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해결방안

Search Result 99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스마트사회의 IT트렌드와 정보보호위협 및 대응방안

  • Nam, Kil Hyun
    • Review of KIISC
    • /
    • v.22 no.8
    • /
    • pp.41-53
    • /
    • 2012
  • 세계는 더욱 효율적이고 인간중심적인 창조적 가치창출을 추구하는 스마트사회로 진화하고 있다. 스마트사회는 스마트 IT기술을 기반으로 모바일을 융합시켜 새로운 업무형태와 생활양식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사회의 IT 트렌드를 중심으로 환경변화와 파생되는 정보보호위협을 분석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다가오는 스마트사회를 보다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사회로 정착시키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Research on the University's social problem-solving R&D: Current Status and Tasks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본 대학의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의 현황과 과제)

  • Seong, Jieun;Song, Wichin
    • Journal of Appropriate Technology
    • /
    • v.5 no.1
    • /
    • pp.25-32
    • /
    • 2019
  •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ocial problem solving in university. Social problem solving R&D is characterized by pursuing social goals and participatory research and development. This paper summarizes the problems faced by the social problem solving R & D in the university and the remedies based on the focus group interview. 1) Establishment of 'the Social problem-solving R&D center' to create a base for embedding social problem-solving R&D within the university; 2) To develop and disseminate social problem solving research and development models suitable for universities; 3) Activation plans for vitalizing the participation of mainstream researchers and civil society in the social problem solving R&D were discussed.

무선 LAN 보안 취약점과 단계적 해결 방안

  • 강유성;오경희;정병호;정교일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0 no.7
    • /
    • pp.981-992
    • /
    • 2003
  • 범 국가적으로 해킹, 바이러스 등 사이버 테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원천적으로 유선네트워크에 비하여 보안성이 취약하지만 최근 그 활용 범위가 급속히 확장되고 있는 무선 LAN에서의 보안 문제가 사회적인 관심사가 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일반적인 무선 네트워크의 보안 위협 요인에 비추어 무선 LAN 보안의 취약점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단기적인 시간에 구축할 수 있는 해결 방안부터 장기적인 관점에서 글로벌 로밍까지 고려한 단계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사회문제해결형 R&D 활성화를 위한 출연연 현황과 과제 : ETRI를 중심으로

  • Won, Y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53-753
    • /
    • 2017
  • 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확대, 기술개발을 통한 실질적인 문제해결이 강조되면서 국가 사회적 문제해결과 국민생활 전반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한 R&D 정책과 관련 사업에 대한 투자가 확대되고 있다. 정부가 사회이슈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의 정책적 지향을 명확히 하면서, 출연(연) 역시 기존의 경제성장 견인과 성장동력 창출 중심의 기능에서 사회문제의 선제적 해결과 공공성 확장을 위한 출연(연)의 역할 수행을 요구받고 있다. 출연(연)은 공적임무 기반을 확대함으로써 국민들의 삶의 질 제고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겠다는 실천방안을 제출하는 등 다양한 모색과 자생적 혁신을 꾀하고 있으나, 연구자 연구현장의 수용성 문제와 출연(연)이 갖는 여러 특성과 맞물려 기대에 부합하는 변화의 폭과 속도를 내지는 못하고 있다. 본 발표에서는 출연(연)의 R&D환경과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사업 현황을 살펴보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ETRI의 추진내용과 연구자 기술공급 중심의 경향성을 보완하기 위한 노력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출연(연)의 특성을 기반으로 전략적 투자와 효율적 운영, 성과의 확산 측면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R&D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n Introduction to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ADR) for the Water Conflicts Resolution (물 분쟁 해결을 위한 대안적분쟁해결방안(ADR))

  • Lee Myoung Woo;Yi Choong Sung;Park Kyo;Shim Myung 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91-1495
    • /
    • 2005
  • 물 분쟁은 더 이상 다른 나라의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나라 역시 산업구조의 변화와 인구의 증가로 물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많은 물 분쟁이 발생하고 있다. 물 분쟁은 많은 원인과 다양한 차원의 분쟁주체들이 관계하고 있어 복잡한 네트워크구조로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대책 또한 법률적, 기술적, 사회적으로 다양하게 접근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과거 우리나라의 경우 분쟁이 발생하였을 때 그 분쟁의 최후 결정은 주로 사법기관에 의하여 처리되곤 하였다. 이러한 사법적 분쟁해결은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하며 분쟁당사자 모두 만족할 수 없는 결과를 야기 할 수 있는 큰 단점을 안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 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안적분쟁해결방안(ADR: Alternative Dispute Resolution)을 소개하고,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물 분쟁의 해결을 위해 ADR을 활용한다면 시간과 비용의 절약, 원만한 분쟁해결, 사후에도 당사자들의 좋은 관계 유지 등의 이점을 기대 해볼 수 있다.

  • PDF

정보통신 미수채권 대책방안-제도적장치엔 한계, 결국 이용자 마음에 달려

  • Mun, Chang-Ju
    • 정보화사회
    • /
    • s.92
    • /
    • pp.12-15
    • /
    • 1995
  • 정보통신 미수대책에 있어서 획기적인 '제도적'방안이라는 것은 존재 할 수 없다. 그 까닭은 정보통신 미수채권과 같은 정보화시대의 문제는 그런 첨단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의 의식이 근본적으로 개혁되지 않고는 완전히 해결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말해 정보통신 미수채권대책방안이라는 '하부구조'와 정보화시대에 걸맞는 사회적 의식이라는 '상부구조'가 맞물려져야 해결될 수 있다는 '중층적구조'로 파악하는 발상의 전환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 PDF

A Study on the Solutions of the Elderly Problems in Terms of Social Issuest (사회문제 측면에서 본 노인문제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 Jeong, Su-Il;Kim, Bo-Ki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1 no.2
    • /
    • pp.109-119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ituation of the elderly problems around the issue appeared on theory and field. First was to identify elderly issues with a theoretical argument about the elderly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 functionalism, conflict theory, symbolic interaction theory. The issues of older issues was selected to increase, divorce increases and remarried decline in the elderly, exclusion from the labor market, and dilemmas, such a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olunteering in the elderly households study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ir problems for them. the results in terms of social issues the first solution to the problem,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switch recognition for the elderly. Second, we need to remove negative perceptions about older people. Third, we must establish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private sector.In conclusion, it should be full in order to solve the elderly problem in terms of social issues, not limited to the elderly problem in the elderly subject matter of an individual or family corresponds to publicize it as a social problem social preemptively.

Transition Experiment and Socially-oriented R&D Program (시스템 전환론의 관점에서 본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 방향)

  • Song, Wichin;Seong, Jieun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2 no.4
    • /
    • pp.89-116
    • /
    • 2014
  • Socially-oriented R&D programs aimed at solving societal problem rather than scientific and industrial fruits have started recently. Societal problem is recognized as dilemma since this problem related to various stakeholders. And this is not solved with single program and needed long-term process. So the perspective of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including technological and institutional change is needed. This paper suggests policy implication of Socially-oriented R&D programs from socio-technical system transition perspective. 'Transitioning of Socially-oriented R&D program' is the key concept of restructuring the program for the system transition. The establishment of multi-layer transition governance and the transition vision-making and transition experiment planning are the key process of transitioning the R&D program. This paper suggests the ways and issues of implementing this process in Socially-oriented R&D program.

Governance for the negotiation and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related Conflicts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 및 갈등의 조정을 위한 거버넌스)

  • Lee, Joo-Heon;Kim, Hyung-Soo;Hong, Il-Pyou;Kang, Bu-Sik;Kim, Kw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530-1535
    • /
    • 2008
  • 수자원과 관련된 많은 분쟁 및 갈등들은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분쟁 및 갈등해결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지만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들은 대부분 원활한 해결을 이루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국내의 경우에는 더욱 심각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자원인 수자원을 둘러싸고 수자원분쟁이 일어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할 수 있으며, 분쟁의 양상도 다양하다. 댐 건설로 인한 상류지역과 하류지역의 갈등, 수로의 건설로 인해 수자원을 빼앗기는 지역과 수자원을 얻게 되는 지역 간의 갈등, 새로운 공단이나 개발로 인하여 하류지역에서 수질악화를 우려하여 반대하는 경우 등 여러 종류의 수자원으로 인한 분쟁이 있다. 수자원을 둘러싼 갈등이 쉽게 해결이 되지 않고, 또한 갈등 및 분쟁이 쉽게 발생되는 이유도 주체자들간 입장 차이에서 오는 성격이라 할 수 있겠다.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에서 오는 여러 가지 갈등들은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들을 발생시켜 수자원의 원활한 공급이 저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회적으로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 해결에 들어가는 많은 시간과 노력, 비용을 생각해 볼 때, 효과적인 갈등 및 분쟁의 해결은 국가적 발전에 있어서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갈등 및 분쟁의 원활한 해결이 국가적 발전에 많은 비중을 차지 한다고 할 수 있다는 것은 이런 이유들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자원과 관련된 분쟁사례들을 하천의 기능에 따른 분류, 발생 원인에 따른 분류, 분쟁주체에 따른 분류 등을 유형별로 구분하여 수자원분쟁의 여러 가지 사례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분쟁 및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거버넌스 시스템을 적용하였고 분쟁의 원활한 합의 조정방안 및 문제점을 제시하기 위한 외국의 시민참여 모델을 특징 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공영시각모형, 게임이론, 제도설계이론의 공학적 모형을 바탕으로 물분쟁의 해결을 위한 대안을 모색할 수 있는 과학적 접근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여러 가지형태의 국책사업 시행 시 발생 할 수 있는 분쟁의 해결 및 조정을 위한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금융분야 AI의 윤리적 문제 현황과 해결방안

  • Lee, Su Ryeon;Lee, Hyun Jung;Lee, Aram;Choi, Eun Jung
    • Review of KIISC
    • /
    • v.32 no.3
    • /
    • pp.57-64
    • /
    • 2022
  • 우리 사회에서 AI 활용이 더욱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 가운데 AI 신뢰에 대한 사회적 요구도 증가했다. 특히 최근 대화형 인공지능'이루다'사건으로 AI 윤리에 대한 논의가 뜨거워졌다. 금융 분야에서도 로보어드바이저, 보험 심사 등 AI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지만, AI 윤리 문제가 AI 활성화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를 활용 도메인과 데이터 분석 파이프라인에 따라 나눈다. 금융 AI 기술 분야에 따른 윤리 문제를 분류했으며 각 분야별 윤리사례를 제시했고 윤리 문제 분류에 따른 대응 방안과 해외에서의 대응방식과 우리나라의 대응방식을 소개하며 해결방안을 제시했다. 본 연구를 통해 금융 AI 기술 발전에 더불어 윤리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금융 AI 기술 발전이 AI 윤리와 조화를 이루며 성장하길 바라며, 금융 AI 정책 수립 시에도 AI 윤리적 문제를 염두해 두어 차별, 개인정보유출 등과 같은 AI 윤리 규범 미준수로 파생되는 문제점을 줄이며 금융분야 AI 활용이 더욱 활성화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