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능력별 집단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학습에서 디지털기술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 Jang, Moonk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2
    • /
    • pp.153-165
    • /
    • 2022
  • The COVID-19 Pandemic incident forced all educational and learning activities to move online, so it is no longer an option to 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ducation and learning. Venture capital has made the largest investment ever in Edu-tech startup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along with digital literacy, which has become an essential ability in the digital age.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 find that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and social influenc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Moreover, digital literacy has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expectation, effort expectation, and social impact, but the direc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on learning is not significant. Furthermore, to see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present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10s and 60s, between 20s and 60s, between 30s and 60s on the path of social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education are significantly reduced. This study academicall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research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digital technology in a specific situation of education by considering both digital literacy an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UTAUT).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a practical guide to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each age when making learning participants more actively use digital technology.

Development of self-esteem enhancement program and effective evaluation through instructional sand box play -Focusing on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지시적 개별모래상자놀이를 통한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성 검증 -해체 다문화가족 아동을 중심으로-)

  • Lee, Ok-Ja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3
    • /
    • pp.353-365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uide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for the Directive Individual Sand Box Play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of children of the dissolved multicultural families. For quantitative analysis data, the scores from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compared. The SPSS 18.0 Packag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linguistic changes in B children during the sessio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elf-expression scale. The research period lasted for around 3 months from February 2017 to May 2017, for a total of 12 sessions which included individual activities, 1 session of group activities, and 1 night and 2 days of family camp activities featuring a total of 6 children.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include quantitatively through the program of the Directive Individual Sand Box Play in relation to the social self-esteem capability at z=-2,200 on the level of p<.05,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Qualitatively, positive expression increased as sessions proceeded and negative expression reduced regarding the linguistic expressions by session of children B. This means that the method of the Directive Individual Sand Box which presents the topic and in addition, the process of visiting the house of a child which is the most secure environment had shown the effectiveness that increases the improvement of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of the dissolved multi-cultural families. According to the diverse special characteristics of clients, a preliminary basic framework for the mobile individual sand box program through the directive approach method will be prepared.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the Incidence and the Transition of Older Adult Disability: Findings from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노년기 장애발생과 장애정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KLOSA 1차와 2차 자료를 중심으로)

  • Koo, Bonmi;Seok, Jae Eun
    • 한국노년학
    • /
    • v.32 no.4
    • /
    • pp.993-101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and the transition of disability among Korean older adults. Samples consist of 1,454(42.7%) men and 2,032(58.3%) women aged 65 and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1st and 2nd wave of the Korea Longitudinal Study of Aging: KLOSA. To estimate the level of disability, ADL and IADL disability indexes are used. As the results, major risk factors for ADL/IADL disability incidence include injury, vision problem,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health behavio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age. Among the normal older adults, the odds ratio of having dementia symptoms at 2nd wave(2008) are 2.0 times greater for the older adults who have less cognitive function than those who don't have at 1st wave(2006). Among the older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the odds ratio of having disability at 2nd wave are 1.8 times greater for the older persons who have depression than those who don't have at 1st wave. Secondly, concerning the predictors affecting the disability transition among the disabled older adults at 1st wave, the likelihood of remaining at the same level or deteriorating the level of IADL disability, as compared with improving the level, is associated with having less instrumental support or being old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prefer multilevel intervention in order not only to prevent the incidence of disability, but also to prolong the deterioration of disability in the older adults.

Comparative Analysis on the Measures and Programs for Age Equality of OECD Countries (OECD 국가의 연령차별 완화대책 및 프로그램 비교연구: 노동시장에서의 연령차별금지법을 중심으로)

  • Han, Hye-Kyung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2
    • /
    • pp.277-29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ring together evidence of the operation and impact of legislation to prohibit age discrimination in those countries that have such laws. We identified 5 countries with extensive age discrimination legislation: the US, Canada, Australia, Finland and Republic of Ireland. The objectives and cultural context of age discrimination lesgislation, which plays a large part in each country determining what type of lesgislation is deemed to be appropriate. The effeciveness or impact of the legislation, in terms of progress towards these objectives. Some key issues where choices of emphasis will need to be made in the introduction of new legislation to reduce age discrimination.

  • PDF

Health Behavior and Health Condition of the Rural Young-Old and the Rural Old-Old in an Agricultural District (농촌 전기노인과 후기노인의 건강행태와 건강상태)

  • Hwang, Seong-Ho;Lee, Myeong-Sook;Lee, Sung-Ko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36 no.4
    • /
    • pp.207-217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arner useful information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states between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in a rural Korean area. Methods: We define the young-old elderly as those 65 to 74 years of age, and the old-old as those over 70. The survey was administered in October and November of 2009 at senior citizen centers in Sangju City, Kyongsangbuk-do, South Korea. The number of subjects surveyed approximated the demographics of the aged population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centers of 24 eup, myeon, and dong. Results: Compared with the young-old elderly, the old-old were vulnerable to population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hile there were many cases of contraction of diseases, only a small percentage of old-old elderly were engaged in regular exercise. In addition, the old-old elderly lagged behind the young-old in terms of physical activity, mental and oral health, hearing, and vision. Conclusions: The vulnerability of the old-old elderly in terms of physical and mental health needs to be acknowledged as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that appears according an age group. A variety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programs that focus on the health behavior and status of the young-old and old-old elderly need to be developed and put into practi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Genetic Determinism of Human Behaviors (교사들이 가지는 사람의 행동적 특징에 대한 유전자 결정론적 인식)

  • Youn, Se Jin;Seo, Hae-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4 no.4
    • /
    • pp.407-415
    • /
    • 2014
  • Genetic determinism of human behaviors is considered as a philosophical perspective that genes in humans determine biological as well as social traits. However, many biologists agree that human traits are determined by interactions between genes and genes, as well as between genes and environments. In this context, genetic determinism still affect ideas of the general public as well as research directions of biologists. According to Cl$\acute{e}$ment's KVP model (Cast$\acute{e}$ra & Cl$\acute{e}$ment, 2012), teachers' conceptions of genetic determinism influence students' concepts of genetic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eachers' conceptions on genetic determinism of human behaviors. For this end, a questionnaire adopted from a previous research (Cast$\acute{e}$ra & Cl$\acute{e}$ment, 2012) has been administered to 308 teachers including 151 pre-service and 157 in-service. Factor analysis has been conducted to extract major factors and one-way ANOVA has been employed to find out differences in extracted factors among different groups of teachers. Four factors have been extracted from 14 items of questionnaire, including factor 1, a perspective of genetic determinism of gender differences in intellectual ability, social status, and emotional traits; factor 2, a perspective of genetic determinism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llectual ability; factor 3, a perspective of genetic determinism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biological immune function and behavioral trait; and factor 4, a perspective of genetic determinism of ethnic differences. From the results of One-way ANOVA among teacher groups on four factors, first, it has show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tor 1 (F=3.325, p=.006), factor 3 (F=3.320, p=.006) and factor 4 (F=4.325, p=.001) due to their subject matters. In post-hoc comparison there have been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iology teachers and other teachers. It has also been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in factor 1 (t=-3.938, p=.000) and factor 4 (t=-3.121, p=.002) and in-service teachers are more genetic deterministic than pre-service teachers. Finally, different religions have no influence on teachers' conceptions of genetic determinism of human behaviors.

Statistical ERGM analysis for consulting company network data (직장 네트워크 데이터에 대한 통계적 ERGM 분석)

  • Park, Yejin;Um, Jungmin;Hong, Subeen;Han, Yujin;Kim, Jaehee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5 no.4
    • /
    • pp.527-541
    • /
    • 2022
  • A company is a social group of many individuals that work together to obtain better results, and it is an organization that pursues common goals such as profit. As a result, forming networks among members, as well as individual communication abilities, is critic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termine what factors influence the creation of employee advice relationships. Using the ERGM(Exponential Random Graph Model) approach, we looked at the network data of 44 individuals from consulting firms with offices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The significance of structural network factors like connectivity was first discovered. Second, the gender factor had the most significant main influence on the likelihood of adopting each other's advice. Third, geographical homogeneity resulted in higher link probabilities than major impacts of gender. This research looked at ways to make a company's network more efficient and active.

Effects of Gender-stereotype Activation in Men's and Women's Self-construal (성 고정관념 활성화가 남녀의 자아해석에 미치는 영향)

  • Hee Jeong Bang ;Hyeja Cho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0 no.1
    • /
    • pp.83-106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men's and women's self-construals do change according to gender-stereotype activ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en have stronger gender-stereotypes and construe self more gender-stereotypic way than women. In general, women showed having less gender-stereotype but they construed self more stereotypic way. And the stereotype activation affected only on women to construe self less stereotypic way. Both men and women do accept physical appearance stereotypes more than other domains of gender-stereotype when they construe their selves. Gender-role stereotypes are more accepted by men than women, and gender-stereotypes of ability are more accepted by men but refused by women when stereotype was activated. And men accepted prescriptive gender-stereotype more than women. People of high gender-stereotype group construe self more stereotypic way than those of low stereotype group. But in low gender-stereotype group, women construe self less stereotypic way when stereotype is activated than when not. These results are taken to show, among others, that self-stereotyping of targe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targets are man or woman, and that self stereotyping of an individual contributes to build a mechanism of maintaining gender-stereotype of a society to which he or she belongs.

  • PDF

A Study on the agricultural productivity of ancient reservoir through hydrological analysis - Cheong reservoir located Yeongcheon, southeastern part of Korea (수문학적 분석을 통한 한국 고대수리시설의 농업생산력 연구 - 영천 청제)

  • Jang, Cheol Hee;Kim, Hyeon Jun;Seong, Jeong 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3-33
    • /
    • 2018
  • 농업이 기간산업이었던 고대사회에서 수리시설(水利施設)의 축조는 농업의 성패를 가늠하는 중요한 요소로 정치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치는 국가적인 대규모 사업이었다. 이에 따라 수리시설의 축조 시기와 배경, 축조 기술과 운영, 구조, 몽리(蒙利) 효과 및 보수(補修)와 수축(修築) 등에 대한 연구는 우리의 농경(農耕)문화사를 밝히는데 중요한 관건이 된다. 관개(灌漑) 수리시설의 축조와 정비는 수전(水田) 개발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제방(堤防)을 축조함으로써 주변의 수전 개발을 촉진하고, 가뭄과 홍수로부터 안전하게 전답을 유지할 수 있어 수확량을 높이게 된다. 농업생산력의 향상은 대내적 체제 정비는 물론 치열한 국가 간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데 필요한 경제적 배경이 된다. 이처럼 고대수리시설은 개인과 집단 나아가 국가의 생존을 뒷받침하는 근본이었지만, 과연 우리는 그 역사성과 의미에 대해 제대로 평가를 했던 것일까? 또한, 고대수리시설의 관개 및 치수(治水) 능력은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였으며 근대에 비하면 어느 정도였을까? 일부 수리시설에 대해 관개면적을 추정한 경우는 있으나, 그 예도 많지 않을뿐더러 시기적인 변천 양상을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고대로부터 원형을 비교적 잘 간직하고 있는 수리시설 중 경북(慶北) 영천(永川)의 청제(菁堤)를 대상으로 고고학적 역사학적 입장에서 보다는 수문학적(水文學的) 농업수리학적(農業水利學的) 관점에서 저수량(貯水量) 및 관개(灌漑) 면적에 따른 농업생산력을 살펴보았다. 지형 및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정보를 이용하여 저수지의 규모 및 관개 면적을 추정하였으며 수문학적 해석 모형(模型)인 CAT(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김현준 등, 2012)을 이용하여 저수량 및 관개 가능량을 분석하였다. CAT은 공간 단위별로 침투(浸透), 증발(蒸發), 지하수(地下水)흐름 등의 모의(模擬)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모형이다. 특히, 농업용 저수지 및 홍수방재용(洪水防災用) 저류(貯留)시설 등의 저류량(貯留量) 및 방류(放流量)에 대한 모의가 가능하다(장철희 등, 2012). 고대수리시설의 저수량 및 관개 면적에 따른 농업생산력을 공학적 수문학적으로 해석하는 연구는 과거물 관리 및 생산력의 실태를 좀 더 자세히 파악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며, 역사학적 자료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고대수리시설의 역사성 및 우수성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