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통제

Search Result 1,28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Kim, Mi-Suk;Won, Yeong-Hui
    • 한국사회복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5a
    • /
    • pp.359-37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이들 대상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색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표본추출방법에 따라 저소득층이 밀집된 48개 지역에 거주하는 635명의 편부모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만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종속 변수인 심리적 안녕감은 우울증, 자존감, 삶의 만족도 등이며, 독립변수로 인구사회적 배경 요인(모델 1), 사회적 지원 요인(모델 2), 자아통제 요인(모델 3) 등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초점인 자아통제 요인은 내외통제성, 적극적 대처, 소극적 대처 등으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이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울증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이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력이 낮고 적극적 대처력이 높을수록 우울증이 낮게 나타났다. 다른 유의한 변인은 건강상태로 건강할수록 우울증이 낮았다. 2) 자존감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요인 중 내외통제청과 적극적 대처력이 유의한 변인으로 판명되어, 내적 통제감이 놓고 적극적 대처를 많이 하는 편부모일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또한 고연령이고, 건강상태가 좋고, 종교를 갖고 있으며 자녀와의 관계가 가까울수록 자존감이 높았다. 3) 삶의 만족도 모델에서는 자아통제, 소극적 대처, 적극적 대처가 유의한 변인으로 분석되어, 내적 통제감이 높고, 소극적 대처는 낮으며 적극적 대처력이 높은 편부모가 삶의 민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 건강, 종교, 자녀와의 관계는 두 모델에서는 유의하였으나, 자아통제 요인을 첨가하자 의미성이 없어졌다. 예상외로 부모, 형제, 친구, 공공기관, 종교기관으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거의 모든 모델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저소득층에게 제공되어지는 사회적 지지가 미미한 편으로 변이가 없기 때문으로 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소득층 편부모에게 사회적 지지는 물론 자아통제를 제고하는 것이 그들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게 하는 주요 방안이라 팔 수 있다. 앞으로 저소득층 편부모의 자아통제를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이의 적극적 실행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Study on Social Control and Accep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cusing on Biotechnology (과학기술의 사회적 통제와 수용성 연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 Lee Young-Hee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 no.1 s.1
    • /
    • pp.71-103
    • /
    • 2001
  • Usually social control and accep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thought to be a separate or even confronting thing. But this paper aims to go beyond this simple and dichotomous thinking. Rather, this paper argues that social control and accep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be combined altogether organically. In other words, this paper argues that social control of a particular science and technology has functional effects to the acceptance of that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 control of a particular science and technology is a signal that something is going wrong; it reallocates attention and enhances social awareness; it evaluates ongoing activity; and it alters this activity in various ways to secure a sustainable future. In order to prove this functional hypothesis, this paper tries a case study of biotechnology from a perspective of sociology of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social controversies around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GMOs) and embryo cloning in Korea are analysed deeply. As a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s som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 PDF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trol on Tie Strength and joint venture Performance (국제합작사업 참여기업 간 통제가 유대강도 및 합작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Won-Hee;Yang, Dal-N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87-88
    • /
    • 2020
  • 본 연구는 국내 ICT산업에서 국제합작투자 기업들을 대상으로 합작사업 참여기업 간 통제유형에 따라 참여기업간 유대강도 및 합작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제유형별(산출통제(Output Control), 과정통제(Process Control), 사회적통제(Social Control))로 국제합작사업 참여기업 간 유대강도에 및 합작성과에 어떠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국내 ICT산업에서 국제합작사업에 참여하는 기업들의 특징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n the impact of optimistic bias and control illusion in COVID 19 Preventive Behavior (COVID 19 방역행동에 있어서 낙관적 편견과 통제성 편향의 영향에 관한 연구)

  • Jeong, Hyeonju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2
    • /
    • pp.223-233
    • /
    • 2022
  • In addition to optimistic bias which can be a biased phenomenon in perceived susceptibility, including illusion of control which is a distorted phenomenon,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demonstrat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important variables and COVID 19 personal preventive behaviors and social distancing practice. Conducting Survey utilizing online pannel from Macromill Embrain, the present study performed regression analysis, setting personal preventive behavioral variables such as mask wearing, hand washing, using hand sanitizer as independent variable, and analyzed how these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control illusion and optimistic bias. As a result, COVID 19 personal preventive behavior didn't have direct effect on optimistic bias and control illusion except for hand washing. Finding, also, showed that control illusion affected optimistic bia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se variabl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demographic variable such as gender and age.

The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Social Anxiety of Young Adults in Twenties: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s Mediators (20대 성인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과 정서표현 양가성을 매개변인으로)

  • Kim, Dae-hi;Kim, Myung-shig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7 no.1
    • /
    • pp.51-7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ify the relationship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perceived by young adults in twenties and their social anxiety,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the model. The online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50 young adults in twenties to assess the four major variables(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nalized sham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ocial anxiety). In correlation analysi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social anxiety,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were positively correlated.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test the mediating effects, and this study 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vealing the path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o social anxiety by mediator such as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Finally,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social anxiety partial mediator model was support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higher the level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the higher the level of internalized shame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subsequently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anxiety in twentie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tasks were discussed.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privacy concern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Focused on perceived sense of control (사회적 배제가 프라이버시 염려와 개인정보 제공의도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통제감을 중심으로)

  • Jeon, Sooji;Jeong, Hyew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10
    • /
    • pp.151-161
    • /
    • 2021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how social exclusion affects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sense of control in the proce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ocial exclusion increases users' privacy concerns and reduces the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the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was significant. In other words, it was proved that sense of control can reduce the influence on privacy concerns and personal information provision intentions due to social ex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social exclusion can act as a factor influencing privacy concerns and intention t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nd that perceived control can reduce the effect of social exclusion.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as influencing variables in privacy research.

MMORPG에서 길드 구성원들의 사회적 지지를 통한 심리적 요인들이 플로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Kang, Ju-Seon;Go, Il-Sang;Go, Yun-Jeo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6a
    • /
    • pp.897-902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MMORPG 게임의 길드 내에서 사회적 지지가 캐릭터와 길드를 통해 플로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MMORPG 게이머들을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한 결과 사회적지지 요인을 발견하였고, 인터뷰 결과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캐릭터통제력,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제시하였고, 매개변수로 캐릭터 동일시, 길드 동일시, 자아존중감을, 종속변수로 플로우, 충성도를 도출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WoW(WorldofWarcraft) 이용자 244 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전체적인 연구모형의 구조적 적합도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SEM)분석을 이용하였다.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연구결과를 밝혀냈다. 첫째, 사회적지지는 캐릭터 통제력, 캐릭터 동일시, 길드 동일시, 자아존중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캐릭터 통제력은 캐릭터 동일시, 길드 동일시,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캐릭터 동일시는 자아존중감과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길드 동일시는 자아존중감과 플로우,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아존중감은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Influence of Social Isola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through Self-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장·노년층의 사회적 고립감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자아통제감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Lee, Hyuk-Joon;Lim, Jin-Seop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1
    • /
    • pp.482-49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between the social isolation and smart phone addiction in elderly. Under this relationship, we investigated the double-mediation effects of self-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from 404 elderly in DaeJeon, South Korea. The final sample were 404 who fully responded. As a resul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ocial isolation of elderly significantly effected directly in smart phone addiction. Furthermore, self-regulation and social support effected the smart phone addiction indirectly through the double-mediation pa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future studies of the smart phone addiction of elderly are suggested.

Determinants of Sense of Control in Later Life (노년기 자기 통제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

  • Jang, Yuri;Lee, Jeongnam;Yoon, Hyunsook;Kim, Soo-Young
    • 한국노년학
    • /
    • v.28 no.4
    • /
    • pp.1055-1068
    • /
    • 2008
  • Given the central role of sense of control in physical and emotional well-being,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eterminants of sense of control among Korean elders. We considere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gender, marital status, education, and self-perceived economic status), health-related factors (chronic conditions, functional disability, and sensory impairment), stressful life events, and network-related resources (network of relatives, network of friends, and filial satisfaction) as potential predictors. Sense of control was measured with Pearlin and Schooler's (1978) Mastery Sca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ith 291 Korean elders aged 60 or older (M age = 69.9) identified lower self-perceived economic status, more chronic conditions, greater functional disability, greater vision impairment, more stressful life events, and lower filial satisfaction as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a diminished sense of control. Because most of the identified risks represent normative experiences during later life, the results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preserving or promoting sense of control for older adult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고등학생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Byeon, Sang-H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8a
    • /
    • pp.243-259
    • /
    • 2010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의사소통이 사회적 효능감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의사소통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경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사회적 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또래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의사소통과 사회적 효능감에 긍정적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또래상담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이라 여겨지며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이 프로그램이 활용되어야 한다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