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능력

검색결과 3,320건 처리시간 0.031초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및 친사회성 간의 구조적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on Children's Pet Attachment, Empathy Ability and Prosociality)

  • 한아람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97-406
    • /
    • 2016
  • 이 연구는 최근 아동의 친사회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로 부각되고 있는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및 친사회성간의 구조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애완동물을 기른 경험이 있는 대전광역시 초등학생 209명을 대상으로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및 친사회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신뢰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이 친사회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이 아동의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공감능력이 친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친사회성 사이에서 공감능력이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아동의 친사회성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는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은 필수요소임을 시사한다. 또한 아동의 친사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애완동물 기르기 등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향상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애완동물에 대한 애착과 공감능력 그리고 친사회성 향상을 위한 방안 마련에 이론적이고 실천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해 준다.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Verbal Expression Ability on Their Prosocial Behaviors)

  • 정윤이;황혜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5-23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9개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만 4세반 유아 44명과 만 5세반 유아 42명, 총 84명이다. 유아의 언어표현력은 장영애(1981)가 만 3-5세 수준에 맞게 제작한 언어표현능력 도구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김영옥(2003)이 개발한 교사용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PBSYC)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표현능력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을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표현능력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에 그림보고 이야기 꾸미기의 하위 요인 중 내용의 일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언어표현능력이 뛰어난 유아가 또래와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하고, 도움을 주며, 자신의 능력을 활용하여 또래를 배려해 줄 수 있고, 자신의 것을 나누며 감정을 조절하는 데 있어서 그렇지 않은 유아보다 유능하다고 하겠다. 이를 바탕으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사는 유아의 언어표현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교육적 활동을 제공하고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언어를 지도해야 함을 시사한다.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f High School Stude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 김주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623-633
    • /
    • 2019
  •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의사소통능력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사회적지지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의사소통능력이 매개효과를 가지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경기지역 다문화센터를 이용하는 고등학생 1, 2, 3학년을 대상으로 실시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총 11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와 학교적응과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검증 단계를 거쳤으며 Sobel test를 통해서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이 지각한 사회적지지의 빈도와 의사소통능력은 학교적응과 서로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지지의 중요성에 대한 지각은 의사소통능력과는 정적인 상관을 보인 반면, 학교적응과는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둘째, 지각된 사회적지지(빈도)와 의사소통능력은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고등학생의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의사소통능력은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나타난 부각요인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on the Procedures of Becoming a Scientist)

  • 장경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31-1142
    • /
    • 2004
  •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에서 드러난 부각요인을 분석한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 면담자의 83%는 자신의 적성이나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이 부각되었다. 이러한 과학자들은 진로선택과정에서 자신의 흥미와 관심을 중요시하였으며 동시에 왜 흥미를 느끼는지에 대한 이유를 명확히 진술하였다. 학교 성적은 87%의 과학자가 초 중 고등학교 전체 성적이 상위 10%이내에 들었다. 가정환경에서는 부모의 영향이 가장 부각되었는데, 특히 진로에 대해 조언을 한 아버지의 영향이 지배적이었다. 학교환경에서 가장 부각된 요인은 교사였다. 특히 과학교사의 수업과 대학 교수의 영향이 중요하게 언급되었다. 고등학교 3학년에 진로를 결정한 경우는 고등학교 과학 교사의 영향이, 대학교 1학년 이후에 진로를 결정한 경우는 대학교 교수의 영향이 부각되었다. 사회문화적 환경에서는 미래 직업 기회와 관련된 사회적인 전망이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연령이 젊을수록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과 사회적인 전망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물리학자들은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이, 화학자들은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하는 능력과 사회적인 전망이, 생물학자들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다양한 요인들이, 공학자는 아버지의 조언과 사회적인 전망이 부각되었다. 그리고 과학자들의 진로선택과정을 분석해 본 결과 대부분 제도적으로 진로를 결정해야하는 고등학교 3학년과 대학교 1학년말에 진로를 결정하였다. 결론적으로 과학자들은 현재의 진로를 선택하면서 자신의 내부적 요인과 외부적 요인을 모두 고려하였다. 내부적 요인으로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중요하게 고려하도록 한 것에는 중고등학교 과학 교사와 대학교수의 역할이 관련되었으며, 외부적 요인인 사회적인 전망은 아버지가 진로에 대해 조언한 것과 관련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우수한 과학인력을 양성하기 위해서 자신의 적성과 능력을 파악할 기회, 과학자와 과학적 연구 활동에 대한 부모의 긍정적인 인식과 전망의 제시, 우수한 능력을 지닌 교사와 교수의 확보, 과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등이 이뤄질 수 있는 과학교육적 환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디지털교과서 활용 시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학생의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level of ICT Ability on Social Competency of Student in Digital Textbooks)

  • 안성훈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65-574
    • /
    • 2018
  • 최근 3년간의 디지털교과서 효과성 분석 연구를 종합해 본 결과에 따르면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과 비판적 사고력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의 주요 효과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정보 활용 능력은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교과서 활용에 있어 정보 활용능력이 학생의 사회적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이를 위해서 상, 중, 하로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을 구분하고 각 수준별로 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생의 정보 활용 능력은 문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회적 역량(의사소통 능력, 협업 능력)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보 활용 능력 수준이 전체 점수에서는 '하'의 그룹이 사회적 역량에 가장 큰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며, 향상도 점수에서는 '상'의 그룹이 가장 큰 상관관계와 영향력(의사소통 능력 제외)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효과적인 디지털교과서 활용을 위해서는 다양한 방식의 정보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만나고 싶었습니다-정보시스템개발실

  • 양명석
    • 지식정보인프라
    • /
    • 통권16호
    • /
    • pp.96-99
    • /
    • 2004
  • 21세기는 지식기반 사회다. 보다 정확한 지식정보를 누가 더 신속하게 선점하는 가가 상품이나 노동력보다 높은 가치를 갖고, 정보 획득 능력의 차이가 사람의 능력을 좌우하는 사회인 것이다. 특히, 급변하는 과학기술계에서 정보 획득 능력의 차이는 R&D의 성패를 가르는 결정적 요인이다. 그리고 그 결정적 요인을 좌우하는 사람들이 바로 오늘의 주인공, '정보검색시스템의 마이더스'들이다.

  • PDF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아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직$\cdot$간접적 영향 연구 (Direct and Indirect Impact of Family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Reading Skills at Kindergarten Entry)

  • 손승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0호
    • /
    • pp.39-53
    • /
    • 2005
  • 본 연구는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정교육활동 및 유아동의 읽기 능력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다변수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미국 학령기 유아발달에 관련된, 가장 큰 자료중 하나인, Early Childhood Longitudinal Study-Kindergarten Cohort(ECLS-K)이다. 구조적 인과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 부모의 사회인구학적인 특성, 가정내 아동양육활동, 그리고 사회경제적 지위 등의 다양한 요인들이 유아의 읽기 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직접적으로, 그리고 간접적으로는 주로 가정내 책읽기활동을 통해, 아동에게 영향을 미쳤다. 또, 사회경제적 지위가 가정내 책읽기활동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모의 유치원 준비도에 관한 교육신념에 의해 매개되었다. 다시 말해, 사회경제적 지위는 유아의 읽기 능력을 직접적 그리고 간접적으로 예측하였다; 간접적으로는 부모의 교육신념을 통하여 가정내 읽기 활동을 예측하였고 다시 가정내 읽기 활동이 유아의 읽기 능력을 연쇄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가족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여러 경로를 통해 유아의 읽기 능력과 관련되었음을 보여주며, 사회경제적 지위가 읽기 능력 및 학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가족관련 매개변수를 연구에 포함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복합학제적 능력 및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학습성과 평가를 위한 융합교육형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Hybrid-typed Education Model for PO6 and PO7 Estimation)

  • 김은주;조영임;도승이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132-14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공학인증에서 필수적인 학습성과 평가항목 중 복합학제적 능력평가(학습성과 6)와 의사소통능력(학습성과 7)에 대한 평가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주관적 관점의 팀워크와 의사소통능력을 객관적으로 계량화하기 위해 팀워크와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채점기준(Rubric)을 활용하여 평가 기준을 제시한다. 학습성과 6,7번 항목에 해당하는 팀워크와 의사소통능력은 현대 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역량으로 사회 및 교육 분야에서 이루어진 많은 연구들은 팀워크와 의사소통능력을 학습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으므로 사회학적, 교육학적 관점이 함께 논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 점을 다룬 논문이 매우 드물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공학인증에서 필수적인 학습성과 6, 7번 항목에 대한 좀 더 타당한 평가 기준을 제시하기 위해 사회 및 교육학적 관점을 함께 제시하고자 하며 예시와 관련교과목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3세대를 통해서 본 모-자녀 애착관계와 사회적 능력: 전생애적 접근 (Mother-Child Attachment and its Effect on Social Competence; A Life-Span View)

  • 박성연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3권2호
    • /
    • pp.86-93
    • /
    • 1995
  • 본 연구는 애착관계를 중심으로 모-자녀간 상호작용의 특성 및 외조모 모, 손녀 3세 대간의 애착관계의 전이와 그것이 반영이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전생애적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14-20개월의 영아와 그 어머니 45쌍 국민학교 1,2,3학년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 226쌍 그리고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여학생과 어머니 외할머니로 구성된 모녀간 3세대 140쌍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애착관계는 전생애에 걸쳐 비교적 높았 고 상호작용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애착의 특징은 발달단계별로 달라 영아의 어머니에 대 한 애착관계는 어머니의 적절한 양육행동이 아동기는 신뢰감을 주는 양육행동이 청년기에는 애착감정이 그리고 중년기 이후에는 자율성만이 애착관계와 관련이 있었다 3세대간의 애착 관계의 전이는 중년기 이후에만 나타났고 애착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는 아동기,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까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애착관계가 전생애적으로 사회적 능력에 중 요함을 보여준다. 이상을 통해 볼 때 본 연구는 전체적으로 전생애적 관점에서의 애착이론 을 지지하였다.

  • PDF

스크래치를 활용한 PBL기반 학습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tudy Program Based on PBL using Scratch)

  • 김은정;김선회;남동수;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6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2호
    • /
    • pp.145-147
    • /
    • 2012
  • 현대사회는 지식정보화 사회이다. 사회는 점점 복잡해지고 개인은 여러 문제를 만나게 된다. 이러한 사회에서는 지식을 단순히 암기하는 능력보다 생활 속에 부딪히는 문제들을 지금까지 배워온 지식과 정보를 활용해서 해결해 나가는 능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기존의 주입식 교육에서 벗어나서 학습자 스스로 필요한 지식을 찾고 적용하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PBL학습을 도입하고자 한다. 그리고 스크래치언어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을 작성함으로써 초등학생들의 문제에 대한 고찰능력과 사고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를 활용한 PBL기반 학습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