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림복원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29초

생태 복원을 위한 서울근교의 삼림 토양 입자 크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il Particle Size in Mountains of Seoul Vicinity for Forest Restoration)

  • 김재근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6호
    • /
    • pp.1-8
    • /
    • 2002
  • 서울근교에 존재하는 소나무림은 낙엽활엽수림으로 바뀌고 있다. 그러므로 서울근교의 산림에 대한 조사는 자연 식생형 산림 특히 소나무 복원에 그 시사점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근교에 존재하는 8개 산의 15개 지소를 선정하여 그곳에 존재하는 식생형을 파악하고, 토양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여 산림 복원 시 고려할 토양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8개 산에서 선정된 15개 조사지소는 소나무군락,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으로 나누어 물리적 토양 특성을 조사하였다. 소나무의 평균 중요치는 소나무군락에서 137이었으며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에서는 8이었다. 평균 바위분포 면적-토양 깊이-경사는 소나무군락에서 26-22-31,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에서 7-53-32, 낙엽활엽수군락에서 14%-34cm-$28^{\circ}$로 나타났다. 소나무군락, 소나무-낙엽활엽수군락, 낙엽활엽수군락의 임상 및 토양에 존재하는 총 유기물량은 각각 2490, 1757, and $2107g/m^2$로 조사되었다. L층에서의 유기물량은 모든 군락 유형에서 비슷하였으나, F층과 H층에서는 매우 다르게 나타났다 : F층은 소나무군락에서 가장 발달하였고 H층은 낙엽활엽수군락에서 가장 발달하였다. 통계처리 결과는 바위분포 면적, 고도, 경사, 사면은 군락의 유형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토양의 깊이, 자갈의 함량, 세사와 미사의 함량은 군락의 유형에 따라 다름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소나무군락의 토양이 자갈과 세사의 높은 함량과 관련이 있으며, 이에 따라 H층의 발달이 미약하게 나타남을 보여 주었다. 그러므로 2-10mm의 자갈이 40% 이상되는 장소에는 분해가 덜된 유기물과 소나무를 사용할 때 복원의 성공가능성이 높으며, 자갈의 함량이 30% 이하이며 모래의 함량이 50% 이상인 장소에는 분해된 유기물의 함량을 높이고 낙엽활엽수를 이용하는 것이 복원성공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원격탐사기술을 이용한 절편화된 산림 연결 생태통로 위치 파악 (Identifying Eco-corridor Location for Reconnecting Freagmented Forests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 안승만;이규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1-8
    • /
    • 2003
  • 산림의 절편화 및 마식은 단순한 녹지면직의 축소만이 아니라 아생동물의 이동통로 단절로 인한 서식시 축소 및 니아가서는 소멸을 초래한다. 이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생태통로를 조성하는 작업이 수행되고 있으며 이는 목표종의 신정 및 적절한 위치 선정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와 그 주변을 대상으로 지난 50년 동안 인간 활동에 의해 절편화된 녹지를 파악하고자 원격탐사(RS) 자료를 이용하였다. Landsat MSS(30m)나 TM(79m)과 같은 중저해상도 위성영상으로는 절편화를 야기하는 산림 절편화 및 마식 파악이 어려워 본연구에서는 발행한 수치지도 및 수치토지이용도를 이용하여 1954년, 2000년 각각의 삼림분포도를 작성하였다. 현지 확인 및 수정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생성된 자료를 근거로 산림 절편화 및 마식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기술 및 평가하였고 녹지(patch)의 크기와 현장 조사한 야생동물서 식도를 바탕으로 생태통로의 위치를 도출하였다.

폐탄광 산림복원지와 자연식생지의 탄소저장량 비교 (Comparison of Carbon Storage between Forest Restoration of Abandoned Coal Mine and Natural Vegetation Lands)

  • 김소진;정유경;박기형;김주은;배정현;강원석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3-46
    • /
    • 2023
  • In this study, carbon storage in the aboveground biomass, litter layer, and soil layer was calculated for abandoned mining restoration areas to determine the level of carbon storage after the restoration project through comparison with the ecological reference. Five survey sites were selected for each abandoned mining restoration area in Boryeong-si, Chungcheongnam-do, and the ecological reference that can be a goal and model for the restoration project. The carbon storage in the restoration area was 0~21.3Mg C ha-1, the deciduous layer 3.3~6.0Mg C ha-1, and the soil layer(0-30cm) 8.3~35.1Mg C ha-1,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arbon storage by target site. The total carbon storage was between 6.1 and 35.3% of the ecological reference, with restoration area ranging from 14.0 to 62.4 Mg C ha-1. The total carbon storage in the restoration area and the ecological reference differed the most in the aboveground biomass and was less than 12%. Based on these results, forest restoration area need to improve the carbon storage of forests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and monitoring so trees can grow and restore productivity in the early stages of the restoration proj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preparing future forest restoration indicators by identifying the storage of abandoned mining restoration areas.

End-Member Mixing Analysis를 이용한 산림 소유역의 임상별 유출분리 비교 (Comparing of Hydrograph Separation in deciduous and coniferous catchments using the End-Member Mixing Analysis)

  • 김수진;최형태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7-85
    • /
    • 2016
  •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runoff discharge processes between Gwangneung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catchments, we collected hydrological data (e.g., precipitation, soil moisture, runoff discharge) and conducted hydrochemical analyses in the deciduous and coniferous forest catchments in Gwangneung National Arboretum in the northwest part of South Korea. Based on the end-member mixing analysis of the three storm events during the summer monsoon in 2005, the hillslope runoff in the deciduous forest catchment was higher 20% than the coniferousforest catchment during the firststorm event. Howerver, hillslope runoff increased from the second storm event in the coniferous catchment. We conclude that low soil water contents and topographical gradient characteristics highly influence runoff in the coniferous forest catchment during the first storm events. In general, coniferous forests are shown high interception loss and low soil moisture compared to the deciduous forests. It may also be more likely to be a reduction in soil porosity development when artificial coniferous forests reduced soil biodiversity. The forest soil porosity is an important indicator to determine the water recharge of the forest.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water resources, it should be managed coniferous forests for improving soil biodiversity and porosity.

산불이 난 산림에서의 개미군집: 회복과정과 복원방법 (Ant Assemblages in a Burned Forest in South Korea: Recovery Process and Restoration Method)

  • 권태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27-333
    • /
    • 2015
  • 산불 후에 일어나는 개미군집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산불이 난 산림에서 자연적으로 식생복원이 이루어진 곳, 인위적으로 조림한 곳, 산불이 나지 않은 곳의 3개 조사지에서 2005년부터 8년간 함정트랩으로 개미를 조사하였다. 모두 24종이 채집되었고 스미스개미(Nylanderia flavipes)가 가장 풍부하였다. 산림을 선호하는 개미종(예, 일본장다리개미, 민냄새개미, 노랑잘록개미)들은 산불이 나지 않은 조사지와 자연적으로 식생이 복원되는 조사지에서 많이 발생한 반면, 개활지를 선호하는 종(예, 곰개미, 일본왕개미, 주름개미)들은 인위적으로 조림된 곳에서 많이 나타났다. 다변량분석 결과는 인위적으로 조림된 곳이 자연적으로 식생이 복원된 곳 보다 개미군집이 산불 후에 더 많이 달라지는 것을 보여준다. 자연 복원된 조사지에서는 개미군집이 산불이 난 5-6년후에 산불 이전으로 회복되는 데 비해, 인공복원된 조사지에서는 회복에 약 25년이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서울시 둔촌동 습지 생태계보전지역 모니터링 및 생태적 복원구상 (The Monitoring and Ecological Restoration Concept of Ecosystem Conservation Area in Dunchon, Seoul)

  • 한봉호;김정호;홍석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42-257
    • /
    • 2003
  • 본 연구는 생태계보전지역인 둔촌동습지의 모니터링을 통한 생태적 복원 및 보전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모니터링 기준으로는 항목, 방법, 시기, 횟수 등을 설정하였다. 모니터링 기준에 따라 조사한 결과 식물생태분야에서 대상지내 식물종은 총 39과 116종 19변종 1품종으로 총 132종류가 출현하였고 이중 자생종은 85종, 외래종은 47종이었다. 월별(4∼9월) 현존식생 모니터링 결과 습지성 초본식물군락 세력이 증가추세이었고 특히 고마리군락의 세력이 왕성해졌다. 아울러 기존 경작지를 중심으로 천이초기식물과 귀화식물의 출현빈도가 높았다. 동물생태분야에서 야생조류는 34종 378개체, 양서류는 4종 5개체, 곤충류는 11목 52과 153종이 조사되었다. 무기환경분야에서는 지하수위. 수질. 토양특성을 분석하였는데 이중 지하수위는 0.0∼89.0cm이었고 토양에서는 Ca++의 함량이 2.18∼13.73cmol/kg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구대상지 생태적 복원구상을 습지생태계 복원구상. 용출지 복원구상. 산림생태계 복원구상으로 구분하여 기본방향과 각 공간별 세부계획을 제시하였다. 습지생태계 복원구상에서는 기존 습지지역의 보전과 경작지로 활용되던 습지지역의 복원구상을 수립하였으며, 용출지복원구상에서는 용출지 및 진입부의 복원을 수립하였고 산림생태계 복원구상에서는 건조성 산림 생태계와 습지성산림생태계의 복원 및 주연부지역의 야생조류 서식처 계획을 수립하였다.

산림소유역 유출수의 비강우일 비점오염물질 농도 변화 및 유출 특성 분석 (Changes in temporal and spatial stream water concentrations and analysis on nonpoint source runoff in forested watersheds on non rainfall days)

  • 유현주;최형태;김재훈;임홍근;양현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37-149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monthly runoff concentration on non rainfall days in order to prepare basic data to compare the runoff concentration on rainfall days in 7 forest watersheds in the Republic of Korea. Forest stream water has been collected through 15 times of sampling in each watersh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nges in concentration of Biochemical Oxygen Demand(BOD), Chemical Oxygen Demand(COD), Total Organic Carbon(TOC),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orus(TP). The average concentration was 0.8 mg/L for BOD, 1.4 mg/L for COD, 0.8 mg/L for TOC, 1.85 mg/L for TN and 0.002 mg/L for TP during non rainfall days. Coniferous forested watersheds showed higher value of TN and TP concentration. Concentrations of BOD and TP in early March (p<0.01) were affected by melt water flow input in spring season.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in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BOD and TOC, indicating seasonal rainfall and vegetation growth impacts on forest stream quality. Concentration of TN and T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weak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concentration of BOD and TOC. It is expected that result of forest stream water on non rainfall days could be basic information in managing non-point source from forest watersheds.

황폐계류 복원지의 식생변화 단기 모니터링 (Two years Monitoring of Vegetation Change in Torrential Stream Restoration Site)

  • 이헌호;이주형;박기영;장지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240-247
    • /
    • 2014
  • 본 연구는 황폐계류 복원지의 식생변화에 대한 시계열 분석을 통하여 복원기법 및 효과에 대해 고찰하고자 수행 되었으며, 수질정화습지와 월류보, 수생식물 복원지에서 복원 전, 후 식생변화를 2년간 모니터링 하였다. 복원 1년 후 월류보에서 초본류 증가와 수질정화습지에서 줄풀의 피복도 증가가 조사되었다. 식생 피복률은 복원직후 10~30% 감소되었고, 복원 1년 후 복원 전 수준으로 조사 되었다. 황폐계류 복원지의 식생변화는 복원 후 1년 경과시점부터 서식종수, 귀화률, 피복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층층나무의 오존 내성 개체 선발 (Selection of Ozone Tolerant Individuals of Cornus controversa Hemsl..)

  • 장석성;이재천;한심희;김홍은
    • 한국농림기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림기상학회 2002년도 추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01-105
    • /
    • 2002
  • 다양한 오염물질들은 산림유전자원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산림쇠퇴에도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각종 오염물질로부터의 산림유전자원의 감소를 방지하고 훼손된 산림을 복원하기 위해서는 오염물질에 대한 내성을 지닌 유전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층층나무는 다양한 용도 개발이 기대되는 경제수종으로, 그 가운데 경관 수종으로서 용도 개발이 유망한데, 층층나무가 대기오염이 심각한 도심지 등에 조경수로 심겨지기 위해서는 대기오염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개체를 선발하여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