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악지형

검색결과 349건 처리시간 0.044초

한국형 산악지형에서의 풍력발전 최적지 선정을 위한 2차원 유동분석 (2D CFD for determining optimal location of wind turbine on Korean mountain)

  • 김대형;김표진;이창훈;최정일
    • EDISON SW 활용 경진대회 논문집
    • /
    • 제1회(2012년)
    • /
    • pp.41-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풍력발전에 충분한 가능성을 가진 산악 지형을 모델링하여 유동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실제 지형(설악산, 점봉산)에 대한 1/500 축소모형을 Gaussian 함수로 표현하였다. EDISON_CFD을 사용하여 산악지형의 난류유동을 해석하였으며, 해석결과의 신뢰성 확인을 위해 격자분해능에 따른 속도분포를 비교하였다. 산악지형에 따른 유동현상을 속도분포 및 유선함수 등에 의해 분석하였다. 또한 풍력터빈 설치 높이 기준에 의거하여 지형변화에 따른 주 유동방향 속도분포를 살펴보았다. 지형효과에 따른 유동해석결과를 기반으로 풍력 발전 가능 영역이 논의되었다.

  • PDF

강원도 산악지형 도로사면 붕괴특성 및 유지관리 (Failur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Road Slopes in Kawangwon-Do)

  • 이승호;황영철;이재기;김기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사면안정 학술발표회
    • /
    • pp.79-88
    • /
    • 2000
  • 국내의 지질 및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도로 개설에 따른 절개 사면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런 절개 사면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자료를 갖추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강원도는 산악지형이 많고 영동지방과 중부지방을 연결하는 도로에 대규모 절개사면들이 자리잡고 있어 매년 크고 작은 사면활동이 발생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강원도 산악지형에서 발생한 사면파괴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대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 지방도 사면의 관리현황과 유지관리방법 그리고 대책수립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조사된 자료로부터 산악지형 지방도 사면의 특징을 파악하여 나아가서는 적절한 사면안정대책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 PDF

Walking path design considering with Slope for Mountain Terrain Open space

  • Seul-ki Kang;Ju-won L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10호
    • /
    • pp.103-111
    • /
    • 2023
  • 산악지대, 특히 오픈스페이스에서의 보행은 산악지형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특수 활동영역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최근의 보행 경로 연구는 보행자와 환경 요소를 포괄적으로 네트워크 분석에 포함시키지만, 주로 한정된 공간을 대상으로 하며 산악지형 등, 데이터가 부족한 지형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된다. 본 논문에서는 산악지형의 오픈스페이스에서 그물망 기반의 가상 보행 네트워크를 만들며, 경사도를 반영한 산악 보행 경로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거리측정에 경사도를 고려하여 실제 지형을 더 잘 반영하며, 기존 경로 분석 서비스에서 제공하지 않는 오픈스페이스를 이용한 산악 보행 경로를 제시하고, 시험을 통해 이를 입증하였다. 본 논문의 설계 방법은 조난, 산악구조, 전술 훈련 등에서 산악지형의 오픈스페이스를 포함한 경로 생성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 지도를 이용한 산악지형의 전계강도 분석 (An Analysis of Electric-field Density into Mountain Area Using DTED)

  • 임중수;채규수;박영철;김민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852-857
    • /
    • 2006
  • 본 논문은 디지털 지도를 이용하여 산악지형의 전계강도를 정밀하게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일반적으로 전파의 전계 강도는 직접파와 수평면 반사를 주로 고려하였으나, 산악지역에서는 직접파와 수평면 반사 외에도 산악지형의 수직면에 의한 반사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산악지형에서 전파를 송신할 때 일어나는 직접파와 수평면 반사파, 산악 지형에 의한 수직면 반사파의 합성 전계를 전파의 편파 특성과 위상 특성을 고려하여 계산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지형형태 분류에 의한 산악지형 내 풍력단지 입지평가 (Wind Farm Siting in Mountainous Terrain By Geomorphometric Characterization)

  • 김현구;황효정;강용혁;윤창열;정보린;송규봉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19
    • /
    • 2014
  • 한반도와 같은 산악지형에서 풍력단지를 조성할 경우, 인근 지형에 의한 차폐영향이 없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풍력자원이 우수한 능선을 따라서 풍력터빈을 설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악지형에서의 풍력단지 입지평가를 위하여 SRTM v4.1 3 arc-second 해상도의 수치고도 데이터베이스와 지형형태 분류 프로그램인 LandSerf v2.3을 이용하여 풍력터빈 설치 가능한 능선을 추출하였으며, 강원도에 건설된 강원풍력단지, 태기산풍력단지 및 매봉산풍력단지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대부분의 풍력터빈이 상대적으로 풍력자원이 우수한 능선을 따라 배치되었음을 확인함으로써 이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산악지형에서의 지역 규모 토양수분 산정을 위한 Cosmic-ray neutron probe 교정 함수 평가 (Evaluation of Calibration Function for Regional Scale Soil Moisture Estimation using Cosmic-Ray Neutron Probe in Forest)

  • 정재환;백종진;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19
    • /
    • 2019
  • 토양수분은 지표수가 증발, 유출, 침투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문 인자로, 수문학적인 관점에서 물 순환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양 내 수분을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많아 국내에서는 토양수분의 지속적인 관측을 위한 관측소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주로 유전율식 계측 방식을 통해 지점 기반의 토양수분 자료를 생산하는데 그치고 있다. 최근 발사된 토양수분 위성인 SMAP (Soil Moisture Active Passive)을 비롯한 위성기반의 토양수분 자료와 융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점에서의 토양수분 네트워크가 우선적으로 구축되어야 하나, 관측소의 수도 부족할 뿐 아니라, 지형이 복잡하고 산지가 많은 한반도에서는 점 단위의 토양수분 자료의 공간적 대표성이 부족하여 활용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영중인 지점 기반의 토양수분 관측소의 FD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함께 활용하여 산악지형에서의 Cosmic-ray 기반 토양수분자료를 생산하고자 한다. 산악지형에서의 Cosmic-ray 센서는 토양 유기물과 식생 차단 등에 의한 영향이 많으므로 평지에서 토양수분을 산정하기 위한 교정 함수들의 비교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평지에서 활용되는 교정 함수들은 강우에 따른 토양수분의 거동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갑작스러운 강우로 인한 식생 차단과 토양 유기물의 영향이 커지는 경우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동성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산악지형에서 Cosmic-ray 센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할 수 있으며, 추후 산악지형에서 지역 규모의 토양수분을 관측할 수 있는 관측소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제주지역 기상자료의 공간특성 분석 (Spatial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Data in Jeju Island)

  • 이정은;이정우;김철겸;정일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375-375
    • /
    • 2021
  • 제주지역의 경우에는 지형학적으로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산악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산악지형은 수문기상요소에 고도에 따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제주지역의 수문기상요소에 대한 산악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안 저지대에서부터 중산간, 고지대에 이르기까지 관측지점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 제주 전역의 과거 운영되었거나, 현재 운영중인 기상관련 관측지점의 수는 125개에 이른다. 강수의 경우, 기상청(ASOS, AWS), 제주도 재난본부에서 관측하고 있으며, 강수 이외의 기상요소는 기상청에서 관측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전역의 기상관측지점에 대하여 강수량, 온도, 습도를 중심으로 제주지역의 산악효과 및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도에 따른 기상요소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제주 전역에 걸친 수문기상요소들의 공간상관성 분석을 토대로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산악지형에 설치된 풍력발전단지에 의한 도플러 주파수 추출 및 분석 (Extraction and analysis of doppler frequency of wind turbines and effect on radar signals)

  • 정주호;강기봉;김민;김정연;박상홍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9권9호
    • /
    • pp.947-952
    • /
    • 2015
  • 현재 우리나라의 에너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부 주도로 다양한 산악지형에서 풍력발전단지가 건설되고 있다. 하지만 무분별하게 풍력발전단지를 건설 할 경우, 풍력발전기의 도플러 변조로 인하여 주변에 운용되고 있는 군사레이더에 심각한 방해 현상을 야기하여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풍력발전기 작동을 고려한 레이더 신호분석 및 도플러 주파수 분석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산악지형에 설치된 풍력발전단지로 인한 도플러 주파수 추출 및 분석을 위한 신호처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산악지형 모델링, 차폐분석, 풍력발전기 운동 모델링 및 레이더 신호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방법이며, 시뮬레이션 결과 산악지형의 형태 및 풍력발전기의 운동에 따라 시변 하는 도플러 주파수를 추출되었다.

산악지 복선 철도노선에서의 3차원지형분석 및 모델링 (3D Terrain Analysis and Modeling for Double-Tract Railway Route of Forest Sites)

  • 연상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2-899
    • /
    • 2004
  • 최근 중앙선과 태백선의 국철구간에 대한 복선화 사업이 시작되면서 도심지에 비해 지형이 험준하고 경사가 급한 산악지에서의 철도설계와 공사의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이 험준한 산악지에서의 복선철도 신설구간에 대한 3차원 지형분석과 가상주행을 통하여 설계 및 시공 이전에 대상지역의 인공위성영상의 활용을 구체적으로 적용함으로서 좀 더 상세한 지형에 대한 정보수집과 분석을 시도하였다. 약 15km 구간의 산악지에 대한 3차원 지형분석과 복선철도노선과의 관계를 확인하고 가상주행을 실제 적용해 봄으로서 기존의 방법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산악지의 복선철도 구간의 지형분석의 방법을 제시하여 새로운 방법의 가능성을 찾아낼 수 있었다.

  • PDF

GIS 정보를 이용한 풍속지형계수 산정 (Estimation of the Topographic Factor of Wind Speed Using GIS Information)

  • 성민호;최세휴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5호
    • /
    • pp.47-52
    • /
    • 2011
  • 최근 국지적 강풍 및 태풍에 의한 피해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국토의 70%이상이 산악지형인 우리나라에서는 산악지형의 특성에 따른 풍속의 변화를 적절하게 반영한 풍하중 산정이 필요하며 건축구조기준(2009)에서도 이를 명시하여 설계과정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구조물 설계 시 지형적 특성을 고려한 풍속지형계수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현지 지형측량 등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지형도에서 TIN보간법을 이용한 수치표고모델(DEM)을 제작하고, ESRI(R)ArcObjectTM와 프로그래밍 언어인 비주얼 베이직(Visual Basic)을 사용하여 풍속지형계수를 자동적으로 산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설계 구현하였다. 이를 도심지에 위치한 산악지형에 적용함으로써 풍속지형계수 산정 인터페이스의 실용성을 점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