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경제적 변인

Search Result 19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Participation- (사회경제적 변인이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노인의 여가참여의 매개효과-)

  • Jeon, Myeung-Sook;Tae, Myeung-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6
    • /
    • pp.323-333
    • /
    • 2016
  • This study aimed at specifically validat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elderly's leisure participation with regards to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This paper analyzed the data of 7,486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4th research of the 2012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by Korea Labor Institute. The outcome is as follows. First, among socio-economic factors, educational background, total household income and net asset were found to have positive impact on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When the level of the three factors was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life was also greater. Second, the three socio-economic factors (educational background, total household income and net asset) affected the elderly's satisfaction with life through mediating effect of leisure participation.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total household income and net asset showed more leisure participation, leading to greater satisfaction with life.

The effect of parents attachment, socioeconomic status, and perspective-taking on early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toward parents and siblings (부모와 형제에 대한 초기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애착, 사회경제적 지위 및 조망수용)

  • Carolyn Pope Edwards;Young Hi Ha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1 no.1
    • /
    • pp.43-57
    • /
    • 2005
  • Data were collected from 310 6th, 7th, and 8th grade students and parents by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parents attachment and parents monitoring, the higher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and siblings, the higher perspective-taking, the higher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and the higher socioeconomic status, the higher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More prosocial behavior toward parents was reported by girls than by boys. Prosocial behavior toward siblings did not show a gender difference. In the total group, high parent attachment and perspective-taking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high parent attach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In the boy group, high parent attachment and perspective-taking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high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In the girl group, high parent attachment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parents and high parent attachment and socioeconomic status predicted prosocial behavior towards siblings. Discussion focused on the relative importance of parents attachment, perspective-taking, and socioeconomic status in predicting early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

  • PDF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천 추이와 결정요인

  • Jeong, Seong-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8 no.1
    • /
    • pp.1-22
    • /
    • 2005
  • 본 연구는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천과 그 결정요인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출산력 감소의 속도와 인구변천 단계에서의 출산력 변화, 그리고 인구변천 후기에 출산력 수준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지난 40년간 개발도상국에서의 출산력 변화 추이를 검토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인구변천 과정을 사회경제적 변화에 관련시켜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사회경제 지표들과 영아사망률 및 출산력과의 관계는 대부분 예상했던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그 관계의 통계적 유의성은 조사 시기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사회경제적 지표 중 문맹률은 조사 시기에 관계없이 모두 출산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고 있어,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출산력이 낮아진다는 일반적인 견해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화율과 소득이 각각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은 시기에 따라 통계적인 유의성을 달리 하고 있다. 연구 모형에서 중요한 매개변인으로 설정된 영아사망률은 출산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영아사망률을 통하여 출산력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도 비교적 잘 드러나고 있다.

Analysis of Attitudes and Influencing Factors on Foreign Workers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태도와 영향요인 분석)

  • Lee, Mis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2
    • /
    • pp.150-16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attitudes of Korean people regarding foreign workers and to analyze the influence factors. Analysis of the attitude difference and the influential factors utilized the SPSS ${\chi}^2$ test and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2016 data obtained from the 'Koreans' Consciousness and Values'. Socio-demographic variables, national identity, and socioeconomic variables were used as explanatory variables. The attitude types (friendly, negative, and dual) of respondents were identified, and the influence of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ing these attitudes was identified. Analysis found they have a relatively generous stance on granting legal rights, while they are negative regarding the economic and social threats from foreign worke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influence. However, negative attitudes and dual attitude concerning with negative legal rights found common to the influence of the factors of national identity. Gender and ratio of foreign workers were influential factors for dual attitudes with a high economic threat. On the other hand, socioeconomic factors reflecting the realistic conflict theory were not found to have any effect. The negative attitude of foreign workers in our society can be regarded as cognitive threats rather than realistic experiences or conflicts.

The Influence of the Social-demographic Variables and Familism on the Family-selfish Behavior (가족이기주의행동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주의 가치관의 영향)

  • 조희순
    • Journal of Families and Better Life
    • /
    • v.13 no.2
    • /
    • pp.68-77
    • /
    • 1995
  • 본 연구는 급속한 산업화와 현대화 과정에서 파생괸 과소비 호화혼수, 재벌의 변칙 적인 부의 세습, 상류층내의 배타적인 결혼 지나친 교육열, 환경오염등과 같은 다양한 가족 이기주의 현상의 심각성을 재인식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가족이기주 의의 예방을 개선을 도모해 나갈 기본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서울시에 거주하 는 기혼남녀 333명을 대상으로 가족이기주의 행동의 실태와 이에대한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족주의 가치관의 영향을 살펴본 결과 가정내에서의 가족이기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성별($\beta=.238$), 교육수준($\beta=.237$), 소득($\beta=.188$), 가족우선성의식($\beta=.156$), 형제자매 및 친척간 사회경제적 연대의식($\beta=-.155$)이었고, 교육에서의 가족이기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득($\beta=.233$), 성별($\beta=.200$), 연령($\beta=.176$), 교육수준($\beta=.156$)이었으며, 환경에서의 가족이기주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득($\beta=.263$)인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Effects of Preparation for Aging of the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노인의 노후준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Song, kee-young;Lee, sang-ju;Roh, san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5-296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출발하여 인구의 고령화에 따라 늘어난 노후에 대한 준비로 삶의 만족도 수준을 높이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노후준비의 하위 유형을 신체적 노후준비, 경제적 노후준비,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로 구성하여 이를 다중 독립변인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 삶의 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각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 노후준비의 하위 유형과 삶의 만족도 간 사회적 지지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민노후보장패널(Korean Retirement and Income Study: KReIS) 3차 및 5차 부가조사 자료로부터 추출한 65세 이상의 노인 4,058명이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v2.16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노후준비의 하위 유형 중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직접효과를 발생시켰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 지지의 매개를 통해서도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달성하는 데 중요한 변수인 정서 사회적 노후준비와 사회적 지지 제고를 위한 사회복지 정책 및 실천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ge and Perception of Justice: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Age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연령, 공정성 인식 간의 관계: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Joeng, Ju-Ri;Lee, Ji Hae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8 no.2
    • /
    • pp.219-239
    • /
    • 2022
  •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SES) of 508 Korean adults and their perception of justice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for self and general others), and verifi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age (20s versus 30s and over). A self-report survey on SES and perception of justice was conducted. Then, using the SPSS 27 and PROCESS Macro 4.0 program, a correlation analysis looking into the relationship among the study variables was performed along with the ANOVAs comparing the mean differences of study across age-groups to support the group division criteria. Next, a moder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E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all sub-factors of justice perception an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age. Second, age had a inverse relationship on distributive justice for self and general others, and procedural justice for self, but a non significant relationship on procedural justice for general others. Third, when looking into the mean differences of the research variables according to age, the 20s had different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30s and over. In comparis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ithin the 30s and over group. Fourth,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SES and perception of justice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the case of distributive justice for self and procedural justice for general others. In the case of distributive justice for self, the positive slope of the graph in which subjective SES predicts distributive fairness for self was steeper in the 30s and older group compared to the 20s. Regarding the procedural justice for general others, subjective SES was not a significant predictor in the 20s group. However, SES positively predicted procedural justice in the 30s and older group.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suggested age differences in subjective SES and perceptions of justice by revealing the different relationship patterns of subjective SES and perception of justice according to age.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Social Enterprise Performance (기업가정신이 사회적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 Lee, Jun-Hee;Kim, Sang-Wo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4
    • /
    • pp.172-179
    • /
    • 2016
  • This study examined what entrepreneurial elements of social enterprises contribute to the virtuous cycle to lay a foundation of the coevolution with communities through growth and wealth distribution. To this end, the study was started by adding the pursuit of social goals to the components of entrepreneurship, namely an innovative mind, progressive spirit, and risk sensitivity, and the effects of each of these factors on their economic performance and the social performance were examined. Within this framework,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enterprises' performance in economic and social dimensions as dependent variables, and the entrepreneurial elem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were examined by correlation tests and regression analysis for two hypotheses and their 8 subsequent hypothe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ntrepreneurs' progressive spirit had a statistically meaning effect on the economic performance, and an innovative mind and risk sensitivity are influential variables for social performance.

Fertility Differentials by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alysis of Korean Population Census Data (인구 및 사회경제적 차별출산력 - 인구센서스 자료분석을 중심으로)

  • Lee, Sam-Sik;Kim, Dong-Hoy;Kim, Tai-Hu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9 no.1
    • /
    • pp.1-23
    • /
    • 2006
  • 본 연구는 한국 기혼여성의 차별출산력 분석으로 인구학적 특성으로 연령, 초혼연령, 혼인상태 및 가족유형(가구구성)을 포함하구 사회경제적 특성으로 거주지역, 교육정도, 경제활동상태, 직업 및 주택 점유형태를 포함하였다.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원자료로 하여 인구 및 사회경제적 변인들이 출산력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다변량 분석기법을 이용하였다. 초혼연령이 높아지면서 출산수준은 현저히 낮아졌으며, 배우자와 동거하는 기혼부인의 출생아수가 가장 많았으며, 이혼한 경우 가장 적었다. 자녀양육을 위한 부모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 3세대 이상 가족이 동거하는 가구의 경우 출산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러나 최근 이혼이 급증하면서 유배우 상태가 빠르게 감소하구 1세대나 독신가구의 증가와 3세대 이상 가구의 감소는 앞으로의 출산수준을 더욱 빠르게 할 것이다. 사회경제적 특성별 차이에서도 유사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도시규모가 클수록,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전문사무직종에 근무할 경우, 그리고 전월세로 거주할 경우에 출산수준이 낮았다. 사회경제적 특성별 출생아수의 차이는 1980년에 가장 컸으며, 그 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더욱이 출산수준이 높은 농촌인구의 급감, 교육수준의 향상으로 교육간 차이의 감소 농어업직에 종사하는 기혼여성의 감소 등은 전체적인 출산수준을 빠르게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기혼부인의 특성별 출생아수의 차이는 여전히 뚜렷하였으나 그 차이는 점차 감소하고 있다. 또한, 출생아수가 많은 집단의 구성비가 빠르게 줄어드는 것을 감안하면 전체적인 출산수준의 감소는 더욱 빨라질 수 있다. 앞으로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결과가 발표될 때 그 간의 특성별 출생아수의 차이와 인구구성비의 변화를 분석하면 대체출산수준에 근접한 1980년 이후 빠른 출산력의 감소원인을 이해하고 출산력의 장래 변화를 효과적으로 예측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Social and affective dimensions in home economics (가정학의 중요성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 이기열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24 no.1
    • /
    • pp.139-149
    • /
    • 1986
  • 가정학은 현대 생활에서 떼어놓을 수 없는 한 부분이며, 사회 복지를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사회, 경제, 기술, 문화적인 면에서의 여러 가지 변화는 가정학의 초점과 내용, 가정학이 여러 계층의 사람들과 가지는 관계에 영향을 미쳐왔다. 가족 생활형태의 변화는 가정학의 일반적인 원리나 가정학 교과과정의 내용 등과 같은 여러 차원에 영향을 준다. 가정학의 image를 우리 사회의 중요한 학문으로서 개선시키는 방법들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가정학은 변화하는 학문이며, 따라서 변이기중에 개선되기 쉽다. 가정학의 미래는 우리의 실천 정도와 현재 가정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생산성과 노력에 달려 있다. 지금까지의 가정학의 업적, 힘에 기반을 단단히 세움으로써 가정학은 사회의 급속히 변해가는 욕구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것이다. 가정학이 지니는 특이성은, 사회.경제의 주요 단위로서의 가족의 reinforcement, 산업사회로부터 정보 사회로의 급속한 이동, 새로운 기술들의 이용에 대한 도덕적.윤리적 문제, 경제적인 변호, 힘의 분산등과 같은 현 사회가 당면한 많은 도전에 대처해 나가는데 도움이 된다. 사회가 더욱 복잡해질수록 가정학은 새로운 차원을 추가하면서 적응해 나갈 것이다. 그러나 가정학의 특이성은 변하지 않고 그대로 남아 있을 것이다.

  • PDF