령(日令)이 증가(增加)할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 이어서 190일령(日令)에는 1.21mIU/ml로 최소치(最少値)였다. FSH는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1.25 mIU/ml 以下의 수준(水準)이었다. Prolactin은 85일령(日令)에 3.09 ng/ml로 최소치(最少値)였고, 175일령(日令)에 4.65 ng/ml로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다. Estradiol-$17{\beta}$의 수준(水準)은 일령(日令)이 증가(增加)할수록 증가(增加)되는 경향(傾向)이어서 190일령(日令)에서 7.95 pg/ml로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다. Progesterone은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1.0 ng/ml 이하(以下)로서 매우 낮은 수준(水準)을 유지(維持)하였다.

  • PDF

한국재래산양(韓國在來山羊)의 비교해부학적연구(比較解剖學的硏究) 1. 전지근(前肢筋)에 관하여 (Comparative Anatomy of the Korean Native Goat 1. Muscles of the thoracic limb)

  • 윤석봉;문희철;김창기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35-150
    • /
    • 1974
  • 한국재내산양(韓國在來山羊) 11마리의 전지근(前肢筋)을 절개하여 관찰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재내산양(韓國在來山羊)의 전지(前肢)에서는 다음과 같은 근(筋)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승모근(僧帽筋) M. trapezus, 릉형근(菱形筋) M. rhomboideus, 완두근(腕頭筋) M. brachiocephalicus, 쇄골하근(鎖骨下筋) M. subclavius, 견갑횡구근(肩甲橫究筋) M. omotransv-ersarius, 란배근(瀾背筋) M. latissimus dorsi, 천흉근(淺胸筋) M. pectoralis guperficialis, 탐흉근(探胸筋) M. pectorlis profundus, 복거근(腹鋸筋) M. serratus ventralis, 삼각근(三角筋) M. deltoideus, 극하근(棘下筋) M. infraspinatus, 극상근(棘上筋) M. supraspinatus, 견갑하근(肩甲下筋) M. subscapularis, 대원근(大圓筋) M. teres major, 소원근(小圓筋) M. theres minor, 전완근막장근(前腕筋膜張筋) M. tensor fascia antebrachii, 삼두완근(三頭腕筋) M. triceps brachii, 주근 M. anconeus, 이두완근(二頭腕筋) M. biceps brachii, 상완근(上腕筋) M. brachialis, 조훼완근(鳥喙腕筋) M. coracobrachialis, 요완신근(橈腕伸筋) M. extensor carpi radialis, 고유제삼지신근(固有第三指伸筋) M. extensor digiti tertii proprius, 총지신근(總指伸筋) M. extensor digitorum cemmunis 고유제사지신근(固有第四指伸筋) M. extensor digiti quartii proprius, 척완신근(尺腕伸筋) M. extensor carpi ulnaris, 장모지외전근(長母指外轉筋) M. abductor pollicis longus, 척완굴근(尺腕屈筋) M. flexor carpi ulnaris, 요완굴근(橈腕屈筋) M. flexor carpi radialis, 원회내근(圓回內筋) M. pronator teres, 천지굴근(淺指屈筋) M. flexor digitorum suprficialis, 탐지굴근(探指屈筋) M. flexor digitorum profundus, 골간근(骨間筋) M. interosseus medius. 2. 천흉근(淺胸筋)과 심흉근(深胸筋)은 각각 전부(前部)와 후부(後部)로 명확히 분리(分離)되어있으며 특히 심흉근(深胸筋)의 전부(前部)와 후부(後部)는 서로 떨어져서 기시(起始)를 하고있어 그 사이에는 흉골(胸骨)이 노출되어 있었다. 3. 쇄골하근(鎖骨下筋)은 전예(全例)에서 관찰할 수 있었다. 4. 조탁흉근(鳥啄胸筋)은 소나 양에 비하여 매우 발달하였으며 특히 3예(例)에서는 더욱 발달하여 3개의 부분(部分)으로 되어있어 상완골 내측면 거의 전체를 덮고 있었다. 5. 주근, 소원근(小圓筋) 등 소동물(小動物)에서는 작은 근(筋)들이 매우 발달하였으나 장모지외전근(長母指外轉筋)은 엷고 작았다. 6. 반추류(反芻類)에서 가끔 볼 수 있는 M. extensor pollicis는 관찰할 수 없었다.

  • PDF

한국재래산양 췌장내분비세포의 면역전자현미경적 연구 (Immuno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Endocrine Pancreas of the Native Korean Goat)

  • 이재현;교본선춘;견태관;삼촌성;이형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1호
    • /
    • pp.67-77
    • /
    • 1996
  • 한국재래산양의 췌장내분비세포에 대해 몇종의 항혈청을 이용하여 면역전자현미경적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췌도에서는 glucagon (A), insulin (B), somatostatin (D) 및 pancreatic polypeptides (PP-I과 PP-II) 등 5종의 세포를 동정하였다. 이 중 A, B 및 D세포의 정태학적 특징은 다른포유동물의 그것과 유사하였고 D세포는 serotonin 면역성이 인정되었다. PP세포는 과립의 형태학적 특징으로 보아 두가지 형태가 인정되었으며, 제I형은 원형인 동질성의 과립 ($220{\sim}440nm$)을 가지며, 과립내용물과 한계막 사이에는 얇은 halo를 보였으나 제II형은 과립이 다형태성을 보이며 ($240{\sim}440nm$ major axis, $150{\sim}200nm$ minor axis) 과립내용물과 한계막 사이는 거의 밀착되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한국재래산양의 췌도에는 A, B, D, PP-I 및 PP-II 등 5형의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PP-I세포는 다른 포유류의 PP세포에, PP-II세포는 enterochromaffin cell에 상당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Bovine과 Caprine유(乳)로부터 Glycomacropeptide 분리: 트립신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억제 효과 (Separation of Glycomacropeptide from Bovine and Caprine Milk: Effect of Its Tryptic Hydrolysate on the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 김상범;류진수;기광석;이왕식;이현준;양승학;김현섭;최충국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1호
    • /
    • pp.25-33
    • /
    • 2009
  • 본 연구는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유로부터 glycomacropeptide(GMP)를 분리하였으며, 각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의 혈소판응집 억제 효과를 in vitro상에서 알아보았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의 GMP는 분자량이 모두 약 20 KDa이었으며, sialic acid 함량은 각각 $36.86{\pm}2.36$, $37.98{\pm}1.27$$31.19{\pm}1.87{\mu}g/mg$이었다. 또한 모든 개체의 GMP에서 tyrosine이 검출되었다. 홀스타인, 한국재래산양 및 한우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 의한 혈소판 응집 억제율은 반응 30초에 4.02, 5.51 및 12.77%로 각각 나타나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소판의 현미경 관찰 결과 가수분해물 첨가 후 혈소판 수가 증가하였으나, 첨가 후 30초가 경과한 시점부터 혈소판 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120초 후에는 관찰 할 수 없었다. 본 실험 결과 bovine 및 caprine GMP의 trypsin 가수분해물에서 혈소판 응집을 억제할 수 있는 small peptide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러한 연구는 심근경색증 및 뇌혈전증을 예방할 수 있는 생리활성 물질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서지학적 고증을 통한 고려인삼의 정체성 : 기미(氣味), 효능을 중심으로 (Identity of Korean ginseng through bibliography - Focusing on Kimi(property) and efficacy)

  • 고성권
    • 인삼문화
    • /
    • 제1권
    • /
    • pp.1-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지학적 기록을 통하여 인삼의 기미(氣味)변화를 고찰하고자 한다. 한국 산양삼(山養蔘) 재배는 A.D. 1000년 경 고려시대로부터 시작되었다. 그 후, A.D. 1500년-1600년 경 조선시대에 인삼재배 기술이 확립되었다. 이 무렵 집 근처 밭에서 인삼을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이를 가삼(家蔘)이라고 기록하고 있다. 가삼재배는 A.D. 1790년 경 전국으로 확대되었다고 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다. 한편, 인삼의 기미는 A.D. 250에서 A.D. 1600년까지 대부분 동양의학서적에 미한(微寒)으로 기록되어 있다. 그러나, A.D. 1600년 이후에는 미온(微溫) 또는 온(溫)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삼의 기미변화를 인삼재배역사 기록을 통하여 고찰해보면, A.D. 1600년 경 이전의 미한(微寒)의 기미 인삼은 산삼 또는 산양삼으로 인식할 수 있고, A.D. 1600년 경 이후의 미온(微溫) 또는 온(溫)의 기미 인삼은 가삼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기미를 미한(微寒)으로 표기하였던 한의서의 효능은 오장을 주로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킨다는 효능을 위주로 하였으나, 온(溫)으로 표기한 1600년대 이후의 한의서의 효능은 원기를 보하고, 진액을 생성시킨다는 효능이 주로 또는 추가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재배환경이 산에서 들로 바뀌면서 인삼의 성질(기미)과 효능의 변화가 온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재배환경에 따른 성분변화가 효능차이에 미치는 연구가 고려인삼의 정체성 확인에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서지학적 고증을 통한 인삼 승열작용의 정체성 - 한의학적 해석을 중심으로 (Identity of thermogenic reaction to Korean ginseng through bibliography - Focusing on oriental medicine interpretation)

  • 고성권
    • 인삼문화
    • /
    • 제3권
    • /
    • pp.119-131
    • /
    • 2021
  • 본 연구는 서지학적 고증을 통하여 고려인삼 승열작용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해소방안을 모색함을 목적으로 한다. 인삼의 승열작용과 관련하여 고문헌은 음(陰)이 부족하고, 폐가 열(火)이 있어서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 가래가 있는 사람, 맥(脈)이 강하고 빠른 사람, 비위(脾胃)가 실열(實熱)하여 변비가 있는 사람은 인삼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청(淸)나라의 『본초정의』(本草正義)는 산양삼은 미한(微寒)의 보음(補陰) 작용이 있고, 밭 재배인삼은 미온(微溫)의 보기(補氣) 작용이 있다고 기록하였다. 또한, 청나라의 『본경봉원』(本經逢源), 『본초편독』(本草便讀), 『본초정의』는 미삼(尾蔘)은 쓴맛(苦味)으로 보음하고, 기미(氣味)가 차가운 성질(寒)로 하행(下行)하는 성질이 있다고 하였다. 한편, 명(明)나라의 『월지인삼전』(月池人蔘傳)과 청나라의 『본초비요』(本草備要)에서는 생인삼(生人蔘, 수삼)은 맛이 달고 쓰며, 약간 냉(凉)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고문헌의 기록을 고려해보면, 고려인삼의 승열의 부작용은 약간 냉하여 허화(虛火)를 걷어주고, 보음, 하행하는 한방생리작용을 나타내는 미삼, 생삼(수삼) 그리고 산양삼을 이용한 제품 개발을 통하여 극복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반추동물의 제일위내 미생물에 관한 연구 - 제2보 한국재래산양의 제일위내 섬모충에 관한 기초연구 (Studies on Microorganisms in Rumen of Ruminants - 2. Basic Studies on Ciliate Protozoa in Rumen of Korean Native Goats)

  • 이호일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15권8호
    • /
    • pp.459-461
    • /
    • 1979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pulation of rumen ciliate protozoa and pH of rumen contents of Korean native goat, 20 goats, slaughtered at Jeonju private abattoir, were selected from Februry to April 1979.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work were summarized

  • PDF

한국재래산양의 임신중 태반의 발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al Changes of Placenta during Gestation in Korean Native Goats)

  • 최상룡;김종섭;박충생;최경문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1권12호
    • /
    • pp.732-739
    • /
    • 1985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changes in ovary, uterus, uterine vessels, placenta, fetal fluid and umbilical vessels in Korean native goats during gestation, a total of 18 goats were divided into 6 groups by gestational age of 0, 30, 60, 90, 1

  • PDF

경남지방의 재래흑산양에 대한 내부기생충감염실태조사 (A Survey on the Prevalence of Internal-parasites in Korean Native Black Goats of Gyeongnam Area)

  • 서명득;이순선;조희택
    • 대한수의사회지
    • /
    • 제21권7호
    • /
    • pp.413-422
    • /
    • 198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the internal parasitisms of Korean native black goats which are grazing on the western mountainous land and southern island of Gyeongnam province of Korea. Forty hundred and forty-six heads of Kor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