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림 환경 구조

Search Result 41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Relationship between Breeding Bird Community and Forest Structure at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Hokkaido, Japan (일본 북해도 낙엽활엽수림의 산림환경구조와 번식 조류 군집과의 관계)

  • Lee, U S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19 no.4
    • /
    • pp.353-353
    • /
    • 1996
  • 이 연구는 1988년 5월 초순부터 6월 중순까지 일본 북해도 대학 토마코마이 연습림에서 산림시업에 의한 산림구조가 다른 두 지역에서 산림환경구조와 번식조류군집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지간의 차이를 밝히기 위한 정량적인 서식지분석과 조류군집을 평가하기 위한 세력권 도시법과 길드분석을 하였다. 우점수종은 신갈나무, 일본목련, 산벚나무, 고로쇠나무 등이었다. 임층의 피도는 상중층은 비간벌지가, 하층은 간벌지가 높았다. 조사지에서 34종의 조류가 관찰되었고 21종이 세력권을 확보하였다. 황금새, 산솔새, 박새, 섬참새, 동고비, 쇠박새가 우점종이었다. 조사지간에 번식조류의 종수는 동일하였으나 조류군집구성은 달랐다. 수동영소길드 조류 종수와 쌍수는 비간벌지에 많았으나, 지면영소길드 조류는 간벌지에서 많았다. 그리구 수관층영소길드는 조사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적정한 간벌과 같은 산림시업은 모든 산림조류에 부적당한 것이 아니고 관목, 지면 영소길드와 나무와 관목, 지면채이길드에 유리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 산림시업이 수동과 수관영소길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Spatio-temporal Change Detection of Forest Patches Due to the Recent Land Development in North Korea (북한 도시지역의 산림파편화 변화조사)

  • Kim, Sang-Wook;Park, Chong-Hwa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10 no.1
    • /
    • pp.39-47
    • /
    • 2001
  • 본 연구는 지리정보시스템 및 원격탐사기법을 응용하여 북한의 자연환경을 조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수행되었으며, 과거 약 20년 동안의 평양 및 남포지역의 산림면적의 변화 및 경관구조 변화측면에서의 산림 파편화 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자료로는 Landsat MSS 및 TM 영상의 NDVI값을 이용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피복분류를 위하여 변형된 Cluster-Busting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산림과 비산림지역으로 단순화시켜 분석하였다. 경관구조의 변화를 살피기 위해서 조각밀도, 형태 및 핵심내부지역의 면적 등의 경관지수(Landscape Indices)를 활용하였다. 분석과정을 거쳐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Cluster-busting 방법을 활용한 토지피복 분류결과 87.3%의 총 분류 정확도를 얻었으며, Binary Map을 이용한 변화감지(Change Detection)기법 또한 그 결과가 정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둘째, '79년에서 '98년에 이르는 기간동안, 평양의 경우 '79년 산림면적의 15%, 그리고 남포지역의 경우 14%가 감소하였다. 셋째, 경관지수를 이용하여 북한 산림의 파편화 변화를 조사한 결과 산림조각의 개수는 늘어나고 조각의 평균면적 및 핵심내부면적은 감소하였으며 조각크기의 다양성 또한 낮아졌다. 산림조각 형태지수 또한 매우 증가하였는데 이러한 결과들은 평양 및 남포지역의 산림조각이 파편화되고 그 형태 또한 불규칙적이며 복잡하게 변화하였음을 보여주고 있다.

  • PDF

Change of Plant Community after Road construction -Case Study on Seongsamjae Road in Chirisan National Park- (도로건설이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지리산국립공원 성삼재관통도로를 사례로-)

  • 김보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2
    • /
    • pp.127-138
    • /
    • 2000
  • 도로건설에 의한 식물생태계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도로로부터 산림 내부에 이르는 거리에 따른 식물군집구조의 변화, 비탈면에 도입한 외래종의 식생천이 및 확산현황, 귀화식물의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도로로부터 거리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가 도로건설로 인해 발생된 비탈면과 비탈면 끝지점에서 산림방향으로 10~20m 구간까지 종구성의 변화가 나타났다. 절개비탈면 급속녹화용으로 도입된 큰김의털(Tall Fescue) 경관 및 식물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토비탈면에 파종된 외래종들은 빗물이나 바람을 따라 산림 내부로 유입되어 햇빛이 잘 드는 계곡부나 산림 내부에 잔조하고 있어 식물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성삼재관통도로변에서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13과 35속 44종 1변종으로 45종류이었고 도로건설로 나지가 넓게 분포하는 곳이나 이용객이 집중되는 지역에서 출현종수 및 빈도가 높았다.

  • PDF

The Effect of the Recognition of Forest Ecosystem Services on Pro-Environmental Behavio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산림생태계서비스 인식이 친환경행동에 미치는 영향: 구조방정식 분석을 활용하여)

  • Jung, Youjin;Kim, Joon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11 no.2
    • /
    • pp.319-329
    • /
    • 2022
  •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 between the recognition of forest ecosystem services and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with personal environmental commitment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1 to 21, 2019, as an online survey by residents in Korea. 425(91.4%) of the total 465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insincere responses. Results showed that most respondents recognized forest ecosystem services as positive and recognition of forest ecosystem services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environmental commitment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Moreover, cultural services positively affected both constructs more than supply and control services. The most significant total effect was the path of 'cultural services-environmental commitment-pro-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 commitment is more effective in inducing the behavior than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o those who consider forest ecosystem services significant. Even if forest ecosystem services are recognized as important, those with experience of commitment to the natural environment would have more intention of pro-environmental behavior. In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hypothesized path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forest ecosystem services and the pro-environmental behavior and analyzed the antecedent factor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orest Community and Environment Factor of Nari Basin in Ulleung Island (울릉도 나리분지의 산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

  • Chung, Jae-Min;Yoon, Jun-Hyuck;Shin, Jae-Kwon;Moon, Hyun-Shik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3
    • /
    • pp.1-7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effectiv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forest community of Nari basin in Ulleung Island. Forest community in Nari basin was classified into Fagus engleriana community, Sorbus amurensis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Celtis jessoensis community and Alnus maximowiczii community. As the result of DCCA ordination analysis, sea level among environmental factors had high correlation with community distribution. Fagus engleriana community and Sorbus amurensis community correlated highly with aspect, Na content, and C/N ratio.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Celtis jessoensis community and the content of Ca and K. Alnus maximowiczii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site where CEC content is high.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site where the content of Ca and CEC is high.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 for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in Korea (서해안 방풍림의 식생구조 및 관리 방안)

  • Kim, Hyun-Jun;Jeong, Seong-Hun;Hwang, Chang-Hyuk;Kim, Hyun;Choi, Soo-Min;Lee, Sang-Hyun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6 no.1
    • /
    • pp.71-8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asic information about making windbreak forest around Saemanguem reclaimed lands by analyzing the vegetation structure of 8 windbreak forests along the west coast of Korea and considering the methods of structural improvement. The total plants existing in the study areas were 25 families 40genus 43 species, and every tree layer consisted of only one tree species, Pinus thunbergii. There were 2 windbreak stands consisted of a species, and 2 consisted of multiple layer with a species. While, 4 windbreak stands consist of various species with several species. To make ecological system and functions of windbreak forests stabler, TL, STL and SL should be together in the vertical point, moreover, TL should be appeared at the in side and SL should be planted at the out side in the horizontal point. It is considered that mixed stand forest might be suitable for increasing the windbreak forest's functions and decreasing damage caused by disease and insects.

Differences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Coniferous Forests of Mt. Namsan and Gwangneung Areas (남산과 광릉의 침엽수림에서 번식기 조류 군집의 차이)

  • Rhim, Shin-J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3
    • /
    • pp.332-337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differences in bird communities in breeding season between coniferous forests of Mt. Namsan and Gwangneung areas from April to August 2006. We chose a study site of 10ha in size for territory mapping of breeding bird community in each are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BH distribution of trees and average foliage profiles between both study areas. Number of breeding species and pairs, breeding density, and bird species diversity were higher in Gwangneung area than in Mt. Namsan area. Number of bird species and breeding pairs belonged to hole and canopy guild were different between both study areas. The difference in breeding bird communities between both study areas may be related with forest structure.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birds, greater structural complexity would be needed in Mt. Namsan area.

The analysis of damag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caused by the Forest fire on Ul-ju (울주 산불피해 시설물들의 산림환경 특성분석)

  • Yeom, Chan-Ho;Lee, Si-Yeong;Gwon, Chun-Geun;Park, Heu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3.11a
    • /
    • pp.210-210
    • /
    • 2013
  • 본 연구는 산림 내 시설물의 산림환경 특성 분석을 위하여 2013년 3월 9일부터 10일 이틀 동안 280ha의 산림 피해면적과 57동의 시설물 피해를 준 울주산불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물은 주택 15개소, 비닐하우스 1개소, 축사3개소 등 총 19개소에 대하여 2013년 3월부터 5월까지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항목은 시설물의 입지여건, 임상분포, 주변 산불인자, 시설물 외벽구조제, 산불 등 화재진화를 위한 소방시설 여부, 기타 산불 등 화재방지를 위한 시설, 보호시설과 산림과의 거리 등 총 7개 항목을 작성하여 피해시설물 및 미피해시설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입지여건의 경우 피해시설물과 미피해시설물은 1~2개의 진 출입로를 갖고 있었고, 도로 폭은 7m 내외로 비슷한 여건이었다. 주변 임상은 침엽수, 임분 밀도는 중, 밀임분이었다. 비가연성 외벽구조제는 피해시설물 보다 미피해시설물에 많았고, 피해시설물과 미피해시설물의 시설물 주변 가연물질 관리상태는 모두 양호하였다. 반면, 급수시설 및 스프링클러, 방화선, 방화벽 등 소방시설 및 화재방지 시설은 미피해시설물이 피해시설물보다 더 많이 구축되어 있었고, 산림과의 이격거리는 피해시설물 평균 20m, 미피해시설물 평균 25m로 조사되었다.

  • PDF

도시해안림의 변용메카니즘에 대한 연구

  • 박구원;정상보;산내유미자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77-81
    • /
    • 2003
  • 1)일본에서 해안림은 강풍, 비사로부터 경작지를 보호하기 위해 조성되었고. 그의 기능은 해안방풍림.입회림 $\rightarrow$레크레이션임 $\rightarrow$생활환경림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관리문제는 초기 입회의 권리문제로부터 이용의 제어문제로, 그리고 최근에는 쓰레기, 방화, 청소년범죄 등의 사회문제로, 그의 중심이 이동하고 있다. 2)이러한 입회적 이용과 해안흑송림의 식생변화(광엽수화)와는 그의 관련성이 높다는 의문이 제기되어온 것에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입회적 이용이 소멸(부영양화)되는 것에 따라 해안흑송림의 천이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 입증된다. 3)그리고, 현재 문제시되고 있는 쓰레기, 화제, 범죄 등의 관리문제는 이러한 식생변화와 매우 큰 관련성(밀폐된 산림구조에서 관리문제가 큼)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4)이상에서 보면, 전체적으로는 해안흑송림의 변용에는, 이용의 변화가 산림의 식생변화를 부르고, 다시 이러한 밀폐된 산림구조가 새로운 관리문제(쓰레기. 범죄, 방화 등)를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이 자리 잡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The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Step-pool Structures in a Steep Mountain Stream, Chuncheon, Gangwon-do (강원도 춘천시 근교의 산지계류에 형성된 계단상 하상구조의 특징)

  • Kim, Suk Woo;Chun, Kun Woo;Park, Chong Min;Nam, Soo Youn;Lim, Young Hyup;Kim, Young S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0 no.2
    • /
    • pp.202-211
    • /
    • 2011
  • The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step-pool structures and how they are influenced by channel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in a steep mountain stream in the Experimental Forests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Chuncheon, Gangwon-do. Average values of steps for the study reaches were as follows: step spacing, 4.69 m; step height, 0.47 m; step drop, 0.71 m; step-forming particle sizes, 0.68 m; number, 21steps/ 100 m; the ratio of step spacing to channel width, 0.5; and step steepness, 0.13. Relationships between spacing and height of steps and channel gradient showed a negative- and positive correlation, respectively, whereas all geometric variables of steps manifested poor correlation with channel width. Therefore, step steepness, expressed as the ratio of step height to step spacing, increased as channel gradient increased. The ratio of step steepness to channel gradient representing the criterion of maximum flow resistance was 1.2, indicating the channel bed's stable condition.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step drop to step height and channel gradi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suggesting the influence of step-pool geometry in trapping sediment and providing an aquatic habitat. Positive correlations also exist between spacing and drop of steps and step particles.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dynamics of step-pool structures may strongly control physical and ecological environments in steep mountain streams, so understanding them is essential for stream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