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경제

Search Result 6,70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사회적경제의 부상과 북한학 연구의 접목에 대한 소고

  • Gwon, Yeong-Tae
    • KDI북한경제리뷰
    • /
    • v.21 no.10
    • /
    • pp.3-28
    • /
    • 2019
  •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소셜벤처 등 사회적경제의 부상으로 이들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고 있어 북한, 통일 관련 연구에서도 접목이 필요하다. 사회적경제는 북한·통일 문제와 어떤 연관이 있는지에 대해 통일정책과 통일 역량 강화의 측면에서 나누어 고찰했다. 전자에 포괄되는 주제로는 통일국가의 미래상, 북한경제의 유사성 및 변화가 있다. 후자와 관련되는 주제로는 남북교류협력, 북한이탈주민정책, 통일교육에 대한 함의를 다뤘다. 통일국가의 미래상과 관련하여 사회적경제는 통일경제의 부작용에 대한 완충기제로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적경제는 자본주의의 발전에 따라 제기되는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보완적 성격의 경제활동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향후 자유시장경제 방식의 통일이 진행되는 경우, 남한 자본주의의 문제점이 전 한반도로 확산되는 부작용에 대한 대안적 해결방안으로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적경제가 북한경제, 나아가 사회주의 경제와 유사성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향후 이에 대한 연구 성과에 따라 북한경제의 변화를 추동하는 동력으로서 사회적경제의 영향력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남북교류협력과 관련해서는 우선, 교류협력이 재개되는 경우 사회적경제기업의 참여를 어떻게 추동하고 지원할 것인지에 대한 대안을 내놓을 필요가 있다. 일반 기업 또한 사회적경제 관점을 활용해 북한 진출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고, 이 때 중요한 사회적경제의 키워드는 BOP 시장이다. 사회적경제는 북한이탈주민을 취약계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는데, 향후에는 적극적으로 사회적경제의 창업의 주체로 육성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도 제기하였다. 통일교육과 관련해서는 대상, 주체, 내용과 관련한 시론적 차원의 접근을 정리하였다. 사회적경제의 부상이 북한학 연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더 많은 새로운 상상력의 발휘가 요구된다.

Definitions, Categories, and Several Debating Points of Social Economy (사회적경제 고찰 : 정의, 범주 그리고 몇 가지 쟁점들)

  • Kim, Sin-Young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5
    • /
    • pp.121-126
    • /
    • 2022
  • This study purports to achieve three different yet related tasks.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s thoroughly social economy as an academic subject which have been drawing much attentions in social science. Secondly, this study examines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ocial economy in Korea and reviews categories and types of social economy in current Korean society. Lastly, this study introduces several arguments around social economy. For these tasks, brief summary of the definitions of social economy from foreign and domestic scholars will be provided. Then five controversial subjects on social economy will be introduced. Those are the effect of social economy on employment, the future of social economy in the context of welfare state, the sustainability of social economy, the relationship of social economy with civil socie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conomy and basic income. The author hopes that this study could provide thorough pirctire of social economy conceptually as well as practically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social economy both in academia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지각된 가치와 사회적 영향이 공유경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im, So-Yeong;Park, Sang-Hyeok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103-107
    • /
    • 2019
  • 최근 에어비앤비나 우버와 같은 협력적 소비 기반의 비즈니스모델을 가진 공유경제가 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공유경제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은 경제적, 기능적, 경험적, 사회적 가치를 포함한 4가지 지각된 가치와 주관적 규범, 이미지, 사회적 임계점을 구성하는 3가지 사회적 영향이 공유경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신뢰와 사회적 규범, 네트워크와 사회구조를 포함한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에 관심을 두고 있다. 가설을 검증하고자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지각된 가치와 사회적 영향이 공유경제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변수별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인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각된 가치 중 경제적, 경험적 가치는 공유경제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인 회귀분석의 결과에서 사회적자본은 지각된 가치와 사회적 영향의 공유경제 이용의도 관계에 있어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각된 가치를 통합적 분석, 기존 공유경제 연구에서 자주 다뤄지지 않았던 사회적 영향과 사회적자본의 요인을 다룬 점에 의미가 있지만, 설문조사 결과의 한계가 있었기에 향후 새로운 연구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다.

  • PDF

Economic Geographical Research Agenda for Social Economy (사회적 경제에 관한 경제지리학의 연구 주제)

  • Choo, Sungjae;Roh, Kyeongra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2
    • /
    • pp.173-191
    • /
    • 2018
  • Taking note of growing tendency of academic interests and policy applications with regard to social economy, this study aims to suggest economic geographical agenda for social economy. It is presumed that the orientation of social economy toward pursuing social value will exhibit unique spatial characteristics. Elements containing spatial implications have been identified through a review of hierarchial concepts including social innovation,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social enterprise. Three approached are suggested as tools of understanding the spatial context of social economy: spatial characteristics inspiring social entrepreneurship, place-based context of decision-making by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and spaces formulated by interactions between the demand for solving social problems and the supply of economic resources. The investigation of social innovation clusters is required to focus on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from normal industrial clusters.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concept of embeddedness be applied in the search of the essence and elements of social economy's ties with local community.

The Case Study on the Rural Social Economy in Japan and Korea (일본과 우리나라 농촌 사회적 경제에 대한 사례 연구)

  • Kim, Ok-H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3
    • /
    • pp.405-41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was to analyze the promotion background, development process, business content and organizations of rural social enterprises in Japan and Korea, to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two countries in social purpose, independence of management, creation of regional economic cycle and administrative role, and to present policy tasks for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and social enterprise in rural area. the Policy tasks are as follows; construction of community-based social economy, social financial support strengthening, the empowerment of rural social enterprises and the efficient management of internet shopping mall for increase in sales.

기업가정신과 사회적 경험이 사업가적 도전성에 미치는 영향

  • Han, Mi-Gyeong;Ha, Gyu-S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1.04a
    • /
    • pp.97-102
    • /
    • 2021
  • 최근의 사회 경제적 현상에 비추어 우리나라 젊은이들은 취업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으며 이의 극복을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경제규모가 세계 10위권대 임에도 불구하고 취업시장은 매우 어려운 상황이어서 돌파구가 있어야 하는 상황이다. 지금의 세계경제는 4차 산업시대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중심은 세계적 대기업이 아닌 IT기반의 플랫폼 사업의 개인 창업가들이며, 이 개인 창업가들이 엄청난 속도로 성장하여 지금의 글로벌기업을 이끌고 있다. 최근 창업에 관한 인식변화와 함께 관심을 갖고 실제로 창업에 도전하는 현상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의 성공여부가 본인은 물론 우리나라의 경제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를 통해 생애전반에 걸쳐 교육과 취업이나 창업의 많은 사회적 경험활동이 사업가적 도전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실질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경험자들이 창업에 도전성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회적 경험활동이 기업가적 도전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알아보는 연구로 개인적 특성, 사회적 경험, 창업실패에 대한 인식이 사업가적 도전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사회적 지지가 사업가적 도전성에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창업이 국가의 경제성장이나 개인의 취업 및 경제활동 욕구를 충족시키는 요소라면 사업가적 도전성을 개개인의 사회적 경험에 앞서 학교 교육과정에서부터 체득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서 창업에 도전성이 더욱 더 성장될 수 있도록 성장과정에서 교육적 사회적 책무를 가지고 환경조성을 한다면 사회적 경제적 비용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정한 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The Theory on 'antisocial' of Social Economy (사회적 경제의 '반사회적(antisocial)'인 것에 대한 시론)

  • Hong, Sung-Wo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12
    • /
    • pp.41-50
    • /
    • 2018
  • In our society, recently, the concept of social economy stands out as an alternative to the mainstream economy in the market. It is noteworthy that although the social economy has the nature of practical field of civil society, the government has a willingness to actively support the social economy as a means of getting visible result of job creation. The social economy in Korea is being fostered by the government and understood within the framework of a very limited policy goal of providing jobs for the vulnerable. The problem is that the social value and community implications of the social economy are disappearing while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have higher policy status and become more and more dependent on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discourse on the social economy should be reconstructed while holding the problem of this situation.

A study on the Activation Pla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in Chungnam Area (충남지역 사회적 경제 조직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Jin-Kyoung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5 no.2
    • /
    • pp.19-25
    • /
    • 2020
  • This study is a study on how to revitalize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in the Chungnam region. For this, the following major results were presented in literature studies based on prior studies. First, it is necessary to upgrade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promotion system and system in Chungnam. Second, there is a need to advance the measures to revitalize various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in cities and counties by building an integrated support system for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public purchase of products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business competency of the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promote education. Fifth, it is necessary to upgrade the network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create differentiated businesses. On the other hand, the social economic organization in Chungnam region shown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should share their willingness to implement policies in the provincial and provincial areas of Chungnam Province and cities and counties in terms of solving and improving various problems in the region. Based on this, it is required to upgrade the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area. Second, the Chungnam region needs a shift in awareness that it is a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that is a key factor in overcoming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due to industrial weakness and aging. Third, a positive shift in awareness is required by shifting awareness and strengthening education on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awareness level of local residents through public education and joint public-private education.

Socioeconomic Conditions and Divorce Rate in Korea: An Analysis of Time-series Data, 1970-2002 (사회경제 상황이 이혼율 변화에 미치는 영향: 시계열 자료의 분석, 1970-2002)

  • Cheong Keyw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1
    • /
    • pp.57-80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1970년부터 2002년까지의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사회경제상황이 이혼율 증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분석하였다. Land and Felson(1976)의 거시 동태 사회지표 모형을 바탕으로 경제상황과 남녀 성비, 그리고 이혼 관련법의 개정 등을 분석모형에 포함시켰다. 경제상황에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실업률 그리고 1인당 국내총생산으로 측정된 소득수준을 포함시켰다. 분석의 결과는 실업률과 소득수준이 이혼율의 증가 추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인당 국내총생산의 수준이 높을수록 이혼율도 증가하는 분석의 결과는 경제적 호황기에는 이혼율이 증가하고 경제적 쇠퇴기에는 이혼율이 감소한다는 선행연구의 주장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해주고 있다. 그러나 실업률이 증가할수록 이혼율도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데 이는 혼인의 결정 요인과 관련한 남성 중심의 가설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경제상황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소득수준과 실업률)이 이혼율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기제가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 사회경제상황 자체보다는 경제상황의 변화가 이혼율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의 모형에 변화율을 변수로 포함시킬 경우에는 1977년의 가족법 개정만이 이혼율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에서 이혼율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거시적 요인을 통제하지 못하고 있는데, 이는 이 연구의 내적 타당도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혼율은 경제적 상황보다는 오히려 문화적 또는 사회적 요인에 의해서 결정될 수도 있기 때문에 이혼율을 결정짓는 경제적, 문화적, 그리고 사회적 요인들을 모두 포함하는 분석 모형의 개발과 실증 자료를 이용한 검증은 향후의 연구 과제로 남는다.

A study on Establishing Strategic Tasks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through SWOT Analysis: Focusing on Chungnam Region (SWOT분석을 통한 사회적 경제조직의 전략과제 정립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을 중심으로)

  • Kim, Moon-Jun
    • Industry Promotion Research
    • /
    • v.5 no.2
    • /
    • pp.9-17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SWOT based on existing literature data to establish strategic tasks and strategic directions for revitaliza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Chungnam region). First, as a result of SWOT analysis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 total of 16 factors were derived from the factors for strength (S), weakness (W), opportunity (O), and threat (T), with 4 factors each. Second, for strategic factors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16 strategic tasks were derived from SO strategy, ST strategy, WO strategy, and WT strategy through SWOT Matrix Mapping for factors established through SWOT analysis. Strategic direction 1 was established as a strategic direction to improve self-sufficiency by establishing a sustainable management body as a "advancing the support policy base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Strategic Direction 2 is "Creating a Growth Foundation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which means a strategic direction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to grow and develop on their own. Strategic direction 3 is "discovering and fostering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which means a strategic direction for sustainable growth by discovering and fostering organizations that meet local characteristics so that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can solve various problems in the region. Strategic direction 4 was 'promotion and promo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which means strategic directions for promo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and promotion of education for employ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