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적동기

검색결과 1,057건 처리시간 0.033초

A Study on Motivation and Utilization of SN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 Moon, Jae-You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1호
    • /
    • pp.271-276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고등학생들이 SNS를 사용시 중요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회적 동기,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 심리적 동기가 SNS 이용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러한 만족도는 가치관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사회적 동기를 제외한 유희적 동기, 기능적 동기, 심리적 동기가 SNS 이용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이러한 만족도는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고교생들이 SNS를 사용하는 이유는 자신들이 필요로 하고 자신들이 즐거워하는 즉 개인적인 관점에서 SNS를 사용하는 것이지 사회적 현상 등과는 관계가 없다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 동기는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동기인 여러가지 사회적 현상은 청소년들이 SNS를 사용하는 계기 및 주제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으며 기능적 동기는 유희적 동기와 심리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SNS가 제공하는 여러 다양한 기능이 SNS를 선택하여 사용하는데 긍정적인 작용을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압력의 조절효과 (Influence of User-Motivation on User-Commitment in Social Media: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Pressure)

  • 배지우;박정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462-474
    • /
    • 2015
  •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이용자를 대상으로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자 동기가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소셜미디어에 대한 사회적 압력이 양자의 관계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소셜미디어 이용자 동기 차원을 각각 사회적 동기, 기능적 동기, 유희적 동기로 구분하였으며, 사회적 압력은 정보소외압력과 동조압력으로 구분하여, 각 차원에서 사회적 압력이 이용자 동기와 이용자 몰입의 관계에 있어 어떤 차별적 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자의 사회적 동기와 유희적 동기는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자 몰입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소외압력은 기능적 동기와 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동조압력은 사회적 동기와 몰입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발생하였다. 본 논문은 소셜미디어에 대한 이용과 몰입 현상에서 사회적 압력이 작용하는 방식에 대한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와 관련된 사회적 압력에 대한 보다 세분화된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이 이용자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제기된다.

청년예비창업가의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로

  • 권영성;정화영;김명숙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1-6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청년예비창업가의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사회적 자본을 조절효과로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최근 앞으로의 국가경제를 이끌어갈 청년들의 일자리 부족문제와 청년실업률(15세에서 29세의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의 비율)의 증가에 따른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하고 국가경제발전을 위해선 창업은 매우 중요한 전략 중 하나이며 이를 위해 정부에서는 (청년)예비창업가들의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노력하고 있다. 창업의지에 있어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를 가지게 되면 (청년)예비창업가들은 자신들이 부족한 사회적 자본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 속에서 사회적 자본을 가지고 있고 없고의 차이로 인한 (청년)예비창업자들의 창업의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그렇기에 창업의지에 있어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 그리고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첫째, 창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분석, 둘째,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분석, 셋째, 사회적 자본이 창업가정신과 창업의지에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여부 분석, 넷째, 사회적 자본이 창업동기와 창업의지에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가지는지 여부 분석 등이다. 현재까지 받은 140개의 설문을 받았으며, 본 연구는 창업가정신과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적 자본은 창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가질 것인지, 사회적 자본은 창업동기와 창업의지의 관계에서 정(+)의 조절효과를 가질 것인지 등을 분석할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설문지를 통해 가설에 대한 검증을 할 것이며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통해 (청년)예비창업가에 창업의지에 있어 창업가정신, 창업동기, 사회적 자본의 필요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려 한다.

  • PDF

중국 유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s of Chinese Student's Social Support on Subjective Well-Being: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 장준호;지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8호
    • /
    • pp.133-139
    • /
    • 2021
  •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회적 지지가 성취동기를 매개로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러한 과정에 있어서 주관적 웰빙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핵심 변수로 성취동기의 성공추구 동기와 실패회피 동기의 매개효과를 명확히 규명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사회적 지지는 성공추구 동기와 실패회피 동기를 향상시키며, 성공추구 동기와 실패회피 동기는 주관적 웰빙을 강화하는 요소로 판명되었다. 또한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성공추구 동기와 실패회피 동기의 매개효과 및 다중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성공추구 동기만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함과 동시에 향후의 연구 방향에 관해서 논의하였다.

게임 이용 동기가 게임 내 사회적 이용 행동을 매개로 현실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 MMORPG를 배경으로 (The Influence of Game Motivation on the Interpersonal Competence through Social Behavior in MMORPG)

  • 양서윤;최수미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7-82
    • /
    • 2020
  • 본 연구는 MMORPG 이용동기가 MMORPG의 사회적 이용을 매개로 현실의 대인관계 유능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MMORPG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총 496부의 설문을 회수하였다. 분석 결과, MMORPG 이용동기와 대인관계 유능성 간 관계에서 MMORPG의 사회적 이용은 완전매개하였다. 이용 동기 중 사회적 관계성 이용 동기는 MMORPG의 사회적 이용을 정적으로 완전매개하여 대인관계 유능성에 영향을 주었다. 몰입/도피 이용 동기의 경우 대인관계 유능성에 직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MMORPG의 사회적 이용을 부분 매개하여 부정적인 영향이 다소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다중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Individual Motivation on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s :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multiple commitment)

  • 문영주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2호
    • /
    • pp.493-523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개인적 동기(심리적 동기, 직무 동기)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되, 다중몰입(직무몰입, 경력몰입,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 초점을 둔 연구로, 자기결정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을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예측 모형을 제안하고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15개 시·도의 이용시설, 생활시설, 보건의료 기관, 기타 사회복지 관련 재단 및 협회, 각종 센터, 기관에 근무 중인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우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배포된 총 1,918부의 설문지 중 회수된 1,671부를 검토하여 이직의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979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동기와 직무 특성은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복지사의 역할 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충동적 경로 모형이 심리적 동기와 직무 특성에 한해 부분적으로 지지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동기와 직무 동기는 다중몰입을 통하여 이직의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반영적 경로 모형이 경력몰입, 직무몰입, 조직몰입 모두에서 지지됨을 알 수 있었다. 다중몰입 요인 중 이직의도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변수는 경력몰입이며 그 다음이 직무몰입, 조직몰입 순으로 나타나, 향후 경력몰입에 대한 학계의 관심이 증대되어야 함을 보여 주었다. 이상을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경력관리 방안과 사회복지조직의 인적자원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COVID-19 이후 개인적 동기와 사회적 동기차이에 따른 온라인 학습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online learning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personal and social motivation after COVID-19)

  • 진홍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13-120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으로 급격한 온라인 수업으로의 전환이 학습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동일주제 과목 오프라인 수업과 온라인 수업의 형태에 따른 학습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동일 과목의 오프라인 수강생 105명과 온라인 수강생 244명을 집단 비교하였고 개인적 동기 수준과 사회적 동기 수준의 차이로 분류하여 통일관련 인게이먼트에 미치는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고자 Two-way ANOVA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적 동기와 수업유형 간에는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사회적 동기의 경우 수업 유형에 따라 상호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온라인 교육이 교육 이슈에 대한 인게이지먼트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동기가 낮은 집단의 변화가 사회적 동기가 높은 집단의 변화보다 큰 것으로 나타나 온라인 교육이 사회적 동기가 낮은 집단에 오히려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온라인 교육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개인적 동기 보다는 사회적 동기를 자극함으로써 학습 결과인 학습자의 행동적 변화와 태도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자들의 학습참여동기와 학업만족도 (A Study Exploring the Relationship of Educational Participatory Motiv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among Adult Social Work Students of a Cyber University)

  • 임효연;이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403-415
    • /
    • 2014
  • 연구는 서울시내 소재의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학습참여동기 유형의 수준과 학습참여동기가 학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어졌다. 본 연구는 총 196명의 자료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전공자들의 학업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참여동기의 수준은 목적지향동기, 학습지향동기, 활동지향동기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참여동기가 학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연령, 그리고 세 가지 유형의 학습참여동기가 모두 학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설명력의 크기는 목적지향동기, 학습지향동기, 활동지향동기의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전공 성인학습자들은 목적지향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는 교과과정의 충실을 포함한 교육환경개선 방안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비교적 학업만족도 수준이 낮게 나타날 수 있는 젊은 연령층 학생의 학업욕구의 파악과 반영이 필요하다. 셋째, 배움과 자격증, 학위 등의 동기 외에 사회복지전공자들의 이타적인 성향을 반영한 활동지향적 동기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 등의 모색이 필요하다.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Effect of Intrinsic Learning Motivation on Korean Language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김혜경;정은경
    • 한국심리학회지 : 코칭
    • /
    • 제6권2호
    • /
    • pp.75-92
    • /
    • 2022
  •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가 아동 청소년의 적응과 학업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그러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제 학업적 수행을 측정하여 내재적 학습동기와 사회적 지지의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드문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에게 내재적 학습동기가 국어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지방 군단위 지역의 초등학교 5, 6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내재적 학습동기와 가족 및 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측정되고 약 5개월 후 국어시험이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국어수행은 내재적 학습동기,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학습동기화와 사회적 지지간에도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통제변인을 넣고 분석한 회귀분석에서도 내재적 학습동기는 국어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는 다중가산조절모델을 통해 가족 지지와 교사 지지로 나누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학습동기화와 가족 지지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으나 교사 지지는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지지의 수준에 따른 단순회귀선의 유의성 검증 결과 교사 지지가 높을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 수준과 관계없이 국어수행이 높게 나타났으나 교사 지지가 낮은 수준일 때는 학생의 학습동기에 따라 가파른 기울기를 보이며 국어수행의 변화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중국 네티즌의 블로그 활동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ral Recognition of Blog Activity with China Netizen)

  • 유승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2호
    • /
    • pp.101-110
    • /
    • 2011
  • 본 연구는 블로그 이용경험이 있는 중국 네티즌들을 대상으로 블로그 요인과 블로거의 심리적 특성요인이 블로그 활동 윤리의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 네티즌의 블로그 이용형태는 자아추구적 이용, 사회참여업무적 이용, 타인교류적 이용 및 사적즐거움 이용형태로 나타났으며, 그 중 자아추구적 이용과 사회참여업무적 이용 형태가 블로그활동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네티즌의 블로그 이용동기는 자아표현동기, 자아실현동기, 정보추구동기, 친구관계향상동기, 타인교류동기, 블로거 친구형성동기 및 은폐자아노출동기로 나타났으며, 정보추구동기,친구관계향상동기, 타인교류동기 및 은폐자아노출동기가 블로그 활동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네티즌 개인의 블로그 관여도와 사회참여 성향이 블로그 활동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 네티즌들의 사회적 관계와 타인 교류동기 및 개인 심리적 특성이 블로그 활동 윤리의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확인했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