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악지형

Search Result 349,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2D CFD for determining optimal location of wind turbine on Korean mountain (한국형 산악지형에서의 풍력발전 최적지 선정을 위한 2차원 유동분석)

  • Kim, Dae-Hyeong;Kim, Pyo-Jin;Lee, Chang-Hun;Choe, Jeong-Il
    • Proceeding of EDISON Challenge
    • /
    • 2012.04a
    • /
    • pp.41-4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풍력발전에 충분한 가능성을 가진 산악 지형을 모델링하여 유동의 흐름을 분석하였다. 실제 지형(설악산, 점봉산)에 대한 1/500 축소모형을 Gaussian 함수로 표현하였다. EDISON_CFD을 사용하여 산악지형의 난류유동을 해석하였으며, 해석결과의 신뢰성 확인을 위해 격자분해능에 따른 속도분포를 비교하였다. 산악지형에 따른 유동현상을 속도분포 및 유선함수 등에 의해 분석하였다. 또한 풍력터빈 설치 높이 기준에 의거하여 지형변화에 따른 주 유동방향 속도분포를 살펴보았다. 지형효과에 따른 유동해석결과를 기반으로 풍력 발전 가능 영역이 논의되었다.

  • PDF

Failure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Road Slopes in Kawangwon-Do (강원도 산악지형 도로사면 붕괴특성 및 유지관리)

  • 이승호;황영철;이재기;김기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0.11b
    • /
    • pp.79-88
    • /
    • 2000
  • 국내의 지질 및 지형적 특성으로 인하여 도로 개설에 따른 절개 사면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런 절개 사면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자료를 갖추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특히, 강원도는 산악지형이 많고 영동지방과 중부지방을 연결하는 도로에 대규모 절개사면들이 자리잡고 있어 매년 크고 작은 사면활동이 발생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강원도 산악지형에서 발생한 사면파괴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대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강원도 지방도 사면의 관리현황과 유지관리방법 그리고 대책수립현황에 대해 소개하고, 조사된 자료로부터 산악지형 지방도 사면의 특징을 파악하여 나아가서는 적절한 사면안정대책 수립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 PDF

Walking path design considering with Slope for Mountain Terrain Open space

  • Seul-ki Kang;Ju-won Lee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8 no.10
    • /
    • pp.103-111
    • /
    • 2023
  • Mountains area, especially walking in open space is important for special active field which is based on mountain terrain. Recent research on pedestrian-path includes elements about pedestrian and various environment by analyzing network, but it is mainly focusing on limited space except for data-poor terrain like a mountain terrain. This paper proposes an architecture to generate walking path considering the slope for mountain terrain open space through virtual network made of mesh. This architecture shows that it reflects real terrain more effective when measuring distance using slope and is possible to generate mountain walking path using open space unlike other existing services, and is verified through the test. The proposed architecture is expected to utilize for pedestrian-path generation way considering mountain terrain open space in case of distress, mountain rescue and tactical training and so on.

An Analysis of Electric-field Density into Mountain Area Using DTED (디지털 지도를 이용한 산악지형의 전계강도 분석)

  • Lim, Joong-Soo;Chae, Gyoo-Soo;Park, Young-Chul;Kim, Min-Nyum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7 no.5
    • /
    • pp.852-857
    • /
    • 2006
  • This paper presents a precision method to calculate the electric field density of mountain area using digital terrain elevation data(DTED). Generally we calculate the electric field density of a point adding a direct field density and horizontal reflection field density between two points. In this paper, we consider a vertical reflection field density from vertical surface near the wave propagation line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The vertical reflection electric field have different propagation path and polarization from a horizontal reflection field. And the total electric field density adding horizontal field density and vertical reflection value is more accurate than a direct path electrical field density or direct field density adding a horizontal reflection field density.

  • PDF

Wind Farm Siting in Mountainous Terrain By Geomorphometric Characterization (지형형태 분류에 의한 산악지형 내 풍력단지 입지평가)

  • Kim, Hyun Goo;Hwang, Hyo Jung;Kang, Yong Heack;Yun, Chang Yeol;Jung, Bi Rin;Song, Kyu B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2 no.4
    • /
    • pp.13-19
    • /
    • 2014
  • To develop a wind farm in a mountainous terrain like Korea, it is generally more advantageous to install wind turbines along a mountain ridge where has relatively better wind resource because that is open in all directions and free from shielding by the surrounding topography. In this study, the SRTM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v4.1 3 arc-second resolution digital elevation database and the geomorphometric characterization software LandSerf v2.3 are used to extract ridge lines for assessing a wind farm siting in mountainous terrain. The effectiveness of wind farm siting along a ridge line is confirmed that the most of wind turbines in the Gangwon, Taegisan, and Maebongsan wind farms in Korea's mountainous terrain are placed along the primary and secondary ridge lines where wind resource is relatively outstanding.

Evaluation of Calibration Function for Regional Scale Soil Moisture Estimation using Cosmic-Ray Neutron Probe in Forest (산악지형에서의 지역 규모 토양수분 산정을 위한 Cosmic-ray neutron probe 교정 함수 평가)

  • Jeong, Jaehwan;Baek, Jong-Ji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19
    • /
    • 2019
  • 토양수분은 지표수가 증발, 유출, 침투되는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수문 인자로, 수문학적인 관점에서 물 순환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양 내 수분을 측정하는 데 어려움이 많아 국내에서는 토양수분의 지속적인 관측을 위한 관측소 운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주로 유전율식 계측 방식을 통해 지점 기반의 토양수분 자료를 생산하는데 그치고 있다. 최근 발사된 토양수분 위성인 SMAP (Soil Moisture Active Passive)을 비롯한 위성기반의 토양수분 자료와 융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점에서의 토양수분 네트워크가 우선적으로 구축되어야 하나, 관측소의 수도 부족할 뿐 아니라, 지형이 복잡하고 산지가 많은 한반도에서는 점 단위의 토양수분 자료의 공간적 대표성이 부족하여 활용에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영중인 지점 기반의 토양수분 관측소의 FDR (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TDR (Time Domain Reflectometry) 센서를 함께 활용하여 산악지형에서의 Cosmic-ray 기반 토양수분자료를 생산하고자 한다. 산악지형에서의 Cosmic-ray 센서는 토양 유기물과 식생 차단 등에 의한 영향이 많으므로 평지에서 토양수분을 산정하기 위한 교정 함수들의 비교 및 평가를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평지에서 활용되는 교정 함수들은 강우에 따른 토양수분의 거동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갑작스러운 강우로 인한 식생 차단과 토양 유기물의 영향이 커지는 경우 토양수분의 급격한 변동성을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산악지형에서 Cosmic-ray 센서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할 수 있으며, 추후 산악지형에서 지역 규모의 토양수분을 관측할 수 있는 관측소를 구축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patial Characteristics of Meteorological Data in Jeju Island (제주지역 기상자료의 공간특성 분석)

  • Lee, Jeong Eun;Lee, Jeongwoo;Kim, Chul Gyum;Chung, Il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75-375
    • /
    • 2021
  • 제주지역의 경우에는 지형학적으로 한라산을 중심으로 한 산악지형을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산악지형은 수문기상요소에 고도에 따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제주지역의 수문기상요소에 대한 산악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해안 저지대에서부터 중산간, 고지대에 이르기까지 관측지점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어야 한다. 제주 전역의 과거 운영되었거나, 현재 운영중인 기상관련 관측지점의 수는 125개에 이른다. 강수의 경우, 기상청(ASOS, AWS), 제주도 재난본부에서 관측하고 있으며, 강수 이외의 기상요소는 기상청에서 관측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전역의 기상관측지점에 대하여 강수량, 온도, 습도를 중심으로 제주지역의 산악효과 및 공간적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고도에 따른 기상요소의 정량적인 상관관계를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제주 전역에 걸친 수문기상요소들의 공간상관성 분석을 토대로 공간적인 분포특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Extraction and analysis of doppler frequency of wind turbines and effect on radar signals (산악지형에 설치된 풍력발전단지에 의한 도플러 주파수 추출 및 분석)

  • Jung, Joo-Ho;Kang, Ki-Bong;Kim, Min;Kim, Jeung-Yuen;Park, Sang-Ho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9
    • /
    • pp.947-952
    • /
    • 2015
  • To supplement energy needs and take advantage of renewable energy sources, many wind farms are currently being built in mountainous area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Korean government. However, operation of these wind farms can cause serious threats to national security due to Doppler modulation from the wind turbines causing interference with military radar operating in the vicin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hods to analyze the Doppler frequency during the operation of wind turbines and the effect on radar signals. Based on modeling of the mountainous region, blockage analysis, turbine motion and the radar signals, this paper proposes a signal processing method to extract and analyze the Doppler frequency. Simulation results showed the change of Doppler frequency over time caused by the geometry of the mountainous area and the wind turbine.

3D Terrain Analysis and Modeling for Double-Tract Railway Route of Forest Sites (산악지 복선 철도노선에서의 3차원지형분석 및 모델링)

  • Yeon, Sang-Ho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04.10a
    • /
    • pp.892-899
    • /
    • 2004
  • Recently remote sensing technology is applied for construction projects planning and design areas by use of remote sensed satellite images according to engineering application technology in the various experimental tasks. In this study, It was applied for 3 dimensional terrain analysis and basic design by comparing to present railway and new expand doble-tract railway route of forest sites on the new construction site of 15km at national railway lines,. and then showed 3-D perspective images and fly simulation images to possibility for various application as terrain analysis modeling and running simulation at the course. As a results of its applied, It gained the results not only improvement of present methods but also real various application possibilities.

  • PDF

Estimation of the Topographic Factor of Wind Speed Using GIS Information (GIS 정보를 이용한 풍속지형계수 산정)

  • Seong, Min-Ho;Choi, Se-Hyu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9 no.5
    • /
    • pp.47-52
    • /
    • 2011
  • Recently damage scale by local winds and typhoon has dramatically increased. Korea has the terrain over 70% of the land and the planning of the wind load is necessary to estimate reflecting appropriately the change of the wind-spe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terrain and in the Korean Building Code(2009), this is stated and it reflects to the design process. However, in order to estimate the topographic factor of the wind speed considering th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structure design actually, it has many difficult points including the local topographic survey, etc. In this paper, the Digital Elevation Model(DEM) is created using TIN interpolation method in the form of the digital map and then the interface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which can automatically estimate the topographic factor of wind speed by using ESRI(R)ArcObjectTM and the Visual Basic programing language. By applying it to the terrain which positioned in the downtown area, the practicality of the topographic factor of wind speed estimation interface was check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