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국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1초

감국(Dendranthema indicum (L.) Des Moul.) 및 산국(D. boreale (Makino) Ling ex Kitam.)의 종판별 분자마커 개발 (Development of molecular marker for species authentication of Dendranthema indicum (L.) Des Moul. and D.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 변지희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6-66
    • /
    • 2018
  • 국화과(Compositae) 다년생 초본인 산국속(Dendranthema)은 국내 약 13여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감국(D. indicum (L.) Des Moul.)과 산국(D.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구절초(D.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가 주로 차 또는 한약재 등의 원료로 이용되고 있다. 차로 이용되는 꽃은 산국이 감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서 구분이 가능하지만 시중에는 건조된 형태로 가공 유통되므로 육안으로 구분이 쉽지 않고, 산국 유래 제품들은 국내에서 감국 또는 국화로 혼용해서 표기되어 유통되고 있어 그 기원을 명확히 정립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감국과 산국의 분자유전학적 판별을 위해 DNA 바코드 후보 유전자를 활용하여 염기서열분석으로 확보된 SNP 및 InDel 정보를 바탕으로 CAPS 마커를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감국과 산국 모두 trnL-trnF intergenic spacer 구간에서 약 1kb의 PCR 산물이 확인되었고, 이들 염기서열에서 분석한 2 SNP 및 3 InDel을 대상으로 CAPS 마커 개발을 위한 제한효소 사이트를 탐색하였다. Gap을 포함한 774bp (감국/산국=A/G) 위치의 SNP에서 BstUI(GC^GC)처리로 CAPS 마커로 전환 가능함이 확인되었고, 이에 감국과 산국의 PCR 산물에 제한효소를 처리한 결과, 제한효소 인식 사이트가 존재하는 산국에서 두 개의 DNA 단편이 확인되었다. 위 결과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 유통되는 감국과 산국의 판별을 위한 마커로 활용될 수 있으며, 본 연구에 활용된 기술은 추후 건강기능식품 개발을 위한 원료표준화 확립 연구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미생물의 생육억제에 대한 국화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Chrysanthemum Petals on the Growth Inhibition of Microorganisms)

  • 정용진;이명희;이기동;박난영;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99-304
    • /
    • 1998
  • 전통민속주 제조에 널리 사용되어온 국화꽃잎에서 에탄올 추출하여 식품부패에 관련된 미생물을 대상으로 항균활성을 검색하고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항균활성과 최저 생육저해 농도를 조사하였다. 국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산국이 B. subtilis에 대해 항균활성이 높게 나타난 반면, 소국은 E.coli에 대한 항균활성이 산국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8종의 부패균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산국이 소국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며, 산국 에탄올추출물의 최소저해농도는 60-70${\mu}\ell$/ml로 나타났다. 산국 에탄올추출물은 그람양성세균에서 보다 그람음성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이 다소 높았으나, 100${\mu}\ell$ 농도에서는 그람음성 및 양성 세균 모두 생육이 크게 저해되었다. 따라서 전통민속주의 보존효과 측면에서 산국 에탄올추출물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지칭개, 구절초 및 산국에서 분리한 Sesquiterpene lactones의 항균활성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esquiterpene Lactones Isolated from Hemisteptia lyrata, Chrysanthemum zawadskii and Chrysanthemum boreale)

  • 장대식;박기훈;이종록;하태정;박윤배;남상해;양민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176-179
    • /
    • 1999
  • 지칭개, 구절초 및 산국에서 분리한 9종류의 sesquiterpene lactones에 대한 생리활성 실험의 일환으로, 10종의 세균에 대한 항세균활성과 6종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항진균활성을 조사하였다. 항세균 활성실험에서는 지칭개에서 분리한 hemistepsin A와 B 그리고 산국에서 분리한 tulipinolide가 시험균주 전반에 대하여 강한 활성을 보였으며, 항진균 활성실험에서는 hemistepsin B, angeloylcumambrin B, tigloylcumambrin B, 그리고 costunolide가 광범위한 활성을 보였다. 또한, 항세균 활성실험과 항진균 활성실험 모두 비교적 뚜렷한 균주특이성을 나타내었다.

  • PDF

산국과 감국의 정유성분 조성비교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Chrysanthemum boreale and Chrysanthemum indicum)

  • 홍철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2호
    • /
    • pp.108-113
    • /
    • 2002
  • 산국과 감국의 정유성분 조성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증기 증류에 의해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MS, GC를 이용한 표준품과 머무름 시간 비교 또는 문헌상의 각 성분의 RI값과 비교에 의해 성분을 동정하였다. 산국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94개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그 중 GC peak area를 기준으로 했을 때 주요 구성성분은 camphor (15.40%), cis-chrysanthenol (14.11%), ${\alpha}-thujone$ (13.27%), 1,8-cineole (4.16%), ${\alpha}-pinene$ (3.80%), ${\beta}-caryophyllene$ (3.58%), germacrene D (2.69%), camphene (2.40%), umbellulone (2.24%) 및 ${\beta}-pinene$ (2.00%) 등이었다. 감국에서 분리한 정유에서는 80개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주요 구성성분은 germacrene D (16.50%), camphor (10.04%) 이외에도 ${\alpha}-thujone$ (6.40%), ${\alpha}-pinene$ (4.50%), ${\alpha}-cadinol$ (3.97%), cam-phene (3.82%), ${\beta}-pinene$ (3.67%), zingiberene (3.64%), cis-chrysanthenol (3.45%), piperitone (3.09%), 1,8-cineole (2.61%) 및 chrysanthenone (2.42%) 등이었다. 산국과 감국의 정유성분 조성상의 차이점으로 산국의 정유에서는 감국에 비해 camphor, cis-chrysanthenol, ${\alpha}-thujone$, 1,8-cineole 및 umbellulone의 함유비율이 높은 반면 감국의 정유에서는 germacrene D, ${\beta}-caryophyllene$, ${\alpha}-cadinol$, zingiberene, cis-chrysanthenol 및 piperi-tone의 함유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산국 에센셜오일을 함유한 화장품의 주름개선 임상효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ti-wrinkle Properties of Cosmetics Containing Essential Oil from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최인호;황대일;김도윤;김하빈;이환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42-446
    • /
    • 2019
  • 산국 에센셜오일의 채취시기별 특성과 in vitro 항산화, 미백, 피부재생 및 주름개선 활성이 본 연구진에 의해 최근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산국 에센셜오일(0.1%, v/v)이 함유된 크림제형의 화장품에 대해 주름개선 효능 및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피시험자는 자연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42세에서 60세까지의 2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산국 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을 눈가주변에 도포하였다. 인체 피부 안전성은 피부과 전문의의 육안관찰 소견을 확보하고, 피부 주름개선 효능은 visiometer를 이용하여 roughness를 측정 하였다. 산국 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 및 대조시료는 시험기간 동안 인체에 홍반, 알러지 등의 이상반응을 유발하지 않았으며, 시험부위(test)는 대조부위(placebo)에 비해 roughness 지수 감소의 폭이 더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R1, R2, R3 지수는 크림 사용 2주 후부터 시험부위가 대조부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p<0.05)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국에센셜오일 함유 화장품"은 인체 안전성이 확보되었으며, 피부주름 개선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어 향후 비고시 주름개선 기능성화장품으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산국(山菊)의 자유라디칼 소거 물질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Structure Elucidation of Radical Scavengers from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 한완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4
    • /
    • 2003
  • 천연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목적으로 DPPH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검색법을 이용하여 검색을 실사하고, 유의한 활성을 나타낸 산국 메탄올 추출물로부터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고 기기분석을 이용하여 화합물 1과 2의 구조를 apigenin과 acacetin-7-O-rutinoside (Linarin)으로 동정하였다. 이들 화합물은 각각 13.3 및 $42.1{\mu}g$의 농도에서 DPPH 라디칼을 50% 소거하는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화합물 1은 양성 대조양물인 L-ascorbic acid $(RC_{50}\;=\;13.1{\mu}g)$에 비하여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산국 추출물의 항균력 (Antibacteri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M.)

  • 양민석;남상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269-272
    • /
    • 1995
  • 산국과 감국의 용매분획물과 sesquiterpenoid lactones, Compound I, II를 4종의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실험을 하였다. 이 중에서 산국의 chloroform분획과 sesquiterpenoid lactones, Compound I에서 B. subtilis과 V. parahaemolyticus에 대하여 항균력이 있었다. 그리고 야생감국의 chloroform분획과 sesquiterpenoid lactones 에서는 항균력이 산국보다 약하게 나타났으며, Compound II와 재배감국의 모든 분획은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력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Chrysanthemum속(屬) 식물의 항균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Some Chrysanthemum spp.)

  • 남상해;최상욱;양민석;장대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4호
    • /
    • pp.315-319
    • /
    • 1996
  • Chrysanthemum속(屬) 식물(5종, 9부위)의 methanol추출물 및 각 용매분획물의 수율을 조사한 결과 methanol 추출물의 수율은 $31.5%{\sim}16.9%$의 비교적 다양한 범위를 보였으며 전초보다 꽃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Methanol 추출물에 대한 각 분획물의 비율을 살펴보면, 전 시료에서 공통적으로 물 분획물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꽃보다 전초에서 더 높고,유기용매 분획물은 모두 전초보다 꽃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Chrysanthemum속(屬) 식물의 methanol 추출물과 용매분획물들에 대한 항균실험 결과, 구절초의 꽃이 전반적으로 강한 항균력을 보였고 산국의 꽃과 구절초의 전초 그리고 쑥갓의 꽃이 비교적 수하였다. 용매 분획물에 대한 항균력 비교에서는 각 식물체의 chloroform 분획물이 Bacillus subtilis와 vibrio parahaemolyticus를 비롯한 4종의 공시균주 모두에 대해 전반적으로 가장 강한 활성을 보였다. 산국 전초의 chloroform 분획물은 산국 꽃의 chloroform 분획물보다 4가지 균주 모두에서 더 강한 활성을 보여주었다. 산국과 구절초의 꽃과 전초, 그리고 쑥갓의 꽃의 chloroform 분획물들은 서로 유사한 TLC pattern을 보였다.

  • PDF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분말 차의 항산화활성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hrysanthemum boreale M. and Chrysanthemum zawadskii K. Powdered Teas)

  • 이상훈;황인국;노진우;장영득;이철희;우관식;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7호
    • /
    • pp.824-831
    • /
    • 2009
  •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열수추출물에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 부형제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분말차를 제조하고 이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평가하였다. 국화차 분말의 흡습성은 국화 품종별 덱스트린 단독 첨가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부형제의 종류 및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용해도는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당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국화 분말차의 색도는 부형제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9:1로 혼합한 첨가구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국화 분말차의 pH는 $5.33{\sim}5.63$ 범위를 보였다. 갈변도와 탁도는 품종, 부형제의 종류 및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환원당 함량은 국화 품종별로 덱스트린과 말토덱스트린을 8:2로 혼합한 처리구에서 높았다. 총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총 항산화력은 산국 분말차가 각각 $6.47{\sim}6.75$, $1.95{\sim}1.99$$4.37{\sim}4.55\;mg/g$ 범위로 감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고 전자공여능은 감국 분말차가 $24.85{\sim}27.93%$로 산국과 구절초 분말차보다 높았다. 관능평가에서 색과 향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산국의 경우 쓴맛에 대한 낮은 평가로 인하여 전반적으로 기호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국화속 구절초무리와 근연종인 산국 및 감국 에서 보이는 잎의 해부학적 특징 (Variations of leaf thickness in the Chrysanthemum zawadskii complex and in two related Korean species: C. boreale and C. indicum (Asteraceae))

  • 김정성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9-34
    • /
    • 2009
  • 구절초 무리는 국내에 분포하는 국화속 중 흰색 또는 분홍색의 설상화를 가지는 특징으로 인해 다른 두 종과 구별되는데 외부형태학적 변이로 인하여 다양한 분류학적 견해가 제안되어 온 분류군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화속의 종 및 종내 분류군을 인식하기 위해 이용되어 온 형태학적 형질 중 구절초 무리내의 종내 분류군을 인식하기 위한 특징의 일부로서 사용된 바 있는 잎의 두께에 주목하여 구절초 무리에 속하는 13개 집단과 근연종인 산국 및 감국의 4개 집단을 이용하여 잎의 구조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잎의 횡단절편을 제작하여 엽신의 두께와 세포층 수, 세포의 크기를 비교하였다. 잎의 두께를 확인해본 결과 산국, 감국, 구절초 무리 순으로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종 모두 9개 전후의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어 잎의 두께는 세포층 수가 아니라 세포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구절초 무리 내에서는 집단 간에 잎의 형태 및 두께에서 다양한 변이를 보였는데 가는잎구절초, 바위구절초, 울릉구절초, 한라구절초 등 특히 제한적인 분포를 보이는 분류군들이 전국적인 분포를 보이는 분류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운 잎을 가지는 것이 확인되었고, 이는 각 분류군이 고유의 서식환경에 적응한 결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