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복지관 간호사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9초

사회복지관 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사회복지관 간호사의 역할 (A Study on a Role of a Nurse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eing Recognized by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Social Workers)

  • 장윤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495-513
    • /
    • 2004
  • As this study is the descriptive research study that tries to present the basic data aiming to establish a role of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y surveying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towards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that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social workers recognize, it carried out the Questionnaire research targeting nurses who are working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located in Seoul and social workers of institutions where nurses are working, and then analyzed the results, 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Both the group of nurses and the group of social workers were highly recognizing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expected that more effective services will be possible to be offered by means of that nurses do work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However, compared to the degree that social workers recognize a nurses specialty, the nurses thought that their specialty is not acknowledged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even in case of duty friction between groups being felt while social workers and nurses are working together, nurses were experiencing further friction of duties. While nurses are well recognizing their roles, they are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recognizing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lower than expected, thu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ole expectation and the role performance could be seen. Also, the group of nurses showed the higher role expectation towards nurses than the group of social workers, and in relation to roles of a counselor, referral resource, an advocator, an educator, a case manager, a and a coordinator, the degree of role expectation by the group of nurses i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roup of social workers, thus it could be seen that there is difference in the expectation degree between both groups, as to a role of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n particular, as to a role of universally medical services, the expectations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showed mutual agreement, but in relation to a role of nurses for community in the more expanded sphere, social workers did not show a receptive attitude, thus it was indicating that there exists an element of role conflict. In relation to the role performance of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nurses were feeling the disorder degree more than social workers, in all items of disorder factors, and there was difference in recognition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as to the priority of disorder factors. Because of, through this study, having been found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role expectation, the degree of role performance, and a disorder factor between nurses and social workers, as to the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it is required a study with a more diversified method on a role of nurses for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 PDF

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 조사 (A Study on the Social Worker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in Korea)

  • 이혜원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9권
    • /
    • pp.266-289
    • /
    • 199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복지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고, 사회복지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전국의 가형 종합사회복지관 부설 재가복지봉사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전체를 표본으로 국내에서 신뢰도와 타당도가 확보된 노화사실 인지척도를 사용하여 이들의 노화사실에 관한 인지정도를 측정하고, 윤진(1988)의 척도를 재구성하여 노인에 대한 태도를 평가하였다. 설문지의 회수율은 71.6%이며, 수집된 자료 129부는 주로 티검증(t-test)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1) 노화사실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인지정도는 65.3%로서 간호사(65.0%)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2) 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는 평균 65.5점으로서 산술적으로 중간인 63.0점(최하 $1{\times}21$=21점과 최고 $5{\times}21$=105점) 보다 약간 긍정적이며, 대다수의 선행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간호사의 부정적인 태도와는 차이가 있었다. (3) 노인에 대한사회복지사의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회복지사의 노화사실 인지정도(p<0.001), 노인과 동거경험(p<0.001), 노인대상 자원봉사경험(p<0.05)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태도를 긍정적인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보건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효율적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I: 모델 개발을 위한 사례관리 적용 (The Health and Welfar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It's Effectiveness: Operation of An Interdisciplinary Team Approach for Model Development)

  • 김정우;이주열;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35권
    • /
    • pp.107-131
    • /
    • 1998
  • 다양한 사회복지와 보건의료 서비스를 체계적,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통합기능 창출 노력의 첫 단계로서, 서울시 은평구에서 각종 보건의료 및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생활보호 노인 및 장애인들을 시법 사례로 선정하여 사례관리 팀 접근법을 적용 실천해 보았다. 본 연구는 사례관리 팀의 구성과정 및 실천과점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보건소의 가정도우미 및 담당 사회복지사, 방문간호사, 사회복지관의 재가복지담당 사회복지사 등으로 구성된 사례관리팀에서는 1) 클라이언트와 생활환경에 대한 정보 교환, 2) 각 기관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고 있는 서비스 내용 파악, 3) 클라이언트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 내용 파악, 4) 클라이언트 욕구에 대한 우선 순위 설정, 5) 단일 클라이언트에게 중복 실시되는 서비스 내용 조정, 6) 사례별 사례관리자의 지점, 7) 서비스 통합 또는 연계 체계 구축 시 고려해야할 문제점 등을 다루었다. 보건소나 사회복지관은 클라이언트에 대한 제한된 정보를 가지고 각 기관별로 부분적인 사례관리를 하여 단일 클라이언트에 대한 관리체계의 분열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는데 사례관리 팀을 운영함으로써 중복된 서비스 지원의 방지와 적절히 조정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었다. 통합서비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서비스 통합 체계를 주도적으로 이끌 수 있는 주체가 중요한데 지역사회 단위에서 공공기관이 중심이 되어 민간기관의 참여와 협조를 이끌어 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서울시 복지관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The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at Welfare Centers in Seoul)

  • 임희자;정혜선;구정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41-350
    • /
    • 200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factors affecting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at the welfare centers. Methods: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140 nurses who were working at or had retired within 1 year from general welfare centers in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March 29 to February 29 2004. We used a questionnaire asking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work characteristics. stress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We analysed 103 subjects who replied to the questionnaires. Results: The mean job stress level was 2.84 out of 5 and. as for the sub-factors of job stress. income was 4.19, career development 3.69, service environment 3.26 and support system 1.90. The mean job satisfaction level was 3.32 out of 5 and. as for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job control was 3.58, efficiency of organization 3.27, job burden and responsibility 2.92 and role ambiguity 2.25. When the nurses' job stress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ir general and work characteristics. stress level was significantly high in nurses who had a short experience. were working at the department of senior welfare center. or were the only staff at their workplace (p <0.05). In addition. satisfaction level was significantly high in nurses who were working at the department of senior welfare center and medical welfare team. were the only staff at their workplace or had a heavy work load (p<0.0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job stress level was influenced by age ($R^2$=0.212. p<0.01). and job satisfaction level by the number of staffs and work' load ($R^2$=0.272. p<0.1).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good atmosphere should be made up to communicate between the departments at the workplace in order to lessen job stress and enhance job satisfaction of nurses working at welfare centers. In addition. role division and job duties among special staffs should be reviewed in order to achieve high efficiency in performing job duties.

  • PDF

웃음요법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관절통증, 관절기능상태,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Laughter Therapy on Joint Pain, Functional Status of Knee Joint and Depression in Elderly with Degenerative Knee Arthritis)

  • 이임선;박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40-449
    • /
    • 2020
  • 본 연구는 웃음요법이 퇴행성 관절염 노인 환자의 관절 통증, 관절기능 이상, 우울에 주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단일맹검, 무작위 배정을 통해 S시의 경로당 및 복지관을 이용중인 65세 이상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을 대상으로 실험군 26명, 대조군 26명을 선정하였다. 2019년 1월 8일부터 3월 11일까지 주 2회, 회당 60분, 8주, 총 16회의 웃음요법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VAS, 압통역치, WOMAC, 한국형 노인 우울 단축형 척도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 역치(p=.012)와 통증, 관절경직, 신체기능을 측정하는 관절기능상태(p<.001), 우울(p<.001)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 후 개선되어 웃음요법이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웃음요법은 육체적 또는 지적 활동을 통해 웃음을 경험할 수 있는 치료적 개입으로 침습적인 시술이 이루어지지 않고 약간의 훈련으로 간호사들이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웃음요법을 지역사회 및 임상 현장에서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우울을 개선하는 중재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