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 질

검색결과 2,124건 처리시간 0.032초

HIV 감염인의 사회적 지지, 사회적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희망의 매개효과 (Influences of Social Support and Social Stigma on Quality of Life of HIV Infected People : Mediating Effect of Hope)

  • 김일옥;신선화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247-256
    • /
    • 2016
  • 본 연구는 HIV 감염인이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HIV 감염인 197명이며, 상담간호사가 일대일 면접을 통해 사회적 낙인, 사회적 지지, 희망,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매개효과의 분석은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수행하였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붓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낙인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희망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낙인은 희망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희망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HIV 감염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낙인적 시선을 개선하고 사회적 지지체계를 형성하기 위한 적극적인 전략이 요구되며, 주요한 매개역할을 하는 희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의 결정요인 :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The Determinants of Marital Quality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 The Importance of Life Stress and Social Support)

  • 김현숙;김희재;오중환
    • 한국인구학
    • /
    • 제34권1호
    • /
    • pp.27-51
    • /
    • 2011
  • 이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의 질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지지와 생활스트레스의 중요성을 탐구한다. 특히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 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부산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가 2009년 "결혼이주여성의 자아 탄력성과 부부 적응"이라는 주제로 실시한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이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는 결혼의 질에 독립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생활스트레스와 결혼의 질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는 부정적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지지는 생활스트레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결혼의 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들의 결혼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회적 지지망의 확충 및 효과적인 지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도시의 사회적 다양성이 서울시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다수준모형을 활용하여 - (Social Diversity and Quality of Life among People Living in Seoul: An Application of Multilevel Model)

  • 최희용;서은혜;전희정
    • 지역연구
    • /
    • 제36권1호
    • /
    • pp.69-88
    • /
    • 2020
  • 최근 지역에 거주하는 구성원이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갖는 정도를 의미하는 사회적 다양성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사회적 다양성이 사회적 신뢰, 사회자본 등 삶의 질과 높은 상관관계를 형성하는 개념들과 긍정적 영향관계가 있음을 제시한다. 사회적 다양성의 대칭적 개념인 사회적 분리가 주민의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력이 사회 이슈임을 고려할 때 사회적 다양성과 삶의 질에 대한 직접적이고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의 사회적 다양성이 개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수준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 결과에 기초해 전체표본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소득계층을 구분한 분석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투입된 다섯 개의 사회적 다양성 지표 중 주민 직업 유형의 다양성을 측정한 직업다양성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소득다양성의 경우에는 동질성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은 이후 도시정책의 방향 설정에 유용한 정책적 함의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s of Self-support Program Participants' Social Capital on Their Quality of Lif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 이미라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413-443
    • /
    • 2011
  •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이 미치는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전국에 위치하고 있는 지역자활센터를 대상으로 센터의 유형과 지역유형을 구분한 후 비례할당 표집을 실시하였고, 1,185부를 최종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를 살펴보면, 네트워크와 규범이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간관계로부터 형성되는 비물질적인 사회적 자본이 삶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는 것이다. 둘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과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보면, 사회적 자본이 직무만족에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활사업에 대한 만족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자활사업 참여에 대한 부정적 인식으로 인하여 여타의 임금노동시장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했던 사회적 자본이 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결과를 제시한다. 셋째, 자활사업 참여자의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는 정적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직무만족과 삶의 질의 관계와 관련한 가설 중 전이모델(spillover model)을 지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는 사람은 일반적인 삶에서도 만족감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자활사업 참여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고, 사회적 자본의 순기능적인 측면을 보완하기 위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 있다.

HIV/AIDS 감염인의 지각된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igma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living with HIV/AIDS)

  • 이인정;이영선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3호
    • /
    • pp.347-369
    • /
    • 2013
  •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은 치료경과와 생존율 향상뿐만 아니라 HIV/AIDS 감염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감염인의 삶의 질에 대해 우리 사회에 여전히 존재하는 부정적 시각과 낙인은 이들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감염인의 삶의 질 제고를 위해서 낙인을 불식시키는 노력과 더불어 그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개입 또한 요구된다. 하지만 감염인의 삶의 질을 실증적으로 검토한 연구가 매우 소수이며, 삶의 질에 대한 낙인의 부정적 영향을 조절하는 요인을 다룬 연구는 거의 없는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에 대한 지각된 낙인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요인으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HIV/AIDS 감염인 102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위계적 회귀분석과 단순기울기 검정을 통해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통제요인인 교육수준과 직업의 유무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지각된 낙인은 삶의 질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사회적 지지는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지각된 낙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HIV/AIDS 감염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이들에 대한 사회의 낙인을 불식시키기 위한 HIV/AIDS에 대한 올바른 정보제공과 교육의 노력이 필요하며, 특히 사회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해 지역사회 기반의 동료지지 집단 프로그램의 수행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회복지실천에의 함의를 제시하였고, 연구의 한계점을 바탕으로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전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 영향 요인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d Study on th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for Early and Late Middle-aged Men)

  • 김향수;김송순;박미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133-145
    • /
    • 2018
  • 본 논문은 생물학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에서 상이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전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7년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 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인 일차연구 자료와 추가 수집한 자료 총 170부를 이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다.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전기 중년 남성의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은 우울, 가족유대감, 규칙적 운동, 노후 생활에 대한 불안, 월 수입 순으로 설명력 77.8%이며 후기 중년 남성은 사회적 지지, 주관적 건강상태, 직업 안정성, 직업 스트레스, 흡연, 근속연수 순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설명력은 64.7%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후기 시기별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적합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사회적 환경 조성, 사회적 지지 체계의 강화 및 확충과 정책 수립 등 다학제적, 융합적 접근을 통해 중년 남성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필요가 있다.

1인 가구의 사회적 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Influence of Social Particip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Quality of Life of One-person householder)

  • 박민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7호
    • /
    • pp.15-26
    • /
    • 2019
  • 개인주의 확대 및 가족관계 해체 등으로 1인 가구는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1인 가구를 위한 사회 복지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데 의미 있는 시사를 제공하고자, 1인 가구의 사회적 참여와 사회적 지지가 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1인 가구 54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으며,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세변수 간의 정적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회적 참여가 삶의 질에 주는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모두 유의했고,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참여와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을 확인했다. 따라서 1인 가구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1인 가구의 사회적 참여를 보다 활성화하여 그들의 사회적 지지를 보다 공고해 나갈 수 있는 복지정책 혹은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다. 후속연구로 이를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질적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삶의 질에 대한 직무만족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Social Exclu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Disabled)

  • 권애란;이형기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13-20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를 객관적으로 수치화하여 도출된 사회적 배제 정도가 장애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직무만족이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지를 검증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장애인 고용 패널조사를 통하여 추출된 1,28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독립변수인 사회적 배제는 경제적 어려움, 고용상태, 정신적 건강, 사회활동이다. 종속변수는 삶의 질 그리고 조절변수는 직무만족으로 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배제의 하위요인은 경제적 어려움, 정신적 건강, 사회활동, 고용상태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배제와 삶의 질의 영향 관계에서 직무만족은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그리고 삶의 질에 조절효과가 있는 사회적 배제의 하위요인은 경제적 어려움, 고용상태, 사회활동으로 확인되었다. 후속 연구는 선진국의 장애인고용프로그램을 조사하여 시행 배경, 시행내용, 성과, 한계 등을 분석하여 장애인 고용정책의 수립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장애인의 사회적 배제와 차별의 악순환이 개선되고 장애인의 경제활동을 통하여 삶의 질이 향상되는 계기가 마련되길 기대한다.

사회적 익명성이 커뮤니티 품질에 미치는 영향 : 표현욕구, 자기통제, 유대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Anonymity on Community Quality : Mediated by Self Expression, Self Control, and Community Ties)

  • 신지명;김경규;박주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257-2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구성원 간의 상호 교류가 중심인 온라인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사회적 익명성이 커뮤니티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자기표현욕구, 자기통제, 유대성의 개념을 알아보고 커뮤니티의 품질을 정보의 질, 토론의 질로 구분하여 이들이 사회적 익명성과 관계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설문을 통한 실증적 분석 결과, 사회적 익명성은 토론의 질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정보의 질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 표현 욕구, 유대성, 자기통제는 사회적 익명성과 토론의 질 관계에서 긍정적인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사회적 익명성과 정보의 질간의 관계에서도 자기표현욕구와 유대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커뮤니티 품질을 개선할 수 있는 요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온라인 커뮤니티의 방향성과 지침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연구 (The Study of Comparing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for Young-Old Women and Old-Old Women)

  • 김미령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2호
    • /
    • pp.197-222
    • /
    • 2006
  • 본 연구는 노인의 범주를 60세 혹은 65세 이상으로 구분할 때 동질적이라고 보기 힘든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으로 구분하여 노인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인 요인들과 삶의 질의 차이 및 하위영역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을 각각 조사하였으며, 전 후기여성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 경북지역의 노인 310명이며 전기, 우기노인들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t-test와 $X^2$검증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변인들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는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전기, 후기노인 모두 배우자, 건강인지, 자긍심, 사회적 지지는 유의미하게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전기노인의 경우 역할수행은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경제적 어려움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또한 사회참여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반면에 후기노인의 경우 역할수행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사회참여는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전기와 후기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에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