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의사소통

Search Result 69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고등학생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Byeon, Sang-H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8a
    • /
    • pp.243-259
    • /
    • 201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의사소통이 사회적 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의사소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며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이 프로그램이 활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 PDF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Small and Medium Cosmetic Brand Shop (중소화장품 브랜드샵 종사자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지원이 조직몰입에 미치는영향)

  • Lee, Byung-Hyo;Yi, Seon-Gyu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7 no.3
    • /
    • pp.117-125
    • /
    • 2017
  •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influence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on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salespeople in cosmetic brand shops in Seoul.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s factors affecting organizational immersion. Communication variables were subordinate variables such as form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supervisor, and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Sub-variables of social support factors were set as support of superiors and support of colleagu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mmunication factors such as formal communication, communication with supervisor,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were analyzed as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workers. The support of supervisor was analyzed as th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workers. However, support of colleagues was analyzed as a factor that did not affect the organizational immersion of workers.

수학적 의사소통의 지도

  • Jo, Wan-Yeong;Gwon, Seong-Ry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165-177
    • /
    • 1999
  • 1989년에 NCTM에서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이하 Standards)를 발간한 이래로 수학교육은 Standards의 정신에 많은 영향을 받아왔다. 90년대의 수학교육은 학생들의 수학적인 문해능력(literacy)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학생들이 수학의 가치를 느끼도록 하며, 자신들의 수학적 능력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게 하며, 수학적인 문제해결자가 되도록 하며, 수학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것을 학습하며, 수학적으로 추론하는 것을 학습함으로서 아동들에게 수학적인 힘을 길러주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특히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은 학생들의 수학적인 힘을 기르는데 매우 중요하다. 아동들의 수학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교사는 아동들이 상대방의 아이디어가 받아들일 만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비판하고 토론을 하도록 하되 발표한 사람을 비난하는 일이 없도록 각 학급에서는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서의 사회적인 규범과 사회-수학적인 규범이 형성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런 규범을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이 협력함으로써 서로의 아이디어에 대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이룰 수 있다. 그래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문화공동체로서의 교실내에 의사소통을 촉진할 수 있는 규범을 형성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규범은 교사 혼자의 노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교실 구성원 전체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장시간에 걸쳐서 형성된다고 할 수 있다.

  • PDF

A COMPARISON STUDY ON THE COMMUNICATIVE INTENT OF CHILDREN WITH REACTIVE ATTACHMENT DISORDER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반응성 애착장애아와 발달성 언어장애아의 의사소통 의도 비교 연구)

  • Lee, Kyung-Sook;Lee, Ho-Boon;Shin, Cheong-Hyoun;Noh, Kyung-Sun;Im, Yun-Hwa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8 no.2
    • /
    • pp.207-216
    • /
    • 199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mmunicative intent between Reactive Attachment Disorder(RAD) an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DLD).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20 27-51 monthold children(10 RAD Children, 10 DLD children) functioning at similar stage of language development. The communicative intent was investigated vertical and horizontal dimension. Rating of vertical communicative intent was based on the assessment scales devised by Wetherby and Prutting(1984). Horizontal dimension was measured by the assessment guidelines of Wetherby and Prizant(1989). All the data were rated by two rators independantly. 1) In communicative intent, vertical development level of DLD children was more sophiscated than that of RAD children. 2) DLD children expressed more horizontal communicative intent than RAD children. The percentage of the three major categories(behavioral regulation, social interaction, and joint attention) of communicative intent in DLD children was lined up social interaction>joint attention>behavioral regulation. On the contrary, RAD children displayed in order of behavioral regulation>social interaction>joint attention. In addition, DLD children showed diversely as compared with RAD children.

  • PDF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Awareness and Needs of Social Communication of Guardians Caring for Adolescent with Development Disorders Adolscents (발달장애 청소년 양육자의 사회적 의사소통 인식과 요구도 차이 분석)

  • Park, Hyun;Lee, Myung-S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8
    • /
    • pp.561-572
    • /
    • 2018
  • This study the awareness and the demands of the parents on the communication level for social participation of the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identified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 on client's age, detection time of the condition, disability grades, handicapped types, speech therapy period. For the non-parametric test, Man-Whitney U test, and Kruskal-Wallis test were performed and for post-hoc test, Scheffe test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tha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wareness and the demand of the communication level of the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ccording to the age of children, time of discovery, disability grade, type of disability and speech therapy period. In conclusion, the speech therapy for the youth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should be made in the dimension of communication for the purpose of social participation. The follow-up research to emphasize the social support and the institutional backup will be required.

The Effect of Interpersonal Conflict, Social Stress, and Communication on Loneliness of Mobile Messenger Users (대인 갈등, 사회적 스트레스, 의사소통이 모바일 메신저 사용자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Yim, Myung-Se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2 no.10
    • /
    • pp.235-248
    • /
    • 2021
  • The ultimate aim of this work is to explore the antecedents that affect the loneliness felt by users who actively communicate through smartphones apps. To do this, three characteristics including individual, relational, and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that can affect loneliness and the effects of these characteristics on loneliness are empirically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conflict resolution 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conflict and loneliness. Second, social stres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personal conflict, communication fatigue, and loneliness. Third, lack of communication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nflict resolution ability and loneliness. Finally, we found that communication fatig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oneliness. These results are interpreted that in order to reduce the loneliness,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improve the ability to wisely resolve conflicts that may aris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elf and othe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fear or burden of 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청소년이 지각하는 주관적 행복감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Lee, Hae-Sun;Byeon, Sang-H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119-12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중고등학생의 주관적 행복감이 공감 능력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인천, 화성 등 경기도 내 거주 청소년을 대상으로 2022년 7월 10일에서 8월 20일까지 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277부 중 26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8.0과 Hayes(2013)가 제안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공감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관적 행복감이 높을수록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높을수록 공감 능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행복감과 공감 능력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의사소통은 정(+)적인 매개효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중고등학생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예측 변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공감 능력을 향상시키고, 사회성을 발달하기 위해 주관적 행복감의 수준을 활성화하고, 매개변인으로 부모-자녀 의사소통을 활성화하여 건전한 성장을 위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청소년 프로그램 및 청소년 상담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PDF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Husbands' Authoritarian Communication (남아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 관련변인)

  • 김순옥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157-167
    • /
    • 1995
  • 본 연구는 평등한 부부관계로의 변화를 요구하는 현대사회에서 부인과의 대등하고 민주적인 의사소통을 저해하고, 부인의 정신.신체증상 호소라든가 가족문제를 야기시키는 한국남편의 전형적인 권위주위적 의사소통에 대한 관련변인을 밝혀내어 부부간의 민주적인 관계형성을 도모하고자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시에 거주하는 328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에 대한 관련변인을 살펴본 결과 개인적 변인으로 자아존중감 성역할태도, 부부간의 변인으로 부부간의 의사결정권, 부부간의 학력차, 부부간의 연령차, 가족환경적 변인으로 남편의 성장가족에서 친부의 권위주위적 행동, 주관적인 사회계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개인적 변인, 부부간의 변인, 가족환경적 변인은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의 전체분산 중 14.5%, 11.3%, 11.5%를 각각 설명해 주고 있다. 개인, 부부간, 가족환경 변인을 모두 고려하였을 때는 자아존중감, 부부간의 의사결정권 친부의 권위주의적 행동, 성역할 태도, 부부간의 학력차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으며, 이들 변인은 남편의 권위주의적 의사소통의 전체분산 중 25.2%를 설명해 주고 있다.

  • PDF

Homemanagement Pattern, Communication & Colaboration - Centering on Families of Cheng Ju City -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 및 가사협조도 - 청주시 가정을 중심으로 -)

  • 오경희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1
    • /
    • pp.26-34
    • /
    • 1995
  • 본 연구는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도 및 가사협조도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가정내일의 협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정관리자의 관리유형 규명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녀를 1명 이상 둔 청주시 주부 418명을 대상으로 1993년 12월 중순부터 1994년 1월초까지 설문지 조사를 하였다. 자료는 SAS/PC program을 사용하여 Mean, F-test t-test, Duncan's 사후검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가정관리유형에 영향을 미친 변인은 부부의 교육수준, 가정생활주기였다. 2)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부연령과 교육수준, 가정생활주기, 자녀수, 가족형태였다. 3)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중 가사협조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남편직업, 가정생활주기, 자녀수, 가족형태였다. 4) 가정관리유형, 의사소통 및 가사협조도 간에 관계를 경로분석하여 본 결과 가정관리유형은 의사소통에 영향을 미치고 가사협조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이었다. 부언하면 가정관리자가 인간중심적인 관리유형을 취할수록 가족 내 의사소통도가 높아지고 더불어 가사협조도도 증대된다.

  • PDF

로봇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한 정서 생성 기술 및 동향 소개

  • Lee, Won-Hyeong;Jeong, Myeong-Jin
    • ICROS
    • /
    • v.20 no.2
    • /
    • pp.20-30
    • /
    • 2014
  • 서비스 로봇의 성장으로 사람의 정신적, 정서적 보조 역할을 하는 사회적 로봇 개발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로봇의 사회적 의사소통을 위한 정서 생성 기술의 심리학적 이론 배경을 설명한다. 이와 함께, 로봇에 적용된 기존의 정서 생성 연구를 소개하고, 학회와 저널을 통해 발표된 최근 연구들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