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기업가

Search Result 396,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Promoting of Social Enterprise and Training System for Social Enterpriser (사회적 기업의 육성과 사회적 기업가 양성 체계)

  • Lee, Yoon-J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8
    • /
    • pp.341-348
    • /
    • 2010
  • The aim of this article is suggesting the training system of social enterpriser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the promoting of social enterprise to meet the demands of the times. The part of discussion about the promoting of social enterprise addresses the social background, a fundamental concept, directivity, the present condi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the current social enterpriser's training program. The part of proposal about the training system of social enterpriser gives two areas that support social enterprise's establishment and conversion with supply a basic knowledge of social enterprise and deal with expert knowledge and management strategy making preparations as a social enterpriser. These suggestions introduced in the training system should go ahead in phases through the government aids.

Is a social enterprise academy program correlated with changes in social entrepreneurship? A case study of S social enterprise academy (사회적기업 교육과 사회적기업가 정신과의 상관관계 연구 : S 사회적기업 아카데미를 중심으로)

  • Han, Chang-Keun;Park, Eun-Young;Oh, Danny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v.44 no.1
    • /
    • pp.33-60
    • /
    • 2013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a social enterprise academy program influences social entrepreneurship. This study also examined changes in self-concept, civic consciousness, and welfare attitudes as key covariates of social entrepreneurship. This paper used a case study of a social enterprise academy program which was held for two months in S social enterprise academy in 2012. Survey questionnaire with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social entrepreneurship, self-concept, civic consciousness, and welfare attitudes w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t the first and last weeks of the program. In total, 55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two surveys. Key findings suggest that program participants have no positive changes in social entrepreneurship, self-concept, civic consciousness, and welfare attitudes. In particular, interests in new market as a measure of social entrepreneurship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during the study period. In addition, welfare attitudes have been changed in a negative way. This paper concludes by discussing future directions of social enterprise academy program.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창업자의 개인적 특성과 사회적기업가정신이 사회적기업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 Jo, Hyejung;Kim, Mi Ri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5 no.5
    • /
    • pp.157-17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on social entrepreneurship intention,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influen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objectives,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social entrepreneurship were identified with moral obligati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lso, prior studies on social entrepreneurship and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ship intention were reviewed. As a result of the study, we find that moral obligation, self-efficac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ntrepreneurship. Second, social entrepreneur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ship intentions. Third,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men and wome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value of the path coefficient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 obligation and social entrepreneurship. However,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entrepreneurship by gender.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reference for people who want to start a social enterprise in the future to verify their characteristics and use them as a way to improve their social entrepreneurship.

The Effect of Network Variety & Strength on a Social Enterprise (네트워크 다양성과 강도가 사회적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Kim, Min-Suk;Chung, Dae-Yo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12a
    • /
    • pp.237-240
    • /
    • 2009
  • 1844년 Rochdale Pioneers는 소비자 협동조합을 만들고 그 첫 번째 상점을 열었다. 이 소비조합을 통해 지역 주민에게 양질의 식품을 저렴한 가격에 제공했다. 이러한 유럽의 전통적이고 좌파성향의 경제적 분배이념이 발전하여 유럽의 사회적 기업의 발판이 되었다. 뿐 만 아니라 1991년 이탈리아에서는 주주나 소유주의 이익 산출보다는 공동체 또는 구성원을 위하는 사회적 경제 개념의 협동조합이 시작되었다. 1980년 아쇼카 재단의 설립자 빌 드레이튼은 슘페트에 의해 처음 소개된 '기업가정신'을 한 단계 높은 차원으로 끌어올렸다. 그는 기업가 정신을 사회적 혁신에도 적용하여 사회의 난제에 대해서도 창조적 파괴를 시도하자는 뜻에서 사회적'과 '기업가'를 합성하여 사회적 기업가 정신이라고 사용했다. 이러한 사회적 기업의 발전 과정에서 보면 유럽과 미국의 인식의 차이를 우리는 느낄 수 있다. 유럽의 경우는 좌파적 성향이 담겨져 있다. 유럽의 사회적 기업은 협동조합에서 알 수 있듯이 공평한 분배 개념에의 접근이다. 그에 비해서 미국의 경우는 우파적 성향이 강하다. 미국은 기업가 정신이 투철한 기업가가 많은 부를 축척하고 이렇게 축척된 부의 분배 과정에서 사회적 가치가 강조된다. 이러한 사회적 기업을 가능하게 하는 요인 중 하나가 사회적 자본으로 불리는 네트워크이다. 본 연구는 25개의 사회적 기업 실증을 통하여 생존을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강도가 사회적 기업의 기업생존과 고용성장, 매출성장 나아가 권한위임에 정의 관계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 PDF

ICT중소기업의 기업가 정신과 혁신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 Roh, Doo-Hwan;Jeong, Young-Keun;Park, H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387-412
    • /
    • 2017
  • 우리나라의 중소기업은 국가경제의 근간을 이루고 있으며, 고용창출, 기술혁신, 산업의 다양성 등 여러 측면에서 국민경제 발전에 있어서 실질적인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소기업은 기술혁신을 통해서 혁신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더 중요해졌으며, 내부자원의 한계로 인해 경영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와 여러 가지 도움들을 외부와의 협업과 다양한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습득해 나가고 있다. 더 나아가서 시장기회를 포착하고 조직 성장을 위한 수단들을 모색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업가 정신 또한 필요하다. 본 연구는 ICT중소기업의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 기업가 정신과 기업의 혁신역량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으며, 사회적 자본이 기업가 정신과 기업성과 간의 조절역할을 하는지 살펴보고자 1,2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 정신은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사회적 자본 변수가 기업가 정신과 기업성과 간의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혁신 역량이 기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사회적 자본 변수가 조절효과를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기업가 정신이 기업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사회적 자본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Performance in Social Enterprise (기업가지향성, 시장지향성,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Jang, Su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6
    • /
    • pp.355-366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performanc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CSR activities. This model tests various theoretical research hypotheses relating to social enterpris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CSR activities.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ve been classified as innovativenes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And CSR activities have been classified as community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e proposed model is analyzed to target social entrepreneurs. Valid 115 questionnaires have been collected within three months of 2013. Smart Partial Least Square(PLS) 2.0 have been utilized for deriving the study results.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First, innovativeness and proactiveness positively influence market orientation. But risk-taking does not influence market orientation. Second, market orientation positively influence community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Finally, community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 social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to improve social performance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arket orientation, and CSR activities.

The Impa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Preliminary Social Entrepreneurs and General Entrepreneurs: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사회적기업 및 일반기업 예비 창업가의 창업효능감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Cho, Young bohk;Son, Jin Hyun;Jung, Ki Bum;Lee, Na You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3 no.1
    • /
    • pp.89-10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analyze how social support gained through social relations influences on the relation betwee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s study outcome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both general corporate and preliminary social entrepreneur are to examine tha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positively influences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Second, in the case of the social support, it didn't influence on preliminary general corporate. And only feedback support and instrument support are related to influence on preliminary social entrepreneur among social supports. This study shall have a significance in using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tha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fluenc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y looking int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classifying general corporate and preliminary social entrepreneur who have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사회적기업가의 리더십과 역할스트레스, 의사소통,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Son, Jeong-Hwa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9.04a
    • /
    • pp.69-74
    • /
    • 2019
  • 사회적기업이란 영리기업과 비영리기업의 중간형태로서 사회적기업육성법에서는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혹은 판매 등의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으로서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증을 받은 기업을 말한다. 현재 사회적기업은 2019년 3월말 기준 2,154개의 기업이 활동하고 있다. 사회적기업의 양적증가에 따라서 사회적기업가 리더십과 조직의 존재가치를 설명하는 조직유효성이 중요하다. 조직유효성의 증가하기 위해서,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들 중에서 어떤 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기존연구는 사회적기업 조직유효성에 대한 조직문화, 리더십 등 조직 관련 개별요인과 조직유효성과의 관계 파악에 한정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소셜미션을 추구하는 사회적가치와 지속가능성을 위한 경제적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기업의 특성에 따른 역할 스트레스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뿐 아니라 리더십, 의사소통, 조직문화의 개별적 요인 뿐 아니라 통합적인 적용을 하고자 한다.

  • PDF

The Mediating Model among Entrepreneur's Political Skill, Social Network, and Entrepreneurial Performance (벤처 기업가의 정치적 기술, 사회적 네트워크 그리고 기업가적 성과 간의 매개모형)

  • Chung, Dae-Yong;Kim, Choon-Kwang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11b
    • /
    • pp.716-720
    • /
    • 2010
  • 본 연구는 중소 벤처기업에서 성과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기업가를 대상으로 기업가의 정치적 기술과 사회적 네트워크가 기업가적 성과와 어떤 영향관계를 갖는지 고찰하고자 한 탐색적 성격의 실증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기업가의 사회적 역량인 정치적 기술은 사회적 네트워크와 기업가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네트워크는 일부 하위 요소만이 기업가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약한 유대의 네트워크 원천은 정치적 기술과 기업가적 성과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같은 연구결과는 중소 벤처기업에서 성과 창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기업가를 대상으로 역량과 성과의 관계를 고찰했다는 점, 그리고 기업가의 사회적 네트워크가 사회적 역량인 정치적 기술과 기업가적 성과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또한 정치적 기술이라는 구체적이고도 새로운 선행변수의 도입과 사회적 네트워크의 역할 수립이라는 점에서 이론적 공헌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성과 창출 이전 단계에 해당하는 기업가의 역량 개발에 관한 실제적인 정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실무적 공헌을 찾을 수 있겠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mediated Corporate Entrepreneurship of Venture upon Corporate Performance (매개로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 Chung, Dae-Yong;Roh, K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800-802
    • /
    • 2010
  • 최근 기업가정신 관련 선진연구동향을 살펴보면, 네트워크를 원천으로 한 자원자본인 사회적 자본과 조직기업가정신이 벤처기업에게 다양한 자원과 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들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동태적 역량의 관점에서 사회적 자본과 조직기업가정신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색적으로 각각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국내 171명의 벤처기업 기업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에 근거한 자원 자본인 사회적 자본은 조직기업가정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은 벤처기업의 기업성과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기업가정신은 기업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원조달관점에서 태생적인 불리함을 지니고 있는 벤처기업에 있어 사회적 자본과 조직기업가정신이 기업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변화와 혁신의 요구를 상대적으로 치열하게 경험하고 있는 벤처기업은 외부 자원을 활용할 수 있는 사회적 자본의 축적과 조직기업가정신 활동을 적절히 수행할 때 비로소 지속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시준점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