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란주기

Search Result 24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동해 원산 연안 대복, Gomphina (Macridiscus) veneriformis (LAMARCK, 1818) 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Gomphina (Macridiscus) veneriformis (Lamarck, 1818) in the Wonsan coast of East Sea)

  • 김창수;안정은;최종덕;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3-40
    • /
    • 2014
  • 본 조사는 2006년 2월부터 2007년 1월까지 12개월에 걸쳐 북한 원산 연안에서 형망에 의해 어획되어 주문진 검역소로 수입되어지는 대복을 실험에 사용하였다. 총 표본수는 3,899개체였고, 비만도를 통하여 추정한 대복의 산란기는 7-8월이며, 주산란기는 8월로 조사되었다. 대복의 패각에 나타난 윤문은 연 1회 형성되는 주기성 윤문으로, 주 윤문형성시기는 7월로 조사되어, 산란 후 초륜이 형성되기까지의 기간은 약 11개월 (0.92년) 로 나타났다. 대복의 상대성장식은 다음과 같다. SH = 0.7405 SL + 0.2227 ($R^2$ = 0.9671) SW = 0.3657 SL + 0.4253 ($R^2$ = 0.922) $$TW=0.4274{\times}10^{-3}{\times}SL^{2.7876}$$ ($R^2$ = 0.9591) 대복의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다음 식을 통해 나타낼 수 있었다. $$SL_t=70.80(1-e^{-0.217(t+0.367)})$$ $$TW_t=(1-e^{-0.217(t+0.367)})^{2.7876}$$

기상조건에 따른 온실의 전천일사량 및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상관관계 및 투과율 (Relationship between Total Solar Radiation and PPF, and Transmittance in Greenhouse at Different Weather Conditions)

  • 이현우;이석건;이상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6-60
    • /
    • 2002
  • 온실의 경우 구조재가 광투과율에 많은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기상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산란광과 직달광의 비율에 따라 투과율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기상조건에 따른 온실내부의 광투과율을 구명할 필요가있다. 전천일사량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기상자료에서 쉽게 얻을 수가 있는 반면에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자료는 직접 측정하지 않고는 구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전천일사량과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상관관계가 얻어지면 전천일사량으로부터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을 쉽게 구할 수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온실에 대하여 기상조건에 따라 광합성유효광양자속을 산정할 수 있는 상관식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하여 온실의 수관부에서의 기상조건에 따른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투과율을 산정하고 전천일사와 광합성 유효광량자속과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란광이 많은 흐린 날과 직달광이 많은 맑은날의 투과율 변화는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온실의 투과율은 기상조건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온실의 전천일사량 투과율을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투과량을 산정하는데 그대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록 맑은 날에 비하여 흐린 날의 상관도는 낮지만 상관식의 기울기는 큰 것으로 나타나 운량의 증가와 더불어 전천일사량 중에서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간당 광합성유효광량자속과 전천일사량의 상관식을 유도하였으며, 이러한 상관식을 이용한다면 시간당 전천일사량을 이용하여 시간당 광합성유효광량자속을 추정하는데 적절히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꺽지 Coreoperca herzi (농어목 꺽지과)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of the Korean Perch, Coreoperca herzi (Perciformes: Centropomidae))

  • 임상구;김계원;정규화;한창희;강기영;김정우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61-268
    • /
    • 2011
  • 꺽지, Coreoperca herzi의 생식 년주기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4년 7월부터 1996년 4월까지 경남 산청군 경호강에서 실험어를 채집하여 수온, 일장, GSI, HSI, 생식소의 조직학적 조사 및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농도변화를 조사하였다. GSI는 2월부터 급격히 상승하여 4월에 최대치를 나타내고 5월까지 높은 값을 유지하다가 하강하기 시작하여 8월에 최저값을 나타내었다. 혈중 E2, testosterone의 혈중 스테로이드 호르몬 농도는 GSI의 변화와 유사한 양상을 나타냈다. 방란, 방정 후 난소 소낭 내에서는 짧은 퇴화기가 관찰되며, 어린 난모세포가 계속 성장하여 난황합성 전기의 상태에서 저수온기에 휴지기 상태로 월동하여 이듬해 수온 상승기에 일제히 성장한다. 정소 역시 짧은 퇴화기(7월)와 오랜 휴지기(10~2월)를 가진다. 본 종의 생식 년주기는 성장 및 성숙기(2월~4월 초순), 완숙 및 산란기(4월 하순~6월 초순), 퇴화 및 정체기(7~8월), 회복기 (9월~11월 초순), 휴지기 (12월~1월)로 나누어지며 주 산란기는 5월이었다.

해산동물의 초기생활사에 관한 연구 3. 자주새우, Crangon affinis의 성성숙 (Early Life History of the Marine Animals' 3. On the Maturity of Crangon affinis)

  • 이택열;안철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42-350
    • /
    • 1989
  • 낙동강 하구지역에 서식하는 자주새우를 대상으로 1988년 6월부터 1989년 5월까지 성성숙과 산란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난소는 두흉부의 심장 하방에 위치하며 심장을 중심으로 전방은 촉각동맥 및 안동맥을 둘러싸고 둥글게 융합되어 있고, 후방은 1쌍의 관상으로 복부 2마디까지 뻗혀있다. 정소는 심장직하에 위치하며 심장을 중심으로 전방은 관상으로 곡정관의 형태를 취하고 있으며 후방은 1쌍의 관상의 형태를 띠고 있고, 이곳으로부터 연결된 저정낭이 제5흉지에 개구되어 있다. 2. 난자 및 정자의 배우자형성은 계절과 관계없이 단기간에 반복되고 있으며, 생식소상피의 전 구역에서 동시에 이루어지고 있다. 완숙난의 장경은 $430{\mu}m$ 전후이고, 변태된 정자는 두부 핵질이 뚜렷한 타원형의 구조를 나타낸다. 3. 생식주기는 약 40일을 간격으로 단주기성이며, 11월을 전후한 동계를 제외하고는 주년 산란종이다. 4. 포란된 난의 부화기간은 수온 $21^{\circ}C\~24^{\circ}C$의 실내사육에서 $12\~14$일이 소요되었다. 5. 포란된 개체의 평균 부화유생수는 1,602마리였고, 전장 32mm에서 1,372마리, 38.2개개에서 1,650마리였다.

  • PDF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난소 발달에 따른 혈중 Estradiol-17β 변동 (Profile of Plasma Estradiol-17β According to Ovarian Development of the Pike Eel, Muraenesox cinereus)

  • 김대중;김이청;손맹현;이정의;손상규;한창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2호
    • /
    • pp.1851-1854
    • /
    • 2009
  • 본 연구는 통영 해역에서 채집되어진 갯장어, Muraenesox cinereus의 생식년주기에 있어서 난소 발달과 생식소중량지수 (gonadosomatic index; GSI) 변화에 따른 혈중 estradiol- $17{\beta}$ ($E_2$) 농도 변화를 서로 연관시켜 조사하였다. 난소 성숙도는 조직학적 관찰을 기초로 주변인기(11월-2월), 유구기(3월-4월), 초기 난황형성기(4월-5월) 및 후기 난황형성기(6월-10월)로 나 눌 수 있었다. GSI의 계절적 변화는 수온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난소의 성숙 정도에 영향을 미쳤다. 혈중 $E_2$ 농도는 GSI 변화와 관련이 있어 4월에 증가하여 7월에 년중 최고치에 도달하였고 10월까지 비교적 높은 농도로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GSI와 혈중 $E_2$ 농도 변화는 갯장어 난소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산란기의 암컷 갯장어를 채집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이유로 산란기의 개체는 외해의 심해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계란의 콜레스테롤 함량 조절 기술에 관한 고찰 (A Review on Controlling Technology of Cholesterol Contents in Eggs and Egg Products)

  • 이복희;유익종;강통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217-231
    • /
    • 1993
  • 콜레스테롤의 섭취와 심장질환과의 밀접한 상관관계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도가 첨차로 높아지면서, 계란과 같이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높은 식품으로부터 콜레스테롤을 제거한 저콜레스테롤 계란이나 무콜레스테롤 계란에 대한 요구는 자연발생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다. 저콜레스테롤 계란을 생산하는 데는 두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방법은 닭으로부터 콜레스테롤 함량이 낮은 계란을 직접 생산하는 것이다. 이것은 닭의 사료 조성을 변화시키거나 콜레스테롤의 흡수, 배설 및 합성과정을 저해시키는 약물을 닭에게 투여한다든지 혹은 닭의 품종이나 계통을 유전적으로 선발, 개량하거나 닭의 산란주기, 나이, 계란의 크기 등을 관리함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일반란에 흡착제, 식물성 기름, 효소, 용매 및 초임계액체 등을 직접 처리함으로서 저콜레스테롤 계란을 생산하는 것이다. 이들 방법은 제각기 장단점을 지니고 있어서 최우선의 한가지 방법만을 선택하기는 어렵다. 즉, 사양학적 방법에 따른 저콜레스테롤 계란의 생산은 그 생산방법이 매우 노동집약적이며, 콜레스테롤의 제거율(30∼50%)도 두 번째 방법(80∼90%)에 비해 상당히 낮은 편이다. 반면에 두 번째 방법에 의한 저콜레스테롤의 생산법은 제거율이 매우 높은 편이나, 일부 방법은 인체에 안정성의 문제와 관능적 품질이 매우 저조해지는 단점이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따라서 가까운 장래에 이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 보강된 저콜레스테롤 계란 및 계란 제품의 생산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구름레이더를 이용한 대기 공기의 연직속도 추정연구 (Study on the Retrieval of Vertical Air Motion from the Surface-Based and Airborne Cloud Radar)

  • 정은실
    • 대기
    • /
    • 제29권1호
    • /
    • pp.105-112
    • /
    • 2019
  • 대기 중에 지름이 약 1.68 mm 이상인 물방울이 존재하는 경우, 연직방향으로 주사하는 구름레이더에서 미(Mie) 기법을 사용하여 공기의 연직속도를 구할 수 있다. 이 리뷰논문에서는 강수가 있는 작은 적운 구름에서 구름레이더를 사용하여 공기의 연직속도를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정리하였다. 공기의 연직속도는 첫 번째 미(Mie) 최소치가 이론적으로 가지는 낙하속도와 스펙트럼상에서 첫 번째 미(Mie) 최소치가 실제로 관측된 시선속도와의 차이로 추정할 수 있다. 구름레이더가 항공기에 탑재된 경우에는, 항공기의 운동 및 자세각이, 관측된 도플러속도의 연직성분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 항들을 보정하여 공기의 연직속도를 구할 수 있다. 항공용 도플러 레이더의 경우, 미(Mie)기법으로 구한 공기의 연직속도는 구름입자로부터 직접 후방산란 되어 관측된 연직속도 및 항공기 운항시스템으로부터 구한 연직속도와 잘 일치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구름 레이더로부터 미(Mie) 산란 특징을 이용하여 연직속도를 추정하는 이 기술은 강수 및 비강수 구름시스템에서의 연직속도장 매핑(mapping)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고도에서의 항공기 관측을 통하여, 연직속도의 총체적인 구조뿐 만 아니라 폭풍우의 성장, 발달, 소멸 주기(life cycle)를 재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회사와 다국적기업 제조 ELISA 키트의 전염성 기관지염 백신에 따른 항체 검출능 비교 (Development of Infectious Bronchitis Virus (IBV) ELISA Kit for Detection of Antibodies against Nephropathogenic IBV Vaccine)

  • 김규직;김준영;윤하나;주효선;이다예;송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7-28
    • /
    • 2018
  • 전염성기관지염은 전세계적으로 양계산업에 문제시되고 있는 질병으로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Dhama et al., 2014). 본 연구는 전염성기관지염 백신을 진행한 여러 계군의 혈청을 수집해 국내회사와 다국적기업에서 제조한 ELISA 키트의 검출능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육용원종계부터 산란계까지 총 35개의 계군으로부터 주기적인 채혈을 통해 얻어진 혈청을 사용해 두 가지 키트의 검출능 비교시험을 진행한 결과, 국내회사에서 제조된 ELISA 키트가 더 높은 항체가를 나타냈으며, 이는 미량의 항체도 국내회사 제조 키트를 사용하게 되면 더욱 민감하게 검출될 수 있으며, 농장의 상황 판단에 더욱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비추어 보았을 때,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전염성기관지염에 맞춰 제작된 국내회사 제조 키트가 더 검출능이 뛰어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기적인 혈청을 이용한 항체가 검사 결과 전염성기관지염 백신 후 항체가 변화 추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담수산 진주패 뻘조개, Anodonta(Sinanodonta) woodiana(Lea)의 생식주기 및 임란기 (REPRODUCTIVE CYCLE AND BREEDING SEASON OF THE FRESHWATER CLAM, ANDONTA (SINANODONTA) WOODIANA(LEA))

  • 정의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35-144
    • /
    • 1980
  • 우리나라 낙동강 하류에 서식하는 뻘조개, Anodonta (Sinanodonta) woodiana의 생식소발달 과정 및 생식주기 그리고 임란기 등을 조사하였다. 1. 생식소는 내장낭의 간중사선 하방으로부터 족부의 외벽근층내에 있는 섬유성 망상결제조직까지 분포되어 있다. 난소는 많은 난소소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소낭의 내공상피가 생식상피 기능을 하고 있다. 2. 초기난소 몇 정소의 생식상피상에는 호산성 과립세포와 부분화 간충조직들이 풍부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들은 생식소 발달과 함께 그 량이 감소하고 있다. 3. 산란은 고수온기인 8월과 9월을 제외하고 년중 일어나고 있는데 1월에서 3월과, 6월에서 7월의 2회에 걸쳐 성기를 나타내고 있다. 4. 보육낭내에 trochophore 유생을 임란한 개체는 8월과 9월을 제외하고 년중 나타났으며 glochidia 유생을 임란한 개체는 9월을 제외하고 연중 나타났는데, 5월이 $72.7\%$ 년중 가장 높은 임란율을 나타내고 있다.

  • PDF

농어목 어류, Caesio diagramma 암컷의 생식주기 (Reproductive Cycle in Female Fusilier, Caesio diagramma)

  • 최철영;장영진;죽촌명양;고야화칙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3-81
    • /
    • 1996
  • 농어목 어류인 Caesio diagramma의 생식주기를 밝히기 위하여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을 조직학적 방법으로 관찰하였다. 난모세포의 발달과정은 염색인기, 주변인기, 유구기, 제1차 난황구기, 제2차 난황구기 및 제3차 난황구기의 6단계로 구분되었다. 염색인기와 주변인기의 난모세포는 연중 관찰되었으며, 난모세포 발달과정에서의 특징은 난소 내에서 유구가 초기에 형성되며, PAS 염색 결과 난황포는 타어류에 비하여 크기가 작았고 양도 적었다. 4월에 채집된 어류의 난소에서는 난황 형성기의 난모세포가 출현하기 시작하였다. $5\~6$월의 난소에서는 제3차 난황구기 난모세포가 관찰되었으며, 연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또한, 이 시기부터 난소의 일부에서는 배란을 마친 여포와 퇴화중인 난모세포도 다수 관찰되었으며, 7월까지 이어졌다. 9월 이후의 난소에서는 난황 형성기의 난모세포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12월까지 염색인기 및 주변인기의 난모세포가 주류를 이루었다. 생식소중량지수(GSI)와 간중량지수(HSI)는 4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하여, $5\~6$월에 최고치에 도달하였으며 GSI와 HSI의 변화는 난모세포의 발달과정과 일치하였다. 따라서 C. diagramma의 주산란기는 $5\~6$월이며, 난소의 발달과정과 여러 형태의 여포가 존재하는 점으로 미루어, 본 종은 비동기발달형의 난소를 가지며 다회산란 어류에 속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